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장 오늘장] 다시 냉기 도는 자동차주…트럼프 관세 부과에 부담↑
SBS Biz
입력2025.03.27 07:51
수정2025.03.27 08:35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어제장 오늘장' - 장연재
어제와 오늘이 이렇게 다를 수 있나요?
전 거래일 국내증시 양 지수 나란히 반등하며 기분 좋게 마감했는데 오늘(27일) 새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폭탄을 던지면서 시장에 큰 충격이 예상됩니다.
어제(26일)는 반도체와 이차전지가 동반 상승하며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것 같았지만, 오늘은 이 두 마리 토끼 모두 놓치게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
어제장 복기하면서 오늘 장 투자포인트 확인하시죠.
시장이 좋았습니다.
코스피가 1.1% 가까이 반등했고 코스닥도 0.7% 올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유연한 상호 관세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아시아 증시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고요.
우리 시장은 반도체와 배터리 대형주들이 크게 오르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수급 상황도 시장에 우호적이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잠깐 숨을 고르더니 다시 매수세를 이어갔습니다.
3500억 원 넘게 순매수했고, 기관도 2600억 원 넘는 매수 우위를 기록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개인만 홀로 6800억 원 가까운 팔자 포지션 취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메이저 수급 주체의 쌍끌이 매수세가 나타났습니다.
외국인과 기관 모두 600억 원 넘게 순매수했습니다.
개인만 홀로 1310억 원 매도 우위 나타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시총 상위 대형주들 흐름이 좋았습니다.
반도체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2% 넘게 뛰었습니다.
삼성전자 2.68% 상승한 6만 1400원.
SK하이닉스 2.9% 올라 21만 40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여기에 LG에너지솔루션이 7.3%나 급등했습니다.
LG그룹 구광모 회장이 적극적인 배터리 육성의지를 밝힌 점이 투심을 개선시켰습니다.
더불어 현대차, 기아까지 상승했는데요.
간밤 뉴욕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3% 넘게 급락했고, 자동차 관세 폭탄까지 떨어진 상황이라 어제 올랐던 종목 모두 오늘은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을 보면 여기서도 2차전지 대표주, 에코프로형제 각각 2.6%, 1.9% 상승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코오롱티슈진, 클래시스 등이 상승했는데요.
미국 국채금리가 뛰었고, 의약품 관세 가능성까지 높아진 상황이라 제약 바이오쪽도 오늘은 안전하지 않겠습니다.
환율 어제는 레벨을 조금 낮췄습니다.
정규장 마감 시간 달러 기준 2원 90전 내린 1466원 30전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7거래일 만에 하락이었는데요.
야간거래에서 조금 더 상승했다가 오늘 새벽 6시 역외환율은 1466원 선이었습니다.
달러가 소폭 강세를 보였고 자동차 관세 발표로 시장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 오늘 외환시장 다시 강하게 출발할 수 있겠습니다.
환율 변동성 유의하셔야겠습니다.
자동차주 봄이 오나 싶었는데, 다시 냉기가 돕니다.
오늘 새벽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부터 미국에 들어오는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자동차는 대미 수출 1위 품목입니다.
지난해 전 세계 자동차 수출 규모가 707억 8900만 달러였고 이 중 49.1%.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347억 4천 400만 달러, 약 51조 원 규모의 자동차가 미국에 수출됩니다.
며칠 전 대규모 대미 투자를 발표하며 주가를 끌어올렸던 현대차그룹의 대미 수출량도 97만 대에 달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현대차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미국으로 수출하는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는 말이 아니라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들면 관세를 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라 지금 나온 내용으로만 봤을 땐 현대차그룹도 관세 부담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다수 예정되어있다는 점에서 자동차, 자동차 부품주는 물론 반도체, 의약품 등의 하방 압력이 커지겠습니다.
관세 피난처에 대한 선호도는 더 높아질 수 있겠는데요.
