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언론, 현대차 美 투자에 "車산업 공동화 우려"
[백악관에서 투자 계획 밝히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AP=연합뉴스 자료사진)]
현대자동차그룹이 2028년까지 미국에 총 210억 달러(약 31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 한국 산업의 공동화가 우려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6일 보도했습니다.
닛케이는 현대차의 미국 투자 계획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관세에 대응해 미국에서 공급망을 만드는 것은 매출 최대 국가·지역인 미국 시장을 지키는 한편, 한국 내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이어 완성차 업체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를 계기로 미국 생산량을 늘리면 한국 생산 대수는 현재의 20%에 상당하는 연간 70만∼90만 대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는 한국 산업연구원 분석 결과를 소개했습니다.
다만 닛케이는 한국 경제의 수출 의존도와 한국 생산 자동차의 수출 비율이 높다는 점도 짚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공장 증설을 통해 생산량을 늘리며 루이지애나주에는 제철소도 건설할 방침입니다.
닛케이는 미국 관세 정책에 맞춰 공급망을 단기간에 미국으로 옮기기가 쉽지만은 않다면서 관세 인상에 따라 미국 내 제조업 관련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신문은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건설하는 전기로에서 철을 만들 때 원료가 되는 철스크랩(고철) 가격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방침 표명 이후 17% 올랐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철스크랩 가격 상승은 철강업체에 타격이 된다"며 미국 철강 기업들의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닛케이는 "트럼프 관세 대응은 1기 행정부 때보다 복잡해졌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현대차그룹의 거액 투자를 환영하면서도 한국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언급하지는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신문은 "세계 경제를 지탱해 온 자유무역 체제에서는 세계의 자원이 효율적으로 분배되고 가장 좋은 장소에 조달·생산 체제가 구축됐다"며 "트럼프 정권의 추가 관세는 이러한 공급망을 파괴하고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인다"고 비판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현대차의 미국 투자 발표 현장에서 현대차에 대한 관세 면제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현대는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며, 그 결과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난 65만원, 친구는 299만원'…국민연금 왜 이래?
- 2.백종원, 노랑통닭 '퇴짜'…"안 산다"
- 3.기름 넣을까?…이왕이면 주말에 가득 채우세요
- 4.한남동 관저 떠나는 尹…최대 10년 경호 예우
- 5."평생 빚만 갚으며 살 것 같다"…1인당 빚 1억 육박
- 6.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진짜였다
- 7.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 '진짜'…2030 부글부글
- 8.'부부 통장에 월 500만원 꽂힌다'…국민연금 비결 뭐길래
- 9.'정말 못 받는 거 아냐'…국민연금 가입자 6년만 2200만명선 무너져
- 10."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치솟는 금값 더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