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서학개미에 경고 "위험 베팅 말고 분산 투자해야"
SBS Biz 신다미
입력2025.03.26 14:14
수정2025.03.26 14:32

[코스피가 전장보다 16.26p(0.62%) 내린 2,615.81로 마감한 25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오후3시30분 기준 전날보다 1.5원 오른 1,469.2원을 기록했고, 코스닥은 8.96p(1.24%) 내린 711.26으로 마감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미국 주식시장 변동성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이른바 '서학개미'들에게 분산투자가 필요하다고 경고 메시지를 냈습니다.
한국은행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 이재민 과장·장예진 조사역은 오늘(26일) 한은 블로그에 게시한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라는 글에서 미국 대형 기술주인 '매그니피센트7'(M7)와 레버리지 ETF 등 일부 종목에 대한 과도한 편중을 줄여야 한다고 적었습니다.
한은에 따르면 국내 개인투자자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주식투자를 급격히 확대했습니다.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투자 잔액은 2019년 말 152억달러에서 지난해 말 1천161억달러로 늘었습니다. 5년 만에 약 7.6배로 불었습니다.
거주자 해외주식투자 전체 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말 4.4%에서 지난해 말 15.6%까지 확대됐습니다.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투자는 미국 상장주 중에서도 특정 종목에 쏠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의 외화증권예탁결제 자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 포트폴리오에서의 미국 주식 비중은 2019년 말 58.2%에서 2023년 말 88.5%로 올라갔으며, 지난 18일 기준 90.4%까지 높아졌습니다.
이들의 투자 상위 10위 종목에는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구글 등 M7 종목 대다수와 나스닥100 및 S&P500 지수 등을 추종하는 일반·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등이 올랐습니다.
지난 18일 기준 개인투자자의 상위 10개 종목 투자 잔액은 454억달러로 전체 투자액의 43.2%를 차지했습니다. M7 종목 투자잔액은 2019년말 19억달러 수준에서 지난 18일 기준 371억달러까지 불어났습니다.
'서학개미'들은 위험 추구 성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개인투자자 상위 50위 투자종목에는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 7개 종목이 포함됐습니다.
레버리지 ETF는 추종지수 수익률을 2배 이상으로 추종하고, 인버스 ETF는 역의 배율을 추종하는데, 이들은 수익 변동성이 커 단기 수익을 목적으로 리스크를 추구하는 투자자들이 주로 보유합니다.
상위 50위 투자종목에 포함된 레버리지ETF와 인버스ETF를 보면, 모두 전체 시가총액 대비 개인투자자의 지분율이 두자릿수를 기록했으며 일부 종목은 40%가 넘었습니다.
또한 지수가 아닌 테슬라·엔비디아 등 인기 있는 개별종목 수익률을 추종하는 종목에도 개인투자자들이 몰렸습니다.
최근 S&P500지수는 미국 대선 직후 트럼프 2기 정부 정책 기대감으로 지난달 19일 사상 최고치(종가 6,144.15)를 기록했으나 이후 관세정책과 기업 실적 악화 우려로 하락했습니다.
그런데도 개인투자자는 미국 주식을 중심으로 해외주식 저가 매수를 이어갔습니다.
지난달 이후 주가가 하락하는 동안 개인투자자는 45억달러를 순투자했는데, 이중 M7(8억달러), 주요 레버리지 ETF(16억달러) 등 미국 상장주식을 40억달러어치 사들였습니다.
한은은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손실을 볼 경우 이를 만회하려면 일정 수준 이상 수익을 오래 쌓아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22년처럼 연간 -40% 평가손실을 입은 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S&P500 지수 추종 ETF에 투자해서 원금을 회복하려는 경우 최소 8.6년을 보유해야 합니다. 이런 계산은 보유 기간 해당 ETF가 안정적 수익률을 유지한다는 전제에서만 유효합니다.
이재민 과장은 "한번 손실을 보면,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며 "서학개미들이 안정적인 투자 이익을 얻으려면 M7, 레버리지 ETF 등 일부 종목 과도한 편중을 줄이고 위험을 분산하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강조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롯데리아 새우버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 2.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진짜였다
- 3.'이 회사도 억대 연봉?'…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
- 4.맥주·라면·우유 미리 사두세요…내일부터 가격 오릅니다
- 5.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 '진짜'…2030 부글부글
- 6."평생 빚만 갚으며 살 것 같다"…1인당 빚 1억 육박
- 7."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치솟는 금값 더 오른다
- 8.플렉스 끝났다…의류·여가 소비 '뚝'
- 9.'비닐만 벗긴 갤럭시, 최대 64만원 싸게 사세요'
- 10.'지브리 프사 만들어줘'…챗 GPT에 '우르르', 저작권 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