이번 달 들어 코스피 음식료 담배, 코스피 200 생활소비재, 코스피 200 경기소비재 지수가 코스피 상승률보다 더 크게 오른 바 있죠.
경기 방어주, 더불어 엔터와 게임 등의 섹터가 오늘 피난처 역할을 해줄지 지켜보시죠.
일정입니다.
현지시간 27일 미국 할리우드 AI 영화제가 개최됩니다.
방위사업청은 오늘 방위사업기획, 관리분과위원회를 열고 넥슨은 마비노기 모바일을 출시하는데요.
AI 영상, 방산, 넥슨을 비롯한 게임주에 호재가 될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SK하이닉스와 루닛의 주주총회도 열리는데요.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한편 어제 시간 외 거래에서는 정치 테마주가 강한 모습이었습니다.
정치 테마주는 기업의 확실한 호재가 아니라 정치적 이슈에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 투자하실 때는 꼭 변동성에 유의하셔야겠고요.
거래대금이 컸던 종목들 중에서는 자동차 쪽에서 모티브링크가 현대차 그룹 대미 투자 호재가 이어졌습니다.
씨케이솔루션은 LG에너지솔루션이 글로벌 에너지 관리 업체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미국 주택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혀 협력사로 주목받았는데요.
두 종목 모두 오늘 트럼프발 자동차 관세 발표에 흔들릴 수 있어 확인하셔야겠습니다.
그럼 넥스트레이드 프리마켓 상황 보시죠.
오늘 한국거래소 흐름을 좀 미리 내다볼 수 있겠는데요.
여기까지 프리마켓 점검했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폭탄이 시작됐습니다.
예상은 했지만, 강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시장 투심이 흔들릴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안전벨트 잘 메시고 신중하게 대응하셔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어제장 오늘장이었습니다.
어제와 오늘이 이렇게 다를 수 있나요?
전 거래일 국내증시 양 지수 나란히 반등하며 기분 좋게 마감했는데 오늘(27일) 새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폭탄을 던지면서 시장에 큰 충격이 예상됩니다.
어제(26일)는 반도체와 이차전지가 동반 상승하며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것 같았지만, 오늘은 이 두 마리 토끼 모두 놓치게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
어제장 복기하면서 오늘 장 투자포인트 확인하시죠.
시장이 좋았습니다.
코스피가 1.1% 가까이 반등했고 코스닥도 0.7% 올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유연한 상호 관세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아시아 증시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고요.
우리 시장은 반도체와 배터리 대형주들이 크게 오르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수급 상황도 시장에 우호적이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잠깐 숨을 고르더니 다시 매수세를 이어갔습니다.
3500억 원 넘게 순매수했고, 기관도 2600억 원 넘는 매수 우위를 기록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개인만 홀로 6800억 원 가까운 팔자 포지션 취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메이저 수급 주체의 쌍끌이 매수세가 나타났습니다.
외국인과 기관 모두 600억 원 넘게 순매수했습니다.
개인만 홀로 1310억 원 매도 우위 나타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시총 상위 대형주들 흐름이 좋았습니다.
반도체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2% 넘게 뛰었습니다.
삼성전자 2.68% 상승한 6만 1400원.
SK하이닉스 2.9% 올라 21만 40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여기에 LG에너지솔루션이 7.3%나 급등했습니다.
LG그룹 구광모 회장이 적극적인 배터리 육성의지를 밝힌 점이 투심을 개선시켰습니다.
더불어 현대차, 기아까지 상승했는데요.
간밤 뉴욕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3% 넘게 급락했고, 자동차 관세 폭탄까지 떨어진 상황이라 어제 올랐던 종목 모두 오늘은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을 보면 여기서도 2차전지 대표주, 에코프로형제 각각 2.6%, 1.9% 상승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코오롱티슈진, 클래시스 등이 상승했는데요.
미국 국채금리가 뛰었고, 의약품 관세 가능성까지 높아진 상황이라 제약 바이오쪽도 오늘은 안전하지 않겠습니다.
