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경의 인사이트] "시장 움직일 재료 부재"…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SBS Biz
입력2025.02.19 07:50
수정2025.02.21 13:13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송재경의 인사이트'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이번 주 증시 이벤트]
▲17일 (월)
[휴장] 미국(프레지던트 데이)
- RBA 통화정책회의(~18)
[산업] 2025 싱가포르 뷰티 아시아 전시회(~19), 유럽 1월 자동차 판매 데이터, 한국거래소 주식선물·옵션 10 종목 추가상장
- 일본 4분기 GDP
12월 설비가동률, 광공업생산, 3차 산업지수
▲18일 (화)
- 미국 2월 뉴욕주 제조업 지수
NAHB 주택시장지수
1년물 국채 입찰
- 유럽 2월 ZEW 서베이 예상
▲19일 (수)
[산업] 세미콘 코리아 2025(~21), 2025 일본 이차전지 전시회(~21)
- 미국 1월 주택착공건수, 건축허가
2월 뉴욕 연준 서비스업 경기활동
- 일본 12월 핵심기계수주
1월 수출입
▲20일 (목)
[산업] 중국 산업정보통신부 월간 스마트폰 출하량
- 한국 1월 PPI
2월 소비자심리지수
- 미국 1월 선행지수
2월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 전망
- 유럽 12월 건설 생산
2월 소비자기대지수
미국 실적 : 팔로알토, 월마트
▲21일 (금)
- 한국 2월 1~20일 수출입
- 미국 옵션만기일
1월 기존주택매매
2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S&P글로벌 제조업, 서비스, 종합 PMI
- 유럽 2월 HCOB 종합, 제조업, 서비스 PMI
- 일본 1월 전국, 국내 CPI
지분 은행 종합, 제조업, 서비스 PMI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간밤의 뉴욕증시 마감 상황부터 짚어보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 볼까요?
- "시장 움직일 재료 부재"…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3대 지수 강보합…S&P500 사상 최고치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5,247.85…1.68%↑
- 샌프란 연은 총재 "인플레 억제 확인까지 신중"
- 월러 연준 이사 "지금 당장은 금리인하 중단해야"
- 메타 2%대↓…"20 거래일만 연속 상승세 마감"
- 인텔 16%대↑…"브로드컴·TSMC 피인수 가능성"
- 델 5%대↑…"xAI에 50억 달러 규모 서버 공급"
- SMCI 16%대↑…"장기 매출 가이던스 예상 상회"
- CME페드워치 "3월 기준금리 유지 확률 97.5%"
◇ 연초 이후 국내증시의 수익률이 나쁘지 않습니다. 최근 중국이나 영국 증시의 상승세가 심상치 않은데요. 오히려 뉴욕증시가 수익률 측면에서 뒤처지는 느낌입니다. 글로벌 증시의 흐름에 대해 짚어주신다면요?
‑ 연초 이후 글로벌 증시의 수익률 흐름은?
- 연초 이후 글로벌 증시 흐름이 바뀐 모습
- 그간 계속되던 뉴욕증시의 '나홀로 강세' 약화
- 아시아·유럽증시, 연초 이후 수익률 상위권
- 중국증시, 연초 이후 14% 상승…수익률 1위
- 유럽증시, 독일이 상승세 주도…수익률 2위
- 국내증시, 연초 이후 수익률 8%…중위권 수준
- 중국·독일, 정부의 강력한 부양책 기대감 존재
◇ 딥시크의 등장으로 중국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 미국 기술주들보다 더 좋은 흐름 보이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가 부메랑이 될 수도 있다고 해요?
- 중 기술주 강세…미국은 '자국 우선주의' 타격?
- 팬데믹 전후 미국과 중국의 기술주 격차 2.4배
- 딥시크 쇼크·시진핑 친기업 모드 전환 등 영향
- 정부 지원에 중국 기술 자립 노력 성과 나타나
- 미국 기술주, 장기 상승 피로감·고밸류 부담
- 트럼프 '자국 우선주의'…미 빅테크에 부메랑?
- M7, 해외 매출 비중↑…무역전쟁에 타격 우려
◇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 중에 올해 1분기 가이던스를 낮추거나 예상치를 밑돈 기업들은 주가가 흔들리기도 했는데요. 가이던스가 약화된다면, 시장도 상승세를 이어가기 어렵지 않을까요?
