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트럼프 취임 후 '한 달'…뉴욕증시, 기대감이 우려로?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2.24 06:47
수정2025.02.24 07:17
■ 모닝벨 '전문가 출연' - 박석현우리은행 투자상품전략부 부부장
뉴욕증시 투자심리가 꺾였습니다. 부진한 소비지표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확산됐는데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번 주 시장을 흔들 변수들, 자세히 짚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우리은행 투자상품전략부의 박석현 부부장 나오셨습니다.
Q. 금요일 장 흐름을 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가 우려로 바뀌는 모습인데요. 뉴욕증시 흐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일단 이렇다 할 상승 동력은 보이질 않는데요?
- 뉴욕증시, 'S공포에' 올해 최대 낙폭…더 떨어질까?
- 다우지수 1.69% 급락…S&P500·나스닥 동반 약세
- 비관적 지표에 美 경제 전망 공포 확대…투자심리 위축
- 경기둔화 우려에 급락…'월가 공포지수' 16% 폭등
- S&P글로벌 2월 서비스업 PMI 49.7…예상치 하회
- 미시간대 2월 소비자심리지수 64.7…전월대비 10%↓
- "美소비자들, 잠재적 관세 영향 고려 물가 상승 우려"
- 트럼프 관세정책, 잘 나가던 美 성장에 그림자 드리워
- 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 현상,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고조
-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전혀 없는 시나리오 아냐"
- 글로벌 주식시장 수익률, 지난해·올해 정반대 흐름 뚜렷
- 지난해 동반 랠리 美·日 부진…유럽증시 큰 폭으로 상승
- 높아진 가격 부담에 상승 둔화…한국 중심 가격 매력↑
Q.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이번 주 후반에 발표될 PCE 물가지표에 관심이 쏠립니다. 앞서 CPI 지표가 예상치를 큰 폭으로 웃돌면서 우려감이 키웠었는데요. PCE 물가지표도 충격을 주지 않을까 걱정인데요?
- 1월 PCE 가격지수에 '촉각'…인플레 우려 키울까?
- 1월 CPI 지표 전월대비 0.5% 상승…예상치 웃돌아
- "CPI·PPI 세부 항목 감안 PCE 충격 없을 것"
- 항공료·진료비·치료비 등 PCE 영향 주는 항목 하락
- "1월 PPI는 근원 PCE에 게임 체인저"…시장 안도
- 1월 PCE 전년비 2.5% 상승 전망…12월 2.6%
- "근원 PCE 가격지수 역시 12월대비 둔화됐을 것"
- 3월 FOMC 회의 전 마지막 참고할 핵심 물가지표
Q. 이번 주 최대 관심사는 엔비디아 실적입니다. AI 대장주로 지난 2년간 폭등하면서 시장을 주도했었는데요. 최근 딥시크 등장 이후 열기가 한풀 꺾인 모습이죠. 이번 실적 발표가 엔비디아를 향한 의구심을 증폭시킬지, 아니면 해소시킬지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 딥시크 쇼크 이후 엔비디아 첫 실적 발표…관전포인트는?
- 엔비디아 재작년 239%·작년 171% 폭등…시장 주도
- 저비용·고성능 딥시크 'R1' 후폭풍, 엔비디아 덮쳤다
- "챗GPT 증류기술 활용" 분석에 딥시크 충격 완화
- 딥시크 충격 극복…AI 수요 확대로 성장 지속 기대
- 지난해 4분기부터 블랙웰 칩 매출 실적에 반영되기 시작
- 4분기 매출 380억달러·주당순이익 0.85달러 전망
- 데이터센터 부문, 클라우드 업체 투자 확대로 84%↑
- 최신 블랙웰 칩 판매 전환·中 수출 규제 강화 영향
- UBS, 1분기 실적 가이던스 425~430억달러 기대
- 젠슨 황 "딥시크, AI 시장 성장 가속화할 것" 강조
- 도이체방크 "엔비디아 주가, 더 오를 여지 희박"
- 도이체, 엔비디아 투자의견 '보유'·목표주가 140달러
Q. 국내증시는 지난주 다양한 호재 속에 2650선을 회복했습니다. 주말 사이 미국이 급락한 상황이라.. 2700선 돌파 과연 가능할까요? 단기 급등으로 쉬어갈 타이밍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 코스피, 단기 급등 부담 속 '삼천피' 전망…가능할까?
- 국내증시 3주 연속 상승…연기금 최장 순매수 진행 중
- K칩스법 추진·한한령 해제 가능성·中 반덤핑 관세 호재
- 트럼프 관세 우려 상존…"매물 소화 과정 나타날 것"
- 외국인 지난주 코스피 3200억 순매도…6주 연속 팔자
- 대내외 변수 속 일부 업종 가격 부담에 변동성 불가피
- 2600선 전후 지지력 테스트…기술적 조정 시 비중확대
- 25일 한은 금통위…시장에선 기준금리 인하 전망 우세
- 2월 금통위 인하 확률 88.5%…상반기 50bp 인하
- 기존 주도주 조선·방산·전력기기 관심은 여전히 유효
- 안정된 금리 흐름·학회 모멘텀 헬스케어 업종 관심 필요
- 저평가 매력 커지는 코스피 2800~2900 회복할 것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뉴욕증시 투자심리가 꺾였습니다. 부진한 소비지표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확산됐는데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번 주 시장을 흔들 변수들, 자세히 짚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우리은행 투자상품전략부의 박석현 부부장 나오셨습니다.
