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연기금 '14년 만에 최장' 순매수…지수 뒷받침해줄까?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2.21 06:58
수정2025.02.21 07:56
■ 모닝벨 '이슈분석' - 진행 : 최주연 / 출연 : 김태성 아이에셋 본부장
월마트와 경제지표 발표에 시장에서는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을 동반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국내증시는 연기금이 14년 만에 최장 기간의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죠. 국내외 시장 점검 김태성 아이에셋 본부장과 함께 하겠습니다.
Q. 먼저 월마트의 실적이 중요한 이유는 미국 경제의 주축인 소비 경기를 단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인데요. 어떻게 나왔습니까?
- '소비 경기 가늠' 월마트 실적 발표…타격 받았나?
- 주가, 최근 한달 10%·지난 6개월 간 40% 상승
- 4분기 총매출 1,806억 달러…전년비 4.1% 증가
- 월마트, 보수적 가이던스 제시에 투자심리 위축
- 월가, 평균 목표가 112.30달러·'강력 매수' 의견
- 월마트, 6.53% 급락한 97.21달러 마감
Q. 여기에 각종 경제지표도 발표됐는데요. 어떤 것들이 나왔는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시장을 지배할 것으로 보시는지 분석 부탁드립니다.
- 간밤 경제지표 고려 시, 스태그플레이션 시작됐나?
- 美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21만9천명…전망치 상회
- 美 2월 필라델피아 제조업 지수 18.1…전망치 하회
- 1월 경기선행지수 전월비 0.3%↓…예상치 0.1%↓
- 굴스비 총재 "인프레이션 목표치 2%보다 여전히 높다"
- 베센트 재무장관 "국채 장기물 비중 확대 '시기상조'"
Q. 미국의 인공지능 방산 소프트웨어 기업인 팔란티어가 전일에 이어 오늘(21일)도 급락했습니다. 원인은 무엇이었는지, 향후 전망까지 짚어본다면요?
- 팔란티어 전일에 이어 또 급락…당분간 피할 수 없다?
- 팔란티어, 美 인공지능(AI) 방산 소프트웨어 기업
- 향후 5년간 국방 예산 최대 40% 삭감 계획에 타격
- 팔란티어, 5.17% 급락한 106.27달러 마감
- 루프 캐피털, 팔란티어 주가 하락에 "저가 매수 기회"
- 올해 약 30% 상승…월가 평균 목표가 91.88달러
Q. 머스크가 자동차 시장 세계 3위 규모의 인도를 노리자 트럼프 대통령이 경고를 보냈습니다. 인도의 높은 자동차 수입 관세를 트럼프는 과거에도 문제제기한 바 있죠? 오늘 주가도 하락했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 트럼프-머스크 충돌?…테슬라, 인도 진출 제동 걸리나?
- 테슬라, 인도 진출 재시동…3위 규모의 자동차 시장
- 인도, 전기차 수입 관세 100%에 달해…트럼프 지적
- 트럼프 대통령 "테슬라 인도 판매 불가능·美에 불공평"
- 테슬라, 美 공장 노동자 감전사로 안전규정 위반 조사
- 테슬라, 1.71% 하락한 354.40달러 마감
- 월가 평균 목표가 340.50달러…약 6% 하락 가능성
Q. 연기금이 지속해서 국내 시장에 들어오며 지수를 뒷받침 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제(20일) 국내 시장은 조정을 받았는데요. 잠깐의 조정으로 보시나요?
- 연기금, 34거래일 연속 매수…매일 약 1000억 규모
- 수급 흐름 '변화' 체크 필요…연기금 vs. 외국인
- 국내시장, 지수보다는 결국 '종목 플레이 장세' 예상
Q. 산업통상자원부가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야한다는 예비 판정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中 후판에 27.9∼38% 잠정 반덤핑 관세…영향력은?
- 업종별 매출액 등 '이득' 차이 존재…조선 vs 철강
- 오히려 미국 내 공장 증설한 '강관 업종' 관심 우위
Q.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확산하며 화장품, 엔터, 게임, 여행업계 등에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한한령이 정말 해제될 것으로 보시는지, 그렇다면 실적과 주가는 어느 정도의 상승 폭을 기대해 봐도 좋을까요?
- 한한령 해제 기대감…실현 가능성 및 수혜 섹터 전망은?
- 2017년 사드배치 보복 후 시작된 한한령 해제 기대감
- 실현 가능성보다 결국 기대감…콘텐츠·엔터 섹터 주목
Q. 마지막으로 다음주 증시 주요 변수 짚어볼까요?
- 다음 주 '빅이벤트' 다수…변동성 피할 수 없나?
- 24일 일본 증시 휴장·25일 한은 금통위 예정
- 27일 경제성장률 및 엔비디아 실적 발표 예정
- 28일 美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발표 예정
- 트럼프, 다음 주 프랑스 대통령·영국 총리와 각각 회담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월마트와 경제지표 발표에 시장에서는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을 동반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국내증시는 연기금이 14년 만에 최장 기간의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죠. 국내외 시장 점검 김태성 아이에셋 본부장과 함께 하겠습니다.
