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 브리핑] "中, 전기차 대미 수출제한 검토"…트럼프 달래기 外

[중국 저장성의 전기차 공장 (로이터=연합뉴스)]
[글로벌 비즈 브리핑] 한 눈에 보는 해외 경제 이휴
▲"中, 전기차 대미 수출제한 검토"...트럼프 달래기
▲톰 리 "美 증시 바닥쳤다...반등할 것"
▲"오픈AI·메타, 인도 대기업 릴라이언스와 협력 논의"
▲틱톡 운명은…"바이트댄스 美대주주들 미국법인 인수로 가닥"
▲'머스크 반감'...테슬라 전시장 앞 시위 지속
▲日 평생직장은 옛말…작년 정규직 이직자 99만명 '역대 최다'
"中, 전기차 대미 수출제한 검토"...트럼프 달래기
‘관세폭탄’ 카드를 빼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를 달래기 위해 중국이 전기자동차 등의 대미 수출량을 통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현지시간 21일 보도했습니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은 전기자동차나 배터리 등 막대한 보조금을 지급하는 상품의 대미 수출 물량을 통제해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와 기타 비관세 무역장벽들을 막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중국 정부는 이를 위해 1980년대에 일본이 미국과의 심각한 무역갈등을 줄이기 위해 취한 자동차 수출자율규제(VER)를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981년 오일쇼크와 그에 뒤이은 일본차의 무차별 공세로 미국의 자동차산업이 고사 위기에 처하자 일본은 자국산 자동차의 대미 수출량을 통제했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의 관세 인상을 막은 적이 있습니다.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총 20%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다음달 2일에는 상호관세도 추가로 발표할 계획입니다.
미국의 관세폭탄에 직면한 중국은 전기차와 배터리 부문의 미국 현지 투자기회 확보를 대가로 자국산 전기차와 배터리의 대미 수출 제한을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중국은 세계 역사상 가장 불균형한 경제”라고 비난한 데 이어, 지난달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와 통화에서도 중국에 무역 불균형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전달한 바 있습니다.
톰 리 "美 증시 바닥쳤다...반등할 것"
월가에서 미국 증시가 바닥을 치고 곧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현지시간 21일 CNBC에 따르면 월가의 유명 분석가인 톰 리 펀드스트랫 공동 창업자 겸 리서치 총책은 도널드 트럼프 2기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국 증시가 긴 하락세를 탔으나 결국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후와 마찬가지로 관세 공포를 털고 다시 뛰어오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는 "경제 상황과 시장 구조 등에 중요한 차이가 있기는 하나, 이번에도 주식시장은 관세에 대해 2018년과 유사하게 반응할 수 있다"면서 "사실 현재 조건은 당시에 비해 훨씬 더 유리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관세 우려 해소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은 '트럼프 풋'(Trump Put)과 '연준 풋'(Fed Put)의 시너지라는 독특한 역학을 창출할 수 있다"면서 "이 같은 이중 지원 매커니즘은 관세 정책이 명확성을 드러내는대로 강력한 시장 반등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자신했습니다.
트럼프 풋·연준 풋은 '풋 옵션'(Put Option)에서 따온 말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언행, 연준 행보 등이 증시의 추가 하락을 막고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일컫습니다.
CNBC는 트럼프 1기 당시인 2018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에서 트럼프가 '관세' 문제를 언급하기 시작한 지 불과 10일 만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2% 급락한 바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후 3월, 관세 지침이 발표된 후 S&P500은 9% 더 하락했고, 같은 해 10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추가 금리 인상 계획을 밝히자 20% 폭락했습니다.
S&P500지수는 2018년 6.24%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폭풍이 걷히면서 이듬해인 2019년에는 28.88% 급등한 바 있습니다.
리는 "현재 상황이 2018년 당시보다 훨씬 양호하다"면서 "연준은 금리 인상이 아닌 금리 인하를 고려하고 있고, 시장의 기술적 분석 지표들이 당시보다 좋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펀드스트랫 기술전략 총책 마크 뉴튼의 분석을 인용, "증시가 바닥을 형성했다는 신호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갑작스런 투매 폭풍에 S&P500지수가 조정 영역(최근 고점 대비 10% 이상↓)으로 떨어졌다가 헤어나고, 나스닥지수가 여전히 조정 영역에 잠겨있는 사실을 상기하며 "주가 10% 급락은 심장마비를 일으킬만한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기록상 볼 때 최근같은 급격한 하락은 오래가지 않는다"고 부연했습니다.
