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관세 첩첩산중…기준금리 2%대로 내렸다
SBS Biz 신성우
입력2025.02.25 14:48
수정2025.02.25 15:06
[앵커]
금리를 낮추자니 부채를 자극할까 걱정되고, 금리를 유지하자니 경제 상황이 걱정되던 한국은행의 고민이 결국 금리 인하로 결론이 났습니다.
금리 인하를 막던 여러 요인보다도 결국 우리나라를 둘러싼 경기침체의 공포를 더 중요하게 본 것으로 해석됩니다.
첫 소식으로 금리 결정을 둘러싼 한국은행의 시각을 신성우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지난달 기준금리를 유지했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한 달 만에 인하로 돌아섰습니다.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기준금리를 3.00%에서 2.75%로 내리면서 2년 4개월 만에 2%대에 재진입했습니다.
환율 변동성이 여전하지만 금리를 낮춰 경기 추락을 막는데 무게를 뒀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 1월에는 비상계엄 사태 등 국내상황이 중요한 요인이었다면, 이번 전망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관세정책 등의 불확실성이 더 커졌기 때문입니다. 당초 예상보다 관세 부과 시기가 앞당겨지고, 관세율 높아질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불확실성을 반영했습니다.)]
이런 영향으로 한국은행은 우리 경제가 1.5%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달 중간 점검을 통해 예상했던 1.6~1.7%보다 낮은 수준으로, 지난해 11월 전망치와 비교하면 0.4% p나 낮췄습니다.
내수를 회복시키기 위해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통화정책부터 가동해 급한 불을 끄기로 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 1.5% 이상의 경제 성장률이 필요하다고 하면, 재정정책과의 공조가 당연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금리를 예상보다 더 낮추게 되면 환율에 주는 영향이라든지, 물가에 주는 영향이라든지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15조~20조 원 규모의 추경이 편성되면 경제 성장률을 0.2% p 끌어올릴 것으로 추산됩니다.
다만 이창용 총재는 20조 원이 넘는 추경은 부작용을 일으키고 재정건전성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SBS Biz 신성우입니다.
금리를 낮추자니 부채를 자극할까 걱정되고, 금리를 유지하자니 경제 상황이 걱정되던 한국은행의 고민이 결국 금리 인하로 결론이 났습니다.
금리 인하를 막던 여러 요인보다도 결국 우리나라를 둘러싼 경기침체의 공포를 더 중요하게 본 것으로 해석됩니다.
첫 소식으로 금리 결정을 둘러싼 한국은행의 시각을 신성우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지난달 기준금리를 유지했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한 달 만에 인하로 돌아섰습니다.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기준금리를 3.00%에서 2.75%로 내리면서 2년 4개월 만에 2%대에 재진입했습니다.
환율 변동성이 여전하지만 금리를 낮춰 경기 추락을 막는데 무게를 뒀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 1월에는 비상계엄 사태 등 국내상황이 중요한 요인이었다면, 이번 전망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관세정책 등의 불확실성이 더 커졌기 때문입니다. 당초 예상보다 관세 부과 시기가 앞당겨지고, 관세율 높아질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불확실성을 반영했습니다.)]
이런 영향으로 한국은행은 우리 경제가 1.5%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달 중간 점검을 통해 예상했던 1.6~1.7%보다 낮은 수준으로, 지난해 11월 전망치와 비교하면 0.4% p나 낮췄습니다.
내수를 회복시키기 위해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통화정책부터 가동해 급한 불을 끄기로 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 1.5% 이상의 경제 성장률이 필요하다고 하면, 재정정책과의 공조가 당연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금리를 예상보다 더 낮추게 되면 환율에 주는 영향이라든지, 물가에 주는 영향이라든지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15조~20조 원 규모의 추경이 편성되면 경제 성장률을 0.2% p 끌어올릴 것으로 추산됩니다.
다만 이창용 총재는 20조 원이 넘는 추경은 부작용을 일으키고 재정건전성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SBS Biz 신성우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재용 보다 주식 재산 많다는 '이 사람'…재산 얼마?
- 2.집 있어도 은행서 돈 빌릴 수 있다…이 은행만 '아직'
- 3.퇴직금은 무조건 일시불?…세금 폭탄 이렇게 피한다고?
- 4.'76·86·96년생은 깎아준다 왜?'...국민연금 보험료 차등인상 시끌
- 5.월 300만원...필리핀 이모님 결국 강남 이모님 됐네
- 6.'남아도는 철판, 한국에 싸게 팔아먹자'…결국 결단
- 7.FIU, 두나무에 "업비트 영업 일부정지 3개월"
- 8.1조 투자한다던 BMW도 돌아섰다…전기차 급방전
- 9.상품권 미끼로 이자 준다더니…억대 먹튀 피해 일파만파
- 10.月 70만원씩 모으면 5천만원 준다고?…나도 가입할 수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