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관세…최고 38% 세율 때렸다

SBS Biz 박연신
입력2025.02.20 17:47
수정2025.02.20 18:37

[앵커]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시작된 글로벌 관세전쟁에서 우리도 살아남기 위해 반덤핑 카드를 꺼냈습니다. 

정부가 조금 전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의 반덤핑 관세 부과를 결정했습니다. 

철강업계 숨통이 트일지 알아봅니다. 

박연신 기자,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관세 조치를 취했다고요?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오늘(20일) 회의를 열고 중국산 후판 제품에 대해 잠정 덤핑관세 부과 건의를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해 7월, 현대제철은 20~30% 저렴한 중국산 후판에 따라 이익을 남기기 어렵다"며 정부에 반덤핑 조사를 요청했는데요. 

무역위는 "예비조사 결과 덤핑사실과 덤핑 수입으로 인한 국내 산업의 실질 피해를 추정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있다"며 예비판정을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잠정 덤핑방지 관세로 27.91~38.02% 부과를 건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앵커] 

국내 철강업계 사정이 좀 나아질까요? 

[기자] 

이번 정부의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조치에 따라 포스코나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사들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지난해 우리나라에 유입된 중국산 후판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산 후판 수입물량은 약 118만 톤으로, 1년 전보다 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싼값에 수입되는 중국의 후판으로 인해 국내 생산 물량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수요가 줄어들게 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이번 정부의 반덤핑 결정에 따라 국산 후판을 선택하는 조선사와 건설사들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SBS Biz 박연신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박연신다른기사
[인사] 산업통상자원부
2038년까지 신규 원전 2기 도입…1년 8개월만에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