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포르쉐?' 조롱했는데…포르쉐 中서 속수무책
SBS Biz 김성훈
입력2025.02.18 05:20
수정2025.02.18 07:07
[샤오미 SU7 살피는 사람들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과거 중국 고성능 자동차 시장을 장악했던 독일 완성차 업체들이 저가 공세로 무장한 중국 업체들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현지시간 17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시장에서 독일 자동차 업체들은 고급 주행 성능과 정밀한 엔지니어링을 무기로 높은 판매고를 올렸던 옛 모습과는 달리 최근엔 중국 경쟁사들의 인기에 