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인도서 관세 회피 혐의로 9천억 과징금 폭탄
SBS Biz 임선우
입력2025.03.26 04:29
수정2025.03.26 05:37

[인도 뉴델리에 있는 삼성전자 전시매장.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삼성전자가 통신 장비를 수입하면서 관세를 회피했다며 인도 정부로부터 약 9천억 원에 이르는 세금 추징과 과징금 부과 명령을 받았다고 로이터 통신이 현지시간 25일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인도 세무 당국은 삼성전자가 주요 통신 장비를 수입하면서 10% 또는 20%의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수입품을 잘못 분류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해당 품목은 ‘리모트 라디오 헤드’라는 소형 라디오 주파수 회로 모듈로 4G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신호를 송출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삼성전자는 2018∼2021년 한국과 베트남에서 이 부품을 7억 8,400만 달러(약 1조 1,513억 원)어치 수입하면서 관세를 내지 않았습니다.
삼성전자는 “이 부품은 송수신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무관세 품목”이라며 전문가 4명의 감정 결과를 제출했습니다.
하지만 인도 정부는 2020년 삼성전자가 정부에 제출한 서한에서 이 부품을 ‘송수신기’라고 정의했다며 ‘관세 대상 품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이 확보한 인도 세무 당국의 비공개 명령서에서 소날 바자즈 관세국장은 “삼성전자는 해당 품목의 올바른 분류를 알고 있었음에도 의도적으로 허위 신고를 했다”며 “정부를 속여 이익을 극대화하려 했고, 모든 기업 윤리와 산업 표준을 위반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인도 당국은 삼성전자에 총 446억 루피(약 7,636억 원)의 미납 관세 추징과 과징금 부과 조치를 내렸습니다.
여기에 이번 사건과 관련 삼성전자 인도법인 임원들에게 총 8,100만 달러(약 1,189억 원)의 과징금도 부과했습니다.
이에 삼성전자 측은 “이번 사안은 세관의 품목 분류 해석 문제”라며 “우리는 인도 법을 준수하며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최근 인도 당국은 수입품 품목 분류와 관련 분류가 잘못됐다며 대규모 세금을 추징하는 사례가 잦습니다.
독일 폭스바겐에는 12년 동안 차량을 완전분해(CKD) 방식으로 수입하면서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개별 부품을 수입하는 것처럼 허위 신고해 14억 달러(약 2조 563억 원)의 세금을 회피했다고 주장해 법원에서 법적 다툼을 벌이고 있습니다.
기아차 인도법인에도 폭스바겐과 같은 품목 분류 문제와 함께 자유무역협정(FTA)을 잘못 이용했다며 약 150억 루피(약 2,570억 원)의 세금을 청구하기도 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롯데리아 새우버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 2.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진짜였다
- 3.'이 회사도 억대 연봉?'…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
- 4.맥주·라면·우유 미리 사두세요…내일부터 가격 오릅니다
- 5.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 '진짜'…2030 부글부글
- 6."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치솟는 금값 더 오른다
- 7.플렉스 끝났다…의류·여가 소비 '뚝'
- 8.'비닐만 벗긴 갤럭시, 최대 64만원 싸게 사세요'
- 9.'지브리 프사 만들어줘'…챗 GPT에 '우르르', 저작권 침해?
- 10.'전세의 월세화' 가속도…빌라 월세살이 많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