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WSJ "관세 지연은 문제를 더 악화할 위험"

SBS Biz 김종윤
입력2025.03.25 11:13
수정2025.03.25 11:17

//img.biz.sbs.co.kr/upload/2025/03/25/6GH1742869002656-850.jpg 이미지
[트럼프 관세 예찬 (PG)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관세 부과 대상을 좁힐 경우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따져볼 때 부정적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지난 주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에 대한 생각이 다소 바뀌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미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들에 대한 상호 관세는 4월 2일 발효될 예정이지만 의약품과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는 나중에 나올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장이 이 보도를 반겼다는 반응을 제쳐두고 이는 결코 좋은 소식이 아니라고 24일(현지시간) 판단했습니다.

반도체처럼 필수 공급망 구성 요소에 대한 광범위한 관세는 결코 작은 일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는데, 기업들이 새로운 무역 환경에서 어떻게 운영할지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조속히 해결되기를 바라는 문제라는 것입니다.

WSJ은 하루 만에 지구상 모든 국가에 다양한 수준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는 어려운 일이었던 만큼 상호 관세 국가 목록이 줄어든 것은 충격적인 일은 아니라며 유럽연합(EU)부터 일본에 이르기까지 가장 중요한 무역 강국들이 여전히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이어 4월 2일 상호 관세를 시행하면서 앞으로 더 많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약속하는 것은 사업 계획 관점에서 보면 이상적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차라리 모든 것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한 상대국들의 대응을 둘러싼 불확실성까지 더해져 경제의 주요 의사 결정권자들이 여전히 '관세 연옥'에서 직면하고 있고, 그 결과로 경제는 어려움을 계속 겪을 것이라고 WSJ은 지적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종윤다른기사
'지브리 프사 만들어줘'…챗 GPT에 '우르르', 저작권 침해?
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인수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