SBS Biz

"집, 차, 주식 다 팔아도 빚 못 갚아"…고위험 39만가구

SBS Biz 이한나
입력2025.03.27 10:26
수정2025.03.27 11:12


주택가격이 떨어지면 부실 위험이 높은 고위험가구가 많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은이 오늘(27일) 공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성장이 수도권에 비해 부진해 주택가격의 하락세가 큰 지방의 경우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위험가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가 넘고, 부채자산비율이 100%를 넘는 가구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지방과 수도권의 고위험가구 비중(금융부채 기준)은 각각 5.4%, 4.3%로 나타났습니다. 올해말에는 지방(5.6%)과 수도권(4.0%)의 고위험가구 비중 차이가 1.6%p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은은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에 비해 부진한 가운데 최근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세 등을 감안할 때 향후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지방 고위험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 및 정부 대응방안의 효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위험가구는 2024년 기준 38.6만 가구로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3.2%이며,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3조원으로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고위험가구의 수와 금융부채 비중은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크게 높아졌던 2023년(각각 3.5%, 6.2%)에 비해 하락(각각 -0.3%p, -1.3%p)했으나 2022년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한나다른기사
尹 파면 '검은 금요일'…코스피 2460선 마감
국고채 금리, 尹파면 소화·美금리 급락에 하락…3년물 2.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