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표적관세 영향 한 포함
SBS Biz 김성훈
입력2025.03.24 11:21
수정2025.03.24 11:59

[앵커]
미국발 불확실성도 점점 커지는 모습입니다.
다음 달 2일 발표될 미국의 상호관세는 모든 나라를 겨누기보다 특정 국가를 표적으로 삼아 부과될 거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특히, 관련해서 우리나라가 다시 한번 언급됐습니다.
김성훈 기자, 상호관세가 표적 관세 형태가 된다는 게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입니까?
[기자]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 당국 관계자들은 "4월 2일 발표될 상호관세는 전면적이기보다 '더 표적화된' 형태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이 무역적자를 보지 않는 국가 등은 아예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고, 불공정한 무역이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국가에 관세 부과를 집중하겠다는 겁니다.
또 일각에선 발표와 실제 관세 부과에는 시차가 있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됐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적 효과를 위해 관세율을 발표하면서 즉시 발효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여기에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에 부과될 관세는 지난 수십 년간 보지 못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다만 자동차와 반도체 등 특정 품목별 관세는 4월 2일에 발표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그런데 우리나라가 포함될지가 우려되는 상황이죠?
[기자]
블룸버그는 집중 관세 공격을 받을 국가가 "아직 명확하지 않다"면서도 "한국이 유럽연합(EU)과 멕시코, 일본, 중국 등과 함께 불공정 무역국가로 지목됐다"고 보도했습니다.
미 당국 관계자가 거론한 불공정 무역국가들은 미국 입장에서 무역 적자폭이 컸던 나라들이었는데요.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흑자 규모는 660억 달러로, 8위를 기록했습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미국을 찾아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등과 면담했는데요.
안 장관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 가능성에 "지금은 예단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미국과 지속 협의해 우리 산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협의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SBSBiz 김성훈입니다.
미국발 불확실성도 점점 커지는 모습입니다.
다음 달 2일 발표될 미국의 상호관세는 모든 나라를 겨누기보다 특정 국가를 표적으로 삼아 부과될 거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특히, 관련해서 우리나라가 다시 한번 언급됐습니다.
김성훈 기자, 상호관세가 표적 관세 형태가 된다는 게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입니까?
[기자]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 당국 관계자들은 "4월 2일 발표될 상호관세는 전면적이기보다 '더 표적화된' 형태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이 무역적자를 보지 않는 국가 등은 아예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고, 불공정한 무역이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국가에 관세 부과를 집중하겠다는 겁니다.
또 일각에선 발표와 실제 관세 부과에는 시차가 있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됐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적 효과를 위해 관세율을 발표하면서 즉시 발효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여기에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에 부과될 관세는 지난 수십 년간 보지 못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다만 자동차와 반도체 등 특정 품목별 관세는 4월 2일에 발표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그런데 우리나라가 포함될지가 우려되는 상황이죠?
[기자]
블룸버그는 집중 관세 공격을 받을 국가가 "아직 명확하지 않다"면서도 "한국이 유럽연합(EU)과 멕시코, 일본, 중국 등과 함께 불공정 무역국가로 지목됐다"고 보도했습니다.
미 당국 관계자가 거론한 불공정 무역국가들은 미국 입장에서 무역 적자폭이 컸던 나라들이었는데요.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흑자 규모는 660억 달러로, 8위를 기록했습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미국을 찾아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등과 면담했는데요.
안 장관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 가능성에 "지금은 예단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미국과 지속 협의해 우리 산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협의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SBSBiz 김성훈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새마을금고 무더기 '부실' 후폭풍…고금리 예금 막혔다
- 2."불길 코앞인데, 골프 후반전 나가라"…라운딩 강행 골프장 논란
- 3.[단독] 하나카드, 연체 발생 시 '체크카드' 결제도 막는다
- 4."대웅 우루샷정, 간 개선 효과 없다"…식약처에 백기
- 5.알리·테무·쉬인 '싸다고 청바지 사줬는데, 애 잡겠네'
- 6.선거법 2심 이재명 '무죄'
- 7.'50대 이상 싱글 남성이 위험하다'…개인파산 가장 많아
- 8.19만원서 1만원된 금양…상폐 위기 '빨간불'
- 9.금양 주주들 곡소리…상폐 위기 속출
- 10.'사상 최악의 산불' 지리산 덮쳤다, 하회 마을 코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