- 기업들 가이던스 약화…증시 영향 있을까?
- 올해 미국 대형주 이익 상승률 예상치 감소
- "높은 기대감 대비 기업 가이던스 약화 반영"
- '26년 이익 상승률 예상↑…정책 감안 신뢰성↓
- 미국 지수 샤프 비율, '변곡 신호' 보내고 있어
- 샤프 비율(Sharp Ratio), 위험 보상 비율
- 샤프 비율, 기간 수익률을 변동성으로 나눠
- 과거 샤프 비율 높을 경우 급등락 없이 상승
- 샤프 비율 특정 수준 도달 시 변동성 커져
- 최근 샤프 비율 변곡 수준 도달…투자 주의必
◇ 지난주 미국의 1월 CPI와 PPI가 발표됐습니다.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시장은 큰 충격을 받지 않았거든요?
- 미 1월 CPI·PPI 결과에도 시장 충격 덜했던 이유는?
- 미 1월 CPI·PPI, 시장 예상치 웃도는 결과 확인
- 미 1월 CPI 전년 대비 3%↑…근원 CPI 3.3%↑
- 미 1월 CPI 전월 대비 0.5%↑…근원 CPI 0.4%↑
- 미 1월 PPI 전년 대비 3.5%↑…예상치 웃돌아
- 미 1월 근원 PPI 전년비 3.6%↑…전월비 0.3%↑
- 예상 웃돈 소비자·생산자 물가…시장 충격 덜해
- 2년 단기 인플레 5개월 연속 상승…3% 넘어서
- 트럼프 정책에 대한 우려도 물가지표에 반영
- 연준의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거의 없어져"
- 1970년대 연준, 섣부른 정책 완화로 2차 인플레
- 과거 기억에 연준 보수적 대응 가능성 높아져
◇ 트럼프 대통령이 부가가치세 제도를 가진 나라들을 대미 관세 부과 국가와 같다고 보며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이렇게 발언한 트럼프의 속내는 무엇일까요?
- 트럼프 "부가세=대미관세"…의미는 무엇일까?
- 트럼프 "부가세 보유국, 대미관세 부과국과 동렬"
- EU, '부가세=관세' 트럼프에 "78년 된 내국세"
- "부가세=대미관세"…사실상 유럽·인도 타깃
- 175개국 부가세 실시…"보편관세 효과 노려"
◇ 어제(18일)였죠.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약 4시간 여 진행됐지만 종전 합의는 없었죠. 다만 그것만으로도 유의미할 것 같은데,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요구에 세계 각국이 떨고 있어요?
- 유럽·우크라 배제한 채 미- 러 종전 협상 진행
- 미·러, 우크라 종전 첫 단추…4시간 반 탐색전
- 젤렌스키 "우크라 빠진 종전 합의 절대 안 돼"
- 미·러 "종전하려면 우크라 새 대통령 뽑아야"
- 러 외무 "美와 대화 매우 유익…입장 이해 시작"
- 유럽·우크라 제외 협상…나토 회원국 방위비 압력↑
- 나토 전체 방위비에서 미국이 약 2/3 차지 '절대적'
- 트럼프 "GDP의 5%까지 방위비 증액해야"
- 트럼프의 방위비 증액 압박에 세계 각국 부담↑
- 유럽, 자체 국방력 증강 노력은 지속적 강화
- 트럼프 GDP 5% 방위비 요구…EU 재정 시험대
◇ 장기간 이어온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을 종식하기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는 소식에 글로벌 증시에서 방산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어요?
- 러- 우 전쟁 종식 논의…글로벌 증시서 방산주 강세?
