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프리뷰] "발표 분위기 좋았는데"…빨라진 '자동차 관세' 영향은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3.27 06:43
수정2025.03.27 07:35

■ 모닝벨 '마켓 프리뷰'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Q. 어제(26일) 코스피가 이틀 연속 하락세를 끊고 1% 넘게 올라서 기대감이 커졌는데, 오늘(27일) 불안불안합니다. 먼저, 어제 장 흐름, 어떻게 보셨나요?
-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수 2640선 회복…사흘만 반등
- 반도체·자동차 중심 매수세 유입…2643.94 장 마감
- 코스피 상승 출발…장중 상승 폭↑ 2650 터치 시도
- 전기전자 업종 등 대형주 외인 자금 유입…증시 상승
- 외인 3495억 순매수…코스피200선물 6017억 매수
- 삼성전자 2.68% 상승…'사즉생' 이재용 2년만 방중
- LG엔솔 7.30% 상승…K-배터리 위상 회복 기대
- 코스닥, 전거래일비 0.73%↑…개인 1301억 순매도
- 원·달러 환율, 7거래일만 하락세…1466.3원 마감
- 조선·방산주, 급등 속 밸류에이션 부담…매물 출회
- 31일 공매도 재개 예정…변동성 확대 우려 제기
- 미국 소비심리 위축 지표 확인…경기 불안감 확대
- 미국, 달러화 약세에 '휴'…동조 못하는 원화 가치
- 트럼프 당선 직후 치솟던 달러, 최근 약세로 돌아서
- 유로화 4.2%·엔화 4.6%↑…달러인덱스 103선
- 소외된 원화, 올해 1.1% 상승…지난해 14.5% 하락
- 트럼프 관세에 한국 주력 수출 타격 우려…하방 압력
Q.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는 앞서 철강 관세와는 무게감이 다릅니다. 앞으로 자동차 관련주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트럼프 "모든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 트럼프 "자동차 산업 성장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
- 트럼프 "車 관세로 연 1000억달러 이상 수익 예상"
- 다음달 2일부터 모든 국가 적용…"자동차 관세 영원"
- 의약품·목재 관세도 예고…"4월 2일도 기자회견"
- 트럼프, 내달 상호관세 부과 재확인…"매우 공정할 것"
- 백악관 "곧 자동차 관세 발표" 소식에 시장 충격
- 자동차, 대미 수출품 중 최대 비중 품목…타격 예상
- 트럼프, 美자동차 제조업 부흥 의지…관련 관세 예고
- 첫 품목별 관세, 철강·알루미늄…다음 타깃은 자동차
- 트럼프, 반도체·의약품 등 개별 품목 관세 부과 공언
- 철강·알루미늄 이어 자동차까지…'관세 전쟁' 전선 확대
- 4월 2일 국가별 관세율 촉각…상호관세 수위는?
Q. 현대차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관세 내지 않아도 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도 있었는데?
- 현대차그룹,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 'HMGMA' 준공식
- 정의선 회장 비롯해 장재훈 부회장 등 직접 현장 찾아
- 정의선 "2019년부터 준비…어려움 있었지만 잘 지어져"
- 정의선 "한 기업이 관세 정책에 큰 영향 주기 어려워"
- 정의선 "관세 발표 이후 개별 기업·정부 주도적이어야"
- 백악관 발표 비하인드…"당초 트럼프 HMGMA 초청"
- 트럼프, 루이지애나 제철소 건설 소식에 백악관 초청
- 정의선 "루이지애나 주지사 등도 참석해 매우 영광"
- HMGMA, 아이오닉·기아 전기차 외 하이브리드도 생산
- 정의선 "전 세계 공장 중에서도 중심적인 역할 할 것"
- HMGMA, 생산 시스템 유연…최대 8개 차종까지 대응
- 장재훈 "미국 시장 공략 전략…내수·수출 확대도 추진"
Q.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이어 구리 관세도 서둘고 있다는 보도입니다. 구리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가운데 수입 구리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데요. 미국의 구리 관세가 현실화되면 한국도 영향권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에 구리까지... 전세계 경제를 뒤흔들고 있는데요. 오늘 국내 흐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 블룸버그 "트럼프, 몇 주 내 구리 25% 부과 가능성"
- 트럼프, 관세 부과 계획 반복 확인…"조사는 형식적"
- 나바로 "상무장관, 가능한 빨리 조사 결과 올릴 것"
- 구리, 뉴욕 선물시장 파운드당 5.3달러…사상 최고치
- 뉴욕-런던 구리선물 가격 차, 톤당 1600달러 이상
- 트럼프 '구리 관세' 위협에 전 세계 구리 시장 '요동'
- 블룸버그 "최대 소비국 중국, 구리 부족 현상 겪어"
- 벚꽃 배당에 공매도 재개까지…국내 증시 상승세
- 3월말 배당기준일 임박…"막차 앞두고 배당주 인기"
- 공매도 재개에 외인 국내 증시 유입 확대 기대감
- 주 후반 GDP·PCE 발표 예정…"관망세 짙어질 듯"
Q. LG에너지솔루션은 오랜만에 큰 폭 상승했습니다. 사실 그동안 K-전기차 배터리가 전기차 캐즘 현상에 중국산 압박까지 위기에 직면했는데요. 어제 LG에너지솔루션이 약 2조 9300억 원 규모의 외화채를 성공적으로 발행했다는 소식에 주가도 고공 행진했습니다. 어제 LG 정기 주총도 있었는데요. 이차전지 상황, 어떻게 보시나요?