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가 집계하는 변동성지수(VIX) 선물 가격은 트럼프가 상호관세 부과일로 제시한 내달 2일 전후에 변동성 고조를 반영했을 뿐 이후에는 변동성이 낮아질 것을 시사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관세 협상 관련 위험 요소들이 남아있기는 하나, 통화정책과 기술적 데이터들이 모두 건설적으로 기울어 있다"면서 "시장은 회복세와 상승 탄력을 보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오픈AI·메타, 인도 대기업 릴라이언스와 협력 논의"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이 인도에서 인공지능(AI) 사업 확대를 위해 인도의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와 각각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이 현지시간 22일 보도했습니다.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는 인도 최대 기업 중 하나로, 석유화학과 정제·석유·가스 탐사·통신·유통·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회사인 '릴라이언스 지오'는 인도 최대 통신회사입니다.
소식통은 오픈AI가 릴라이언스 지오와 협력을 통해 챗GPT를 배포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며, 이를 위해 월 20달러의 챗GPT 구독료를 일부 인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릴라이언스는 오픈AI의 AI 모델을 자사의 기업 고객에게 판매하고, 오픈AI의 AI 시스템을 인도에서 운영해 현지 고객 데이터를 인도 내에서 보관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릴라이언스는 인도 서부 잠나가르 시에 건설을 계획 중인 세계 최대 규모의 3기가와트(GW)급 데이터 센터에 오픈AI와 메타의 AI 모델을 운영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습니다.
오픈AI와 메타는 릴라이언스와 협력이 인도 현지 기업들이 외국 AI 기업에 밀려나는 것을 우려하는 인도 정부와 관계를 강화하고, 현지 소비자와 기업 사이에서 입지를 확대하는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백악관이 주도하는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미래에 대한 논의가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의 기존 미국 투자자들이 틱톡의 미국 사업을 인수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통합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가 현지시간 22일 보도했습니다.
틱톡의 미국 법인을 분사하고 바이트댄스의 기존 미국 투자자들이 분사한 틱톡 미국 법인에 대한 지분을 높이는 대신 중국의 지분은 미국 법이 요구하는 20% 이하로 낮추는 방안입니다.
바이트댄스 이사회 멤버인 에프 야스의 서스쿼해나인터내셜그룹과 빌 포드의 제너럴 애틀랜틱이 이 계획에 대해 백악관과 논의를 주도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 소식통은 바이트댄스의 기존 주주가 아닌 사모펀드 KKR도 이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2022년부터 틱톡의 미국 사용자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해온 미국 소프트웨어 업체 오라클도 분사한 틱톡 미국 법인의 지분을 소수 보유하고 중국이 틱톡 미국인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는 보장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해졌습니다.
현재 바이트댄스의 지분 60%는 블랙록과 제너럴 애틀랜틱, 서스쿼해나인터내셔설이 소유하고 있고, 20%는 회사 설립자들이, 나머지 20%는 수천 명의 미국인이 포함된 직원들이 각각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미국 연방 의회는 바이트댄스가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등 국가 안보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며 지난해 4월 틱톡 금지법을 제정했고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서명해 발효됐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20일 백악관에 복귀하자마자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내 틱톡 서비스 금지법 시행을 90일간 유예한 바 있습니다.
최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강제 매각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스스로 생각하는 시기에 맞춰 틱톡과 거래를 하려 시도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머스크 반감'...테슬라 전시장 앞 시위 지속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내 정부효율부(DOGE)의 연방 정부 조직 및 예산 감축 조치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22일 CNN에 따르면 미국 전역의 약 90개 테슬라 전시장에서 진행 중인 시위가 5주 차에 접어들었습니다,
‘테슬라 테이크다운(Tesla Takedown)’이라는 명칭의 이 캠페인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테슬라를 팔고, 주식을 정리하라”며 머스크 CEO를 겨냥한 보이콧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 운동은 할리우드 배우이자 영화감독인 알렉스 윈터와 존 도노반 보스턴대학교 저널리즘 및 신흥 연구 조교수가 주도해 시작됐습니다. 현재 28개주와 워싱턴 DC에서 지역 조직이 결성됐으며, 전시장 앞 시위는 점점 더 많은 인파를 끌어모으고 있습니다.
