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기업은행 900억 부당대출…감추고 미루고 지웠다

SBS Biz 오수영
입력2025.03.25 17:50
수정2025.03.25 18:35

[앵커] 

은행권 대규모 금융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의 부당대출 규모가 앞서 알려진 것보다 500억 원 넘게 많은 900억 원에 육박한 것으로 금융감독원 검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전·현직 직원 부부가 동료 등과 짜고 수년간 벌인 일인데, 은행 차원의 조직적인 은폐 시도까지 포착됐습니다. 

오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기업은행 퇴직자 A 씨는 대출 심사역인 아내와 고위 임원 B 씨를 포함한 28명과 손을 잡았습니다. 

그렇게 7년 넘게 이어진 부당대출은 무려 785억 원에 달했습니다. 

A 씨의 수법은 해를 거듭할수록 대담해졌습니다. 

64억 원 쪼개기 대출로 토지를 매입한 뒤 거래처 돈을 마치 자기 회사 돈인 것처럼 꾸며 59억 원 PF 대출을 받아 지식산업센터 공사비로 썼습니다. 

간이 더 커진 A 씨는 건설사 청탁을 받고 대출 알선도 했습니다. 

입행 동기인 심사센터장 C 씨와 3명의 지점장에게 216억 원 대출을 알선해 주고 수수료를 받아 챙겼습니다. 

기업은행에서 부당하게 취급된 대출은 총 882억 원으로, 이 중 현재 잔액은 535억 원입니다. 

이미 95억 원이 부실화됐고, 돌려 막기가 차단되면서 부실채권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은행은 사고를 인지하고도 보고를 미뤘고, 검사 자료를 삭제해 형사처벌 가능성까지 불거졌습니다. 

[이세훈 / 금감원 수석부원장 : 은행에서 2024년 9~10월 중 자체 조사를 통해서 금융사고를 인지한 것으로 파악이 되었습니다. 2024년 11월에 이르러서야 사후 관리를 진행을 했는데 사고의 은폐나 축소를 기도한 정황이 여러 가지 발견이 되어서….] 

금감원은 오늘(25일) 농협조합과 저축은행 등 다른 금융사의 부당대출 사례도 함께 공개했습니다. 

농협조합에선 5년간 1083억 원, 저축은행에선 금품 수수와 함께 26억 원 규모의 부당 PF 대출이 적발됐습니다. 

SBS Biz 오수영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오수영다른기사
[단독] 은행이 종소세 신고 해주는 '딱 9천명' 누구?
은행 연체율 또 8년만 최고…신규연체 늘고 정리규모 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