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서울~부산 7만원 되나…코레일 사장 "최소 17% 인상 필요"
SBS Biz 류정현
입력2025.03.25 17:17
수정2025.03.25 17:19
한문희 코레일 사장이 KTX 요금을 17%는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코레일 의도대로 요금 인상이 확정되면 서울~부산 일반실 운임이 5만9800원에서 7만원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25일 대전 사옥에서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을 상대로 연 기자간담회에서 "2011년 12월 이후 14년째 동결된 철도 운임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여러 자구 노력에도 전기 요금과 임금 등 원가가 크게 오른 데다 부채 증가에 따른 이자 비용의 영향으로 재무 건전성에 한계가 온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코레일에 따르면 철도요금이 마지막으로 인상된 2011년 이후 소비자물가지수는 27%, 고속버스 요금 21%, 항공 요금 23%, 최저임금은 128.2%가 각각 올랐습니다.
반면 코레일이 한해 납부하는 전기요금은 182.5%(2051억원→5796억원)나 증가한 데다 누적부채도 21조원으로 이자비용만 연간 4130억원에 달합니다.
코레일이 작년 KTX-청룡을 도입하고, 9개 노선을 개통하면서 역대 최대의 여객 매출을 거뒀는데도 영업손실 1천11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한 사장은 "적어도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낼 수 있을 정도는 돼야 하는데, 수입이 많이 늘어 영업 적자 폭은 줄었지만 아직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습니다.
한 사장은 “그동안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열차운용 효율 극대화, 인력 효율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등 역세권개발과 해외사업 같은 신성장사업 확대에 최선을 다했지만, 곧 다가올 KTX 초기차량 교체 사업을 앞두고는 운임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TX 개통 초기에 들여온 차량들을 교체하는 데는 약 5~6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0년인 내구연한을 고려하면 2027년에는 발주 및 계약을 마쳐야 하는 상황이라는 설명입니다. 교체대상은 모두 46편성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난 65만원, 친구는 299만원'…국민연금 왜 이래?
- 2.백종원, 노랑통닭 '퇴짜'…"안 산다"
- 3.기름 넣을까?…이왕이면 주말에 가득 채우세요
- 4.한남동 관저 떠나는 尹…최대 10년 경호 예우
- 5.'부부 통장에 월 500만원 꽂힌다'…국민연금 비결 뭐길래
- 6.빚에 갇힌 40代, 억대 빚 언제 갚나 '한숨'
- 7."평생 빚만 갚으며 살 것 같다"…1인당 빚 1억 육박
- 8.'애플 주가 급락 이유가 있네'...美서 아이폰 333만원?
- 9.'정말 못 받는 거 아냐'…국민연금 가입자 6년만 2200만명선 무너져
- 10.이 시각 한남동…尹 "기대 부응 못 해 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