- 종전 협상 돌입…글로벌 증시서 방산주 강세
- 방산주 상승…국내증시가 글로벌 증시 압도
- 트럼프 당선 후 국내 방산주 ETF 상승률 60%
- 국내증시서 방산주 강세 긍정적…유럽도 주목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주 증시 이벤트]
▲17일 (월)
[휴장] 미국(프레지던트 데이)
- RBA 통화정책회의(~18)
[산업] 2025 싱가포르 뷰티 아시아 전시회(~19), 유럽 1월 자동차 판매 데이터, 한국거래소 주식선물·옵션 10 종목 추가상장
- 일본 4분기 GDP
12월 설비가동률, 광공업생산, 3차 산업지수
▲18일 (화)
- 미국 2월 뉴욕주 제조업 지수
NAHB 주택시장지수
1년물 국채 입찰
- 유럽 2월 ZEW 서베이 예상
▲19일 (수)
[산업] 세미콘 코리아 2025(~21), 2025 일본 이차전지 전시회(~21)
- 미국 1월 주택착공건수, 건축허가
2월 뉴욕 연준 서비스업 경기활동
- 일본 12월 핵심기계수주
1월 수출입
▲20일 (목)
[산업] 중국 산업정보통신부 월간 스마트폰 출하량
- 한국 1월 PPI
2월 소비자심리지수
- 미국 1월 선행지수
2월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 전망
- 유럽 12월 건설 생산
2월 소비자기대지수
미국 실적 : 팔로알토, 월마트
▲21일 (금)
- 한국 2월 1~20일 수출입
- 미국 옵션만기일
1월 기존주택매매
2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S&P글로벌 제조업, 서비스, 종합 PMI
- 유럽 2월 HCOB 종합, 제조업, 서비스 PMI
- 일본 1월 전국, 국내 CPI
지분 은행 종합, 제조업, 서비스 PMI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간밤의 뉴욕증시 마감 상황부터 짚어보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 볼까요?
- "시장 움직일 재료 부재"…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3대 지수 강보합…S&P500 사상 최고치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5,247.85…1.68%↑
- 샌프란 연은 총재 "인플레 억제 확인까지 신중"
- 월러 연준 이사 "지금 당장은 금리인하 중단해야"
- 메타 2%대↓…"20 거래일만 연속 상승세 마감"
- 인텔 16%대↑…"브로드컴·TSMC 피인수 가능성"
- 델 5%대↑…"xAI에 50억 달러 규모 서버 공급"
- SMCI 16%대↑…"장기 매출 가이던스 예상 상회"
- CME페드워치 "3월 기준금리 유지 확률 97.5%"
◇ 연초 이후 국내증시의 수익률이 나쁘지 않습니다. 최근 중국이나 영국 증시의 상승세가 심상치 않은데요. 오히려 뉴욕증시가 수익률 측면에서 뒤처지는 느낌입니다. 글로벌 증시의 흐름에 대해 짚어주신다면요?
‑ 연초 이후 글로벌 증시의 수익률 흐름은?
- 연초 이후 글로벌 증시 흐름이 바뀐 모습
- 그간 계속되던 뉴욕증시의 '나홀로 강세' 약화
- 아시아·유럽증시, 연초 이후 수익률 상위권
- 중국증시, 연초 이후 14% 상승…수익률 1위
- 유럽증시, 독일이 상승세 주도…수익률 2위
- 국내증시, 연초 이후 수익률 8%…중위권 수준
- 중국·독일, 정부의 강력한 부양책 기대감 존재
◇ 딥시크의 등장으로 중국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 미국 기술주들보다 더 좋은 흐름 보이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가 부메랑이 될 수도 있다고 해요?
- 중 기술주 강세…미국은 '자국 우선주의' 타격?
- 팬데믹 전후 미국과 중국의 기술주 격차 2.4배
- 딥시크 쇼크·시진핑 친기업 모드 전환 등 영향
- 정부 지원에 중국 기술 자립 노력 성과 나타나
- 미국 기술주, 장기 상승 피로감·고밸류 부담
- 트럼프 '자국 우선주의'…미 빅테크에 부메랑?
- M7, 해외 매출 비중↑…무역전쟁에 타격 우려
◇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 중에 올해 1분기 가이던스를 낮추거나 예상치를 밑돈 기업들은 주가가 흔들리기도 했는데요. 가이던스가 약화된다면, 시장도 상승세를 이어가기 어렵지 않을까요?
- 기업들 가이던스 약화…증시 영향 있을까?