Q. 금요일 장 흐름을 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가 우려로 바뀌는 모습인데요. 뉴욕증시 흐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일단 이렇다 할 상승 동력은 보이질 않는데요?
- 뉴욕증시, 'S공포에' 올해 최대 낙폭…더 떨어질까?
- 다우지수 1.69% 급락…S&P500·나스닥 동반 약세
- 비관적 지표에 美 경제 전망 공포 확대…투자심리 위축
- 경기둔화 우려에 급락…'월가 공포지수' 16% 폭등
- S&P글로벌 2월 서비스업 PMI 49.7…예상치 하회
- 미시간대 2월 소비자심리지수 64.7…전월대비 10%↓
- "美소비자들, 잠재적 관세 영향 고려 물가 상승 우려"
- 트럼프 관세정책, 잘 나가던 美 성장에 그림자 드리워
- 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 현상,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고조
-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전혀 없는 시나리오 아냐"
- 글로벌 주식시장 수익률, 지난해·올해 정반대 흐름 뚜렷
- 지난해 동반 랠리 美·日 부진…유럽증시 큰 폭으로 상승
- 높아진 가격 부담에 상승 둔화…한국 중심 가격 매력↑
Q.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이번 주 후반에 발표될 PCE 물가지표에 관심이 쏠립니다. 앞서 CPI 지표가 예상치를 큰 폭으로 웃돌면서 우려감이 키웠었는데요. PCE 물가지표도 충격을 주지 않을까 걱정인데요?
- 1월 PCE 가격지수에 '촉각'…인플레 우려 키울까?
- 1월 CPI 지표 전월대비 0.5% 상승…예상치 웃돌아
- "CPI·PPI 세부 항목 감안 PCE 충격 없을 것"
- 항공료·진료비·치료비 등 PCE 영향 주는 항목 하락
- "1월 PPI는 근원 PCE에 게임 체인저"…시장 안도
- 1월 PCE 전년비 2.5% 상승 전망…12월 2.6%
- "근원 PCE 가격지수 역시 12월대비 둔화됐을 것"
- 3월 FOMC 회의 전 마지막 참고할 핵심 물가지표
Q. 이번 주 최대 관심사는 엔비디아 실적입니다. AI 대장주로 지난 2년간 폭등하면서 시장을 주도했었는데요. 최근 딥시크 등장 이후 열기가 한풀 꺾인 모습이죠. 이번 실적 발표가 엔비디아를 향한 의구심을 증폭시킬지, 아니면 해소시킬지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 딥시크 쇼크 이후 엔비디아 첫 실적 발표…관전포인트는?
- 엔비디아 재작년 239%·작년 171% 폭등…시장 주도
- 저비용·고성능 딥시크 'R1' 후폭풍, 엔비디아 덮쳤다
- "챗GPT 증류기술 활용" 분석에 딥시크 충격 완화
- 딥시크 충격 극복…AI 수요 확대로 성장 지속 기대
- 지난해 4분기부터 블랙웰 칩 매출 실적에 반영되기 시작
- 4분기 매출 380억달러·주당순이익 0.85달러 전망
- 데이터센터 부문, 클라우드 업체 투자 확대로 84%↑
- 최신 블랙웰 칩 판매 전환·中 수출 규제 강화 영향
- UBS, 1분기 실적 가이던스 425~430억달러 기대
- 젠슨 황 "딥시크, AI 시장 성장 가속화할 것" 강조
- 도이체방크 "엔비디아 주가, 더 오를 여지 희박"
- 도이체, 엔비디아 투자의견 '보유'·목표주가 140달러
Q. 국내증시는 지난주 다양한 호재 속에 2650선을 회복했습니다. 주말 사이 미국이 급락한 상황이라.. 2700선 돌파 과연 가능할까요? 단기 급등으로 쉬어갈 타이밍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 코스피, 단기 급등 부담 속 '삼천피' 전망…가능할까?
- 국내증시 3주 연속 상승…연기금 최장 순매수 진행 중
- K칩스법 추진·한한령 해제 가능성·中 반덤핑 관세 호재
- 트럼프 관세 우려 상존…"매물 소화 과정 나타날 것"
- 외국인 지난주 코스피 3200억 순매도…6주 연속 팔자
- 대내외 변수 속 일부 업종 가격 부담에 변동성 불가피
- 2600선 전후 지지력 테스트…기술적 조정 시 비중확대
- 25일 한은 금통위…시장에선 기준금리 인하 전망 우세
- 2월 금통위 인하 확률 88.5%…상반기 50bp 인하
- 기존 주도주 조선·방산·전력기기 관심은 여전히 유효
- 안정된 금리 흐름·학회 모멘텀 헬스케어 업종 관심 필요
- 저평가 매력 커지는 코스피 2800~2900 회복할 것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이재용 보다 주식 재산 많다는 '이 사람'…재산 얼마?
- 3.집 있어도 은행서 돈 빌릴 수 있다…이 은행만 '아직'
- 4."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5.'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6.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7.'76·86·96년생은 깎아준다 왜?'...국민연금 보험료 차등인상 시끌
- 8.월 300만원...필리핀 이모님 결국 강남 이모님 됐네
- 9.'남아도는 철판, 한국에 싸게 팔아먹자'…결국 결단
- 10.퇴직금은 무조건 일시불?…세금 폭탄 이렇게 피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