환율 어제는 레벨을 조금 낮췄습니다.
정규장 마감 시간 달러 기준 2원 90전 내린 1466원 30전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7거래일 만에 하락이었는데요.
야간거래에서 조금 더 상승했다가 오늘 새벽 6시 역외환율은 1466원 선이었습니다.
달러가 소폭 강세를 보였고 자동차 관세 발표로 시장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 오늘 외환시장 다시 강하게 출발할 수 있겠습니다.
환율 변동성 유의하셔야겠습니다.
자동차주 봄이 오나 싶었는데, 다시 냉기가 돕니다.
오늘 새벽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부터 미국에 들어오는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자동차는 대미 수출 1위 품목입니다.
지난해 전 세계 자동차 수출 규모가 707억 8900만 달러였고 이 중 49.1%.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347억 4천 400만 달러, 약 51조 원 규모의 자동차가 미국에 수출됩니다.
며칠 전 대규모 대미 투자를 발표하며 주가를 끌어올렸던 현대차그룹의 대미 수출량도 97만 대에 달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현대차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미국으로 수출하는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는 말이 아니라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들면 관세를 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라 지금 나온 내용으로만 봤을 땐 현대차그룹도 관세 부담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다수 예정되어있다는 점에서 자동차, 자동차 부품주는 물론 반도체, 의약품 등의 하방 압력이 커지겠습니다.
관세 피난처에 대한 선호도는 더 높아질 수 있겠는데요.
이번 달 들어 코스피 음식료 담배, 코스피 200 생활소비재, 코스피 200 경기소비재 지수가 코스피 상승률보다 더 크게 오른 바 있죠.
경기 방어주, 더불어 엔터와 게임 등의 섹터가 오늘 피난처 역할을 해줄지 지켜보시죠.
일정입니다.
현지시간 27일 미국 할리우드 AI 영화제가 개최됩니다.
방위사업청은 오늘 방위사업기획, 관리분과위원회를 열고 넥슨은 마비노기 모바일을 출시하는데요.
AI 영상, 방산, 넥슨을 비롯한 게임주에 호재가 될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SK하이닉스와 루닛의 주주총회도 열리는데요.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한편 어제 시간 외 거래에서는 정치 테마주가 강한 모습이었습니다.
정치 테마주는 기업의 확실한 호재가 아니라 정치적 이슈에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 투자하실 때는 꼭 변동성에 유의하셔야겠고요.
거래대금이 컸던 종목들 중에서는 자동차 쪽에서 모티브링크가 현대차 그룹 대미 투자 호재가 이어졌습니다.
씨케이솔루션은 LG에너지솔루션이 글로벌 에너지 관리 업체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미국 주택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혀 협력사로 주목받았는데요.
두 종목 모두 오늘 트럼프발 자동차 관세 발표에 흔들릴 수 있어 확인하셔야겠습니다.
그럼 넥스트레이드 프리마켓 상황 보시죠.
오늘 한국거래소 흐름을 좀 미리 내다볼 수 있겠는데요.
여기까지 프리마켓 점검했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폭탄이 시작됐습니다.
예상은 했지만, 강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시장 투심이 흔들릴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안전벨트 잘 메시고 신중하게 대응하셔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어제장 오늘장이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롯데리아 새우버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 2.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진짜였다
- 3.'이 회사도 억대 연봉?'…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
- 4.맥주·라면·우유 미리 사두세요…내일부터 가격 오릅니다
- 5.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 '진짜'…2030 부글부글
- 6."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치솟는 금값 더 오른다
- 7.플렉스 끝났다…의류·여가 소비 '뚝'
- 8.'비닐만 벗긴 갤럭시, 최대 64만원 싸게 사세요'
- 9.'지브리 프사 만들어줘'…챗 GPT에 '우르르', 저작권 침해?
- 10.'전세의 월세화' 가속도…빌라 월세살이 많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