Q. 먼저 월마트의 실적이 중요한 이유는 미국 경제의 주축인 소비 경기를 단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인데요. 어떻게 나왔습니까?
- '소비 경기 가늠' 월마트 실적 발표…타격 받았나?
- 주가, 최근 한달 10%·지난 6개월 간 40% 상승
- 4분기 총매출 1,806억 달러…전년비 4.1% 증가
- 월마트, 보수적 가이던스 제시에 투자심리 위축
- 월가, 평균 목표가 112.30달러·'강력 매수' 의견
- 월마트, 6.53% 급락한 97.21달러 마감
Q. 여기에 각종 경제지표도 발표됐는데요. 어떤 것들이 나왔는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시장을 지배할 것으로 보시는지 분석 부탁드립니다.
- 간밤 경제지표 고려 시, 스태그플레이션 시작됐나?
- 美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21만9천명…전망치 상회
- 美 2월 필라델피아 제조업 지수 18.1…전망치 하회
- 1월 경기선행지수 전월비 0.3%↓…예상치 0.1%↓
- 굴스비 총재 "인프레이션 목표치 2%보다 여전히 높다"
- 베센트 재무장관 "국채 장기물 비중 확대 '시기상조'"
Q. 미국의 인공지능 방산 소프트웨어 기업인 팔란티어가 전일에 이어 오늘(21일)도 급락했습니다. 원인은 무엇이었는지, 향후 전망까지 짚어본다면요?
- 팔란티어 전일에 이어 또 급락…당분간 피할 수 없다?
- 팔란티어, 美 인공지능(AI) 방산 소프트웨어 기업
- 향후 5년간 국방 예산 최대 40% 삭감 계획에 타격
- 팔란티어, 5.17% 급락한 106.27달러 마감
- 루프 캐피털, 팔란티어 주가 하락에 "저가 매수 기회"
- 올해 약 30% 상승…월가 평균 목표가 91.88달러
Q. 머스크가 자동차 시장 세계 3위 규모의 인도를 노리자 트럼프 대통령이 경고를 보냈습니다. 인도의 높은 자동차 수입 관세를 트럼프는 과거에도 문제제기한 바 있죠? 오늘 주가도 하락했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 트럼프-머스크 충돌?…테슬라, 인도 진출 제동 걸리나?
- 테슬라, 인도 진출 재시동…3위 규모의 자동차 시장
- 인도, 전기차 수입 관세 100%에 달해…트럼프 지적
- 트럼프 대통령 "테슬라 인도 판매 불가능·美에 불공평"
- 테슬라, 美 공장 노동자 감전사로 안전규정 위반 조사
- 테슬라, 1.71% 하락한 354.40달러 마감
- 월가 평균 목표가 340.50달러…약 6% 하락 가능성
Q. 연기금이 지속해서 국내 시장에 들어오며 지수를 뒷받침 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제(20일) 국내 시장은 조정을 받았는데요. 잠깐의 조정으로 보시나요?
- 연기금, 34거래일 연속 매수…매일 약 1000억 규모
- 수급 흐름 '변화' 체크 필요…연기금 vs. 외국인
- 국내시장, 지수보다는 결국 '종목 플레이 장세' 예상
Q. 산업통상자원부가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야한다는 예비 판정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中 후판에 27.9∼38% 잠정 반덤핑 관세…영향력은?
- 업종별 매출액 등 '이득' 차이 존재…조선 vs 철강
- 오히려 미국 내 공장 증설한 '강관 업종' 관심 우위
Q.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확산하며 화장품, 엔터, 게임, 여행업계 등에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한한령이 정말 해제될 것으로 보시는지, 그렇다면 실적과 주가는 어느 정도의 상승 폭을 기대해 봐도 좋을까요?
- 한한령 해제 기대감…실현 가능성 및 수혜 섹터 전망은?
- 2017년 사드배치 보복 후 시작된 한한령 해제 기대감
- 실현 가능성보다 결국 기대감…콘텐츠·엔터 섹터 주목
Q. 마지막으로 다음주 증시 주요 변수 짚어볼까요?
- 다음 주 '빅이벤트' 다수…변동성 피할 수 없나?
- 24일 일본 증시 휴장·25일 한은 금통위 예정
- 27일 경제성장률 및 엔비디아 실적 발표 예정
- 28일 美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발표 예정
- 트럼프, 다음 주 프랑스 대통령·영국 총리와 각각 회담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이재용 보다 주식 재산 많다는 '이 사람'…재산 얼마?
- 3."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4.'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5.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6.'짝퉁 포르쉐?' 조롱했는데…포르쉐 中서 속수무책
- 7.'남아도는 철판, 한국에 싸게 팔아먹자'…결국 결단
- 8.집 있어도 은행서 돈 빌릴 수 있다…이 은행만 '아직'
- 9.'돌반지 지금 팔지 마세요'…금값 더 오른다 얼마?
- 10.국민연금 '내는 돈' 13%로 올린다…'소득대체율' 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