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싸게 할인에도 외면?…강남3구는 천정부지
SBS Biz 최지수
입력2025.02.20 17:47
수정2025.02.20 18:39
[앵커]
정부가 어제(19일) 지방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한 악성 미분양 매입 대책을 내놨습니다.
그만큼 지방 부동산 시장 침체가 심각하다는 뜻인데요.
이런 지방 부동산 시장과 달리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족쇄가 풀린 서울 강남 집값은 천정부지로 뛰고 있습니다.
양 극한을 달리는 집값 흐름 살펴봅니다.
최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구 한 아파트입니다.
지난 2022년 여름에 첫 분양했는데, 967 가구 모집에 1·2순위 통틀어 4분의 1만 신청하면서 대거 미분양됐습니다.
여전히 잔여물량을 털지 못해 분양 계약할 경우 골드바를 증정하고 계약금 2천만 원도 돌려주기로 했습니다.
[A 씨 / 대구 공인중개사 : 대구 전 지역으로 미분양이 많으니까 계속 혜택을 늘리면서 영업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 옆 단지는) 지금 마이너스피가 거의 8천만~1억 원 정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매매나 전세나 월세나 거의 전멸 수준이에요.]
지방 부동산 시장에 암울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이번 주 아파트값은 37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대구가 0.09% 떨어지며 하락폭이 가장 컸고 전남(-0.08%)과 부산(-0.06%)도 낙폭이 컸습니다.
이에 정부가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3천 호를 매입하는 대책을 내놨지만 심각하게 침체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고준석 /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 : 시장이 활성화되려면 개개인의 매수가 활성화돼야 되는 거잖아요. 시장 참여자에 대한 세제 혜택이 제외됐거든요. 아쉬운 점은 있다.]
반대로 지난주 토지거래허가구역 족쇄가 풀린 서울 강남지역 집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습니다.
[B 씨 / 송파구 공인중개사 : (잠실동 아파트) 엘·리·트 쪽에 84제곱미터로 해가지고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전에는 27억~28억 원 선에 거래됐거든요. 근데 해제 이후는 29억~30억 원까지도 거래가 되고요.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 같습니다.]
서울 상위 20% 고가 아파트 평균가격과 전국 하위 20% 평균가격 차이가 23.6배에 달하는 가운데 집값 양극화는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SBS Biz 최지수입니다.
정부가 어제(19일) 지방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한 악성 미분양 매입 대책을 내놨습니다.
그만큼 지방 부동산 시장 침체가 심각하다는 뜻인데요.
이런 지방 부동산 시장과 달리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족쇄가 풀린 서울 강남 집값은 천정부지로 뛰고 있습니다.
양 극한을 달리는 집값 흐름 살펴봅니다.
최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구 한 아파트입니다.
지난 2022년 여름에 첫 분양했는데, 967 가구 모집에 1·2순위 통틀어 4분의 1만 신청하면서 대거 미분양됐습니다.
여전히 잔여물량을 털지 못해 분양 계약할 경우 골드바를 증정하고 계약금 2천만 원도 돌려주기로 했습니다.
[A 씨 / 대구 공인중개사 : 대구 전 지역으로 미분양이 많으니까 계속 혜택을 늘리면서 영업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 옆 단지는) 지금 마이너스피가 거의 8천만~1억 원 정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매매나 전세나 월세나 거의 전멸 수준이에요.]
지방 부동산 시장에 암울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이번 주 아파트값은 37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대구가 0.09% 떨어지며 하락폭이 가장 컸고 전남(-0.08%)과 부산(-0.06%)도 낙폭이 컸습니다.
이에 정부가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3천 호를 매입하는 대책을 내놨지만 심각하게 침체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고준석 /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 : 시장이 활성화되려면 개개인의 매수가 활성화돼야 되는 거잖아요. 시장 참여자에 대한 세제 혜택이 제외됐거든요. 아쉬운 점은 있다.]
반대로 지난주 토지거래허가구역 족쇄가 풀린 서울 강남지역 집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습니다.
[B 씨 / 송파구 공인중개사 : (잠실동 아파트) 엘·리·트 쪽에 84제곱미터로 해가지고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전에는 27억~28억 원 선에 거래됐거든요. 근데 해제 이후는 29억~30억 원까지도 거래가 되고요.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 같습니다.]
서울 상위 20% 고가 아파트 평균가격과 전국 하위 20% 평균가격 차이가 23.6배에 달하는 가운데 집값 양극화는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SBS Biz 최지수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이재용 보다 주식 재산 많다는 '이 사람'…재산 얼마?
- 3."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4.'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5.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6.'짝퉁 포르쉐?' 조롱했는데…포르쉐 中서 속수무책
- 7.500만원 런던행 비즈니스석 '150만원'?…아시아나 결국
- 8.'남아도는 철판, 한국에 싸게 팔아먹자'…결국 결단
- 9.집 있어도 은행서 돈 빌릴 수 있다…이 은행만 '아직'
- 10.'돌반지 지금 팔지 마세요'…금값 더 오른다 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