- LG엔솔 주가 큰 폭 상승…7.30%↑ 36만원 마감
- LG에너지솔루션, 약 3조원 규모 외화채 발행에 성공
- 총 262개 글로벌 기관 참여…총 공모액 4배 주문
- LG엔솔 "진행 중인 대규모 글로벌 생산설비 투자 사용"
- 캐나다·미국 등 북미에서만 5개 신규 공장 건설 중
- 구광모 "배터리, 그룹 주력사업으로 반드시 성장"
- LG엔솔, 1조원 규모 ESS 배터리 공급계약 수주 성과
- 디스플레이 업황 악화…\사업 사업구조 적극 전환 계획
- 지난해 전기차 캐즘, 배터리 시장 위축…중국 추격도
- 그룹 차원 투자 지속 의지…K-배터리 실적 '보릿고개'
- LG엔솔 지난해 매출 24.1%↓…영업이익 73.4% 급감
- LG화학 4분기 5년만 적자 기록…"올해 1분기가 바닥"
- 김동명 "2028년까지 매출 두 배 이상 끌어 올릴 것"
- 中 기업 글로벌 시장 점유율 69%…근본 해결책 필요
- 대세 떠오른 LFP 배터리에 한국 배터리 3사 '휘청'
- 중국, LFP 배터리 기술 집중…원가 절감·내구성 강점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Q. 어제(26일) 코스피가 이틀 연속 하락세를 끊고 1% 넘게 올라서 기대감이 커졌는데, 오늘(27일) 불안불안합니다. 먼저, 어제 장 흐름, 어떻게 보셨나요?
-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수 2640선 회복…사흘만 반등
- 반도체·자동차 중심 매수세 유입…2643.94 장 마감
- 코스피 상승 출발…장중 상승 폭↑ 2650 터치 시도
- 전기전자 업종 등 대형주 외인 자금 유입…증시 상승
- 외인 3495억 순매수…코스피200선물 6017억 매수
- 삼성전자 2.68% 상승…'사즉생' 이재용 2년만 방중
- LG엔솔 7.30% 상승…K-배터리 위상 회복 기대
- 코스닥, 전거래일비 0.73%↑…개인 1301억 순매도
- 원·달러 환율, 7거래일만 하락세…1466.3원 마감
- 조선·방산주, 급등 속 밸류에이션 부담…매물 출회
- 31일 공매도 재개 예정…변동성 확대 우려 제기
- 미국 소비심리 위축 지표 확인…경기 불안감 확대
- 미국, 달러화 약세에 '휴'…동조 못하는 원화 가치
- 트럼프 당선 직후 치솟던 달러, 최근 약세로 돌아서
- 유로화 4.2%·엔화 4.6%↑…달러인덱스 103선
- 소외된 원화, 올해 1.1% 상승…지난해 14.5% 하락
- 트럼프 관세에 한국 주력 수출 타격 우려…하방 압력
Q.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는 앞서 철강 관세와는 무게감이 다릅니다. 앞으로 자동차 관련주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트럼프 "모든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 트럼프 "자동차 산업 성장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
- 트럼프 "車 관세로 연 1000억달러 이상 수익 예상"
- 다음달 2일부터 모든 국가 적용…"자동차 관세 영원"
- 의약품·목재 관세도 예고…"4월 2일도 기자회견"
- 트럼프, 내달 상호관세 부과 재확인…"매우 공정할 것"
- 백악관 "곧 자동차 관세 발표" 소식에 시장 충격
- 자동차, 대미 수출품 중 최대 비중 품목…타격 예상
- 트럼프, 美자동차 제조업 부흥 의지…관련 관세 예고
- 첫 품목별 관세, 철강·알루미늄…다음 타깃은 자동차
- 트럼프, 반도체·의약품 등 개별 품목 관세 부과 공언
- 철강·알루미늄 이어 자동차까지…'관세 전쟁' 전선 확대
- 4월 2일 국가별 관세율 촉각…상호관세 수위는?
