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증시전략] 연일 치솟는 구리 가격…'트럼프세션' 우려에도 오른다?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3.26 06:43
수정2025.03.26 07:14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이지은 이지스탁 대표

Q.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상호관세 완화 기대에도 소비자 신뢰지수가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지수 상승폭은 제한적이었는데요. 오늘(26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강보합…관세 우려 완화에도 경제지표에 '발목'
- 다우 4p 상승에 그쳐…나스닥 0.46%↑ 상대적 강세
- 트럼프 '상호관세 면제' 발언 주목…소비자신뢰지수 부담
- 테슬라 3.5%·애플 1.37% 상승…빅테크 강세 지속
- 테슬라, 유럽 판매량 2개월 연속 급감…주가는 '급등'
- 2월 유럽 판매량 40.1%↓…머스크 정치 리스크 탓
- 美 국채금리 하락 전환…2년물 금리 4.017% 수준
- 국제유가 보합권…WTI, 0.09% 오른 69.17달러
- 美 3월 소비자신뢰지수 92.9…4년 만에 최저치 기록
- 트럼프발 관세 불확실성에 '비관적' 경제 전망 강해져
- 기대지수 65.2…통상 80 밑돌면 경기침체 발생 신호
- 1년 후 기대인플레 2월 5.8%→6.2%…2년래 최고
- 소지바신뢰지수, 美 경기에 대한 소비자들 자신감 가늠
- 콘퍼런스보드 "인플레가 여전히 소비자들의 우려 사항"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 2월 64.7→3월 57.9로 하락
- 2월 PCE 물가 등 추가 지표 주목…경기 상황 확인必
- 다음 주 상호관세 주목…예외나 면제 혜택 기대감 작용
- 트럼프 대통령 추가 발언 대기…"신중하게 매수세 나서"
- 캐나다 총리 "美와 진지한 협상해야…최악 상황도 대비"
- 쿠글러 연준 이사 "현재 제약적 통화정책 잘 자리잡아"
- 美 2월 신규주택판매 전월비 1.8%↑…회복세 전환
- 美 1월 대도시 집값 전년비 4.7%↑...남부는 냉각

Q. 구리 가격이 올해 들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구리 선물 가격 기준으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는데요. 구리는 통상 경기 선행지표로 여겨지는데, 트럼프발 경기 우려 속에서도 오르는 배경, 어떻게 봐야 할까요? 

- 뉴욕상품거래소 구리 선물 가격 5.21달러…사상 최고치
- 트럼프 관세 위협·세계 수요 증가 덕에 구리 가격 급등
- LME 구리 가격, 올해 연일 상승…톤당 1만 달러 육박
- 과거 中 수요가 구리 가격 좌우, 현재는 美 대거 수입
- COMEX-LME 가격 간 차이 톤당 1400달러 이상
- 美 구리 선물 가격, 트럼프2기 출범 이후 LME 상회
- "구리 가격, 올해 사상 첫 1만 2000달러 찍는다"

Q. 어제(25일) 코스피는 트럼프 정부 관세 불확실성 완화에도 이틀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들이 7거래일 만에 매도에 나서면서 지수를 끌어 내렸는데요. 오늘도 약세 이어질까요?

- 코스피, 강달러·정치 불확실성에 2610대 하락…판단은
- 외인 7일 만에 팔자…나흘 만에 6만전자·21만닉스 이탈
- 코스닥도 하락…경계감 확산에 거래대금 감소세 지속
- 트럼프, 일부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 가능성 시사
- 윤석열 대통령 헌재 탄핵심판 선고 지연…투자심리 위축
- 씨티 "탄핵심판 선고 장기화 시 신용등급에도 악영향"
- 한종희 부회장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삼성전자 주가 하락
- 정의선, 31조원 대미투자 발표…자동차주 일제히 상승
- 엔터·카지노주, 중국발 수혜 기대 커진다…투자심리 개선
- 코스닥 오락·문화 업종 지수 최근 3거래일 연속 오름세
- 카지노 업종, 한·중 관계 개선으로 실적·밸류 정상화
- 중국 K콘텐츠 불법 유통, 미디어주도 중국발 수혜 전망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완진다른기사
무역수지 2개월 연속 흑자…수출도 2개월째 늘어
금감원 "홈플러스 대주주 사재출연 책임있는 모습 보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