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송재경의 인사이트] "뉴욕증시, 계절적 상승기 진입"…일시적일까?

SBS Biz
입력2025.03.26 07:51
수정2025.03.26 09:36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송재경의 인사이트'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이번 주 증시 이벤트]  




▲24일 (월)
-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NXT) 종목 확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종목 포함)

- 한국 2월 소매판매


        3월 소비자심리지수
- 미국 3월 S&P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 유럽 3월 HCOB 종합, 제조업, 서비스업 PMI
- 일본 3월 지분 은행 종합, 제조업, 서비스 PMI


▲25일 (화)
- 보아오 포럼(~28)

- 미국 2년물 국채 입찰
        2월 신규주택매매, 건축허가
        3월 필라델피아 연준 비제조업 활동
              컨퍼런스보드 소비자기대지수
              리치몬드 연방 제조업 지수


▲26일 (수)
-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 행사

- 미국 5년물 국채 입찰 
        2월 내구재 주문
- 일본 1월 동행지수, 선행지수 
        2월 PPI 서비스


▲27일 (목)
[산업] 넥슨, 마비노기 모바일 출시

- 미국 4분기 GDP, GDP 물가지수, 개인소비
        2월 도매재고, 소매재고


▲28일 (금)
[산업] 카운터포인트 스마트폰 월간 판매량

- 미국 2월 PCE, 근원 PCE 물가지수
              개인소득, 개인소비지수
        3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 일본 3월 도쿄 CPI, 근원 CPI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먼저 뉴욕증시 마감 상황부터 짚어보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 볼까요? 

- "소비 심리 지표 확인"…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나스닥 0.46%↑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4,661.34…0.70%↓
- 美 3월 소비자신뢰지수 92.9…"낙관론 사라져"
- 美 2월 신규주택판매 전월比 1.8%↑…"회복세"
- 美 3월 기대지수 65.2…"12년 만에 최저치 기록"
- 美 3월 현재 상황지수 134.5…"부정적 평가"
- 12개월 평균 인플레 기대치 6.2%까지 상승
- 트럼프 "많은 국가에 관세 면제 고려할 수도"
- 트럼프 "車·제약 등 관세 가까운 시일 내 부과"
- 시장은 소비자신뢰지수보다 관세 완화에 주목
- M7 중 엔비디아만 하락…테슬라 3.5% 급등
- CME페드워치 "6월 말 금리 유지 확률 32.8%"
- CME페드워치 "6월 금리 25bp 인하 확률 59.7%"
- 트럼프미디어 8.8%↑…"암호화폐 ETF 출범"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나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를 완전 지울 수 없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뉴욕증시가 계절적 상승기에 진입했다는 말도 나와요?

- "뉴욕증시, 계절적 상승기 진입"…일시적일까?
- 뉴욕증시, 기술적 과매도 구간 진입 후 반등
- 뉴욕증시, 계절적 상승 구간…저가매수·상승 탄력
- 유럽·홍콩증시, 기술적 과매수 구간…'소강상태'
- 지난 55년간 美 증시 10% 조정 이후 침체와 연관
- 美 증시 10% 조정 후 상승세…'경기 침체'가 결정
- 경기 침체 없을 시 주가 조정 후 상승 추세 유지
- 경기 침체 발생 시 조정 후 추가적 하락세 보여
- "현재 美 증시 국면은 갈림길에 서 있는 상황“

◇ 최근 미국 고용 시장에 ‘둔화 징후’가 나타났다고 하는데, 어떤 상황인가요? 

- 최근 '둔화 징후' 나타난 미국 고용 시장?
- 美 고용 시장, 코로나 이후 강세에서 완연히 벗어나
- 이직자 임금상승률, 기존 근무자比 높던 시기 지나
- 2월 임금상승률 격차 역전…"고용 타이트하지 않아"
- 올 들어 美 제조업·서비스업 투입비용 급상승 중
- 미 3월 S&P글로벌 서비스업 PMI 예비치 54.3
- 미 3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예비치 49.8
- 미 3월 S&P글로벌 종합 PMI 예비치 53.5
- 美 제조업·서비스업 투입 비용, 관세 때문에 급증
- 제조업 출하 가격 상승세…소비자에 전가 양상
- 美 관세 정책으로 기업 마진 하락·소비자물가 상승

◇ 최근 OECD가 올해 미국 성장 전망을 2.4%에서 2.2%로 내렸죠. 비관적 경기 전망이 계속되며 글로벌 경기도 둔화 시그널이 보였다고 해요?

- OECD,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기 둔화 전망?
- OECD, 최근 올해 중간 경제 전망치 발표
- OECD "美 관세 압력에 세계 성장 전망 하향"
- 경제 성장…특히 캐나다·멕시코에 타격 클 전망
- 경제 성장 전망, 캐나다 2%→0.7%로 하향 조정
- 경제 성장 전망, 멕시코 +1.2%→- 1.3%로 하향
- OECD, 올해 멕시코 경제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
- OECD "멕시코 경제, 내년에도 역성장할 전망"
- OECD, 올해 美 경제 성장률 2.4%→2.2%로 하향
- OECD,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 0.1%p 상향 조정
- OECD, 중국을 상대적인 무풍지대로 해석한 결과
- 중국, 올해도 적극적 재정 부양책 실시할 전망
- 독일, 재정 부양책 통과…경제 전망 상향 가능성
- 관세 10% 추가 인상 시 멕시코>美>캐나다 순 타격
- 관세 10% 인상 시 물가 상승 압력 加>美>멕 순
- OECD "관세, 북미 자유무역 이점 사라져 악영향“

◇ 독일의 재정 부양책 통과 후 유로존의 경제 심리 개선이 보인다고 하는데, 어떤 상황인가요?

- 獨 부양책 통과…유로존 경제 심리 개선에 영향?
- 독일, 1조 유로 규모의 대규모 부양책 준비
- 유로존, 2월 인플레 2.3%…1월의 2.5%에서↓
- ECB "25% 상호관세 땐 유로존 성장률 0.5%p↓"
- OECD "유로존 올해 경제성장률 1.0%로 하향"
- 독일 3월 Ifo 경기지수 86.7…"경기회복 기대↑"
- 독일 재정 부양책 통과 후 유로존 분위기 개선세
- 유로존 경제 심리 지수, 긍정적 수준 계속 상승 중
- 시티 경제 서프라이즈 지수, 예상치보다 나아져
- ECB 정책금리 하향세…통화 완화책 기조 확인
- 지난 6일 ECB 정책금리 25bp 인하…2.75%로
- 유로존 장기 시장금리↑…채권 공급 증가 우려

◇ 뉴욕증시에 대한 고평가 논란은 계속되고 있고, 다른 나라 증시로 눈을 돌려보라는 이야기도 나오는데요. 대표님은 어떻게 보세요?

- 뉴욕증시 고평가 논란…다른 나라 증시 주목해야?
- "뉴욕증시, 10% 조정 이후에도 여전히 비싼 상황"
- 1990년 이후 지역별 선행 PER 거래 범위 확인
- 뉴욕증시, 여전히 평균보다 선행 PER 높은 상황
- 유럽·중국 등 선행 PER, 평균과 비슷하거나 낮아 
- 유럽·신흥국·중국증시, 밸류에이션 매력도 높아
- 유럽·홍콩 등 증시, 가격보다 기간 조정 가능성↑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