Q. 현대차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관세 내지 않아도 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도 있었는데?
- 현대차그룹,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 'HMGMA' 준공식
- 정의선 회장 비롯해 장재훈 부회장 등 직접 현장 찾아
- 정의선 "2019년부터 준비…어려움 있었지만 잘 지어져"
- 정의선 "한 기업이 관세 정책에 큰 영향 주기 어려워"
- 정의선 "관세 발표 이후 개별 기업·정부 주도적이어야"
- 백악관 발표 비하인드…"당초 트럼프 HMGMA 초청"
- 트럼프, 루이지애나 제철소 건설 소식에 백악관 초청
- 정의선 "루이지애나 주지사 등도 참석해 매우 영광"
- HMGMA, 아이오닉·기아 전기차 외 하이브리드도 생산
- 정의선 "전 세계 공장 중에서도 중심적인 역할 할 것"
- HMGMA, 생산 시스템 유연…최대 8개 차종까지 대응
- 장재훈 "미국 시장 공략 전략…내수·수출 확대도 추진"
Q.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이어 구리 관세도 서둘고 있다는 보도입니다. 구리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가운데 수입 구리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데요. 미국의 구리 관세가 현실화되면 한국도 영향권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에 구리까지... 전세계 경제를 뒤흔들고 있는데요. 오늘 국내 흐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 블룸버그 "트럼프, 몇 주 내 구리 25% 부과 가능성"
- 트럼프, 관세 부과 계획 반복 확인…"조사는 형식적"
- 나바로 "상무장관, 가능한 빨리 조사 결과 올릴 것"
- 구리, 뉴욕 선물시장 파운드당 5.3달러…사상 최고치
- 뉴욕-런던 구리선물 가격 차, 톤당 1600달러 이상
- 트럼프 '구리 관세' 위협에 전 세계 구리 시장 '요동'
- 블룸버그 "최대 소비국 중국, 구리 부족 현상 겪어"
- 벚꽃 배당에 공매도 재개까지…국내 증시 상승세
- 3월말 배당기준일 임박…"막차 앞두고 배당주 인기"
- 공매도 재개에 외인 국내 증시 유입 확대 기대감
- 주 후반 GDP·PCE 발표 예정…"관망세 짙어질 듯"
Q. LG에너지솔루션은 오랜만에 큰 폭 상승했습니다. 사실 그동안 K-전기차 배터리가 전기차 캐즘 현상에 중국산 압박까지 위기에 직면했는데요. 어제 LG에너지솔루션이 약 2조 9300억 원 규모의 외화채를 성공적으로 발행했다는 소식에 주가도 고공 행진했습니다. 어제 LG 정기 주총도 있었는데요. 이차전지 상황, 어떻게 보시나요?
- LG엔솔 주가 큰 폭 상승…7.30%↑ 36만원 마감
- LG에너지솔루션, 약 3조원 규모 외화채 발행에 성공
- 총 262개 글로벌 기관 참여…총 공모액 4배 주문
- LG엔솔 "진행 중인 대규모 글로벌 생산설비 투자 사용"
- 캐나다·미국 등 북미에서만 5개 신규 공장 건설 중
- 구광모 "배터리, 그룹 주력사업으로 반드시 성장"
- LG엔솔, 1조원 규모 ESS 배터리 공급계약 수주 성과
- 디스플레이 업황 악화…\사업 사업구조 적극 전환 계획
- 지난해 전기차 캐즘, 배터리 시장 위축…중국 추격도
- 그룹 차원 투자 지속 의지…K-배터리 실적 '보릿고개'
- LG엔솔 지난해 매출 24.1%↓…영업이익 73.4% 급감
- LG화학 4분기 5년만 적자 기록…"올해 1분기가 바닥"
- 김동명 "2028년까지 매출 두 배 이상 끌어 올릴 것"
- 中 기업 글로벌 시장 점유율 69%…근본 해결책 필요
- 대세 떠오른 LFP 배터리에 한국 배터리 3사 '휘청'
- 중국, LFP 배터리 기술 집중…원가 절감·내구성 강점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롯데리아 새우버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 2.백종원, 노랑통닭 '퇴짜'…"안 산다"
- 3."평생 빚만 갚으며 살 것 같다"…1인당 빚 1억 육박
- 4.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진짜였다
- 5.'이 회사도 억대 연봉?'…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
- 6.맥주·라면·우유 미리 사두세요…내일부터 가격 오릅니다
- 7.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 '진짜'…2030 부글부글
- 8.'난 65만원, 친구는 299만원'…국민연금 왜 이래?
- 9."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치솟는 금값 더 오른다
- 10.플렉스 끝났다…의류·여가 소비 '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