- 올해 미국 대형주 이익 상승률 예상치 감소
- "높은 기대감 대비 기업 가이던스 약화 반영"
- '26년 이익 상승률 예상↑…정책 감안 신뢰성↓
- 미국 지수 샤프 비율, '변곡 신호' 보내고 있어
- 샤프 비율(Sharp Ratio), 위험 보상 비율
- 샤프 비율, 기간 수익률을 변동성으로 나눠
- 과거 샤프 비율 높을 경우 급등락 없이 상승
- 샤프 비율 특정 수준 도달 시 변동성 커져
- 최근 샤프 비율 변곡 수준 도달…투자 주의必
◇ 지난주 미국의 1월 CPI와 PPI가 발표됐습니다.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시장은 큰 충격을 받지 않았거든요?
- 미 1월 CPI·PPI 결과에도 시장 충격 덜했던 이유는?
- 미 1월 CPI·PPI, 시장 예상치 웃도는 결과 확인
- 미 1월 CPI 전년 대비 3%↑…근원 CPI 3.3%↑
- 미 1월 CPI 전월 대비 0.5%↑…근원 CPI 0.4%↑
- 미 1월 PPI 전년 대비 3.5%↑…예상치 웃돌아
- 미 1월 근원 PPI 전년비 3.6%↑…전월비 0.3%↑
- 예상 웃돈 소비자·생산자 물가…시장 충격 덜해
- 2년 단기 인플레 5개월 연속 상승…3% 넘어서
- 트럼프 정책에 대한 우려도 물가지표에 반영
- 연준의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거의 없어져"
- 1970년대 연준, 섣부른 정책 완화로 2차 인플레
- 과거 기억에 연준 보수적 대응 가능성 높아져
◇ 트럼프 대통령이 부가가치세 제도를 가진 나라들을 대미 관세 부과 국가와 같다고 보며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이렇게 발언한 트럼프의 속내는 무엇일까요?
- 트럼프 "부가세=대미관세"…의미는 무엇일까?
- 트럼프 "부가세 보유국, 대미관세 부과국과 동렬"
- EU, '부가세=관세' 트럼프에 "78년 된 내국세"
- "부가세=대미관세"…사실상 유럽·인도 타깃
- 175개국 부가세 실시…"보편관세 효과 노려"
◇ 어제(18일)였죠.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약 4시간 여 진행됐지만 종전 합의는 없었죠. 다만 그것만으로도 유의미할 것 같은데,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요구에 세계 각국이 떨고 있어요?
- 유럽·우크라 배제한 채 미- 러 종전 협상 진행
- 미·러, 우크라 종전 첫 단추…4시간 반 탐색전
- 젤렌스키 "우크라 빠진 종전 합의 절대 안 돼"
- 미·러 "종전하려면 우크라 새 대통령 뽑아야"
- 러 외무 "美와 대화 매우 유익…입장 이해 시작"
- 유럽·우크라 제외 협상…나토 회원국 방위비 압력↑
- 나토 전체 방위비에서 미국이 약 2/3 차지 '절대적'
- 트럼프 "GDP의 5%까지 방위비 증액해야"
- 트럼프의 방위비 증액 압박에 세계 각국 부담↑
- 유럽, 자체 국방력 증강 노력은 지속적 강화
- 트럼프 GDP 5% 방위비 요구…EU 재정 시험대
◇ 장기간 이어온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을 종식하기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는 소식에 글로벌 증시에서 방산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어요?
- 러- 우 전쟁 종식 논의…글로벌 증시서 방산주 강세?
- 종전 협상 돌입…글로벌 증시서 방산주 강세
- 방산주 상승…국내증시가 글로벌 증시 압도
- 트럼프 당선 후 국내 방산주 ETF 상승률 60%
- 국내증시서 방산주 강세 긍정적…유럽도 주목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3.'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4.'월화수목일일일'…주 4일 출근제 시행 어디?
- 5.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6.'짝퉁 포르쉐?' 조롱했는데…포르쉐 中서 속수무책
- 7.500만원 런던행 비즈니스석 '150만원'?…아시아나 결국
- 8."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하다"…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첫선
- 9.롯데, 호텔도 판다…'L7 홍대' 2500억원에 매각
- 10.[단독] 정부, 온누리 상품권으로 금 매입 과열 전수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