시위대는 ‘일론을 싫어하면 경적을 울려라(Honk if you hate Elon)’ 또는 ‘테슬라를 팔아라(Sell your swasticar)’ 등의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항의하고 있습니다.
머스크 CEO가 수장으로 있는 DOGE는 연방 기관의 축소 또는 개편을 위한 강경한 조치를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DOGE는 독립 비영리 기관인 미국평화연구소(USIP)를 폐쇄하려 했으며, 오는 5월 15일까지 국세청(IRS) 직원의 20%를 감축하는 방안도 제안한 것으로 보도됐습니다.
도노반 교수는 CNN과 인터뷰에서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서 DOGE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이 없다”며 “그 점은 이 시위에 참여하는 다양한 사람들 삶 속에서도 반영된다”고 말했습니다.
CNN에 따르면 메릴랜드주 록빌에 있는 테슬라 전시장 앞에서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시위가 시작됐으며, 400명 이상의 군중이 모였다. 시위 참가자들은 지난주와 비슷한 규모이지만, 캠페인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보다 크게 증가한 수치라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진행된 직원회의에서 “여러분의 주식을 꼭 붙잡고 있으라”고 말했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작년 12월 17일 최고가인 479.86달러를 기록했지만, 이후 48% 하락해 지난 21일 248.71달러에 마감됐습니다.
테슬라 차량에 대한 거부 움직임도 커지고 있습니다. 자동차 정보 사이트 에드먼즈에 따르면 올해 3월 1일부터 16일까지 테슬라 차량(2017년 이후 모델)의 전체 중고차 반납 비율은 1.4%로, 지난해 3월의 0.4%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日 평생직장은 옛말…작년 정규직 이직자 99만명 '역대 최다'
일본에서 작년 정규직 이직자 수가 99만 명으로 비교할 수 있는 통계가 있는 2012년 이후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총무성 '노동력 조사'를 인용해 23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정규직에서 다른 회사의 정규직으로 이직한 사람 수는 전년 대비 5% 증가했고 10년 전과 비교하면 62% 늘었습니다.
반면 지난해 비정규직에서 다른 회사의 정규직으로 이직한 사람은 32만 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작년 정규직 이직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25∼34세가 37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35∼44세가 24만 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신문은 이들 연령대 일부가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로 신규 채용이 줄었던 시기에 취업 활동을 한 세대와 겹친다면서 "젊은 세대일수록 이직으로 임금이 오르는 경향이 있는 것도 직장을 바꾸는 요인으로 보인다"고 해설했습니다.
일본 일부 기업들은 이직자 증가에 대응해 경력 채용을 늘리고, 노동력 감소를 막기 위해 임금 인상과 유연한 근무 체계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직을 돕는 업체의 관련 서비스 수수료 수입은 2022년도(2022년 4월∼2023년 3월)에 7천702억엔(약 7조5천억원)으로 10년 전과 비교해 3배 이상으로 늘었습니다.
한번 입사하면 정년퇴직할 때까지 계속 근무하는 평생직장 문화가 있었던 일본에서 이처럼 이직자가 증가하면 경제 성장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신문은 전망했습니다.
신문은 "일본의 고용 유연성은 선진국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산업의 신진대사가 진행되기 어려워 경제 성장의 족쇄가 됐다"며 "생산성이 낮은 기업의 노동자가 이직하면 경제 전체의 효율이 높아진다"고 분석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새마을금고 무더기 '부실' 후폭풍…고금리 예금 막혔다
- 2."설마 제값주고 사실 건가요?"…여기선 한우·대게 반값
- 3."불길 코앞인데, 골프 후반전 나가라"…라운딩 강행 골프장 논란
- 4.[단독] 하나카드, 연체 발생 시 '체크카드' 결제도 막는다
- 5."대웅 우루샷정, 간 개선 효과 없다"…식약처에 백기
- 6.알리·테무·쉬인 '싸다고 청바지 사줬는데, 애 잡겠네'
- 7.선거법 2심 이재명 '무죄'
- 8.'50대 이상 싱글 남성이 위험하다'…개인파산 가장 많아
- 9.19만원서 1만원된 금양…상폐 위기 '빨간불'
- 10.금양 주주들 곡소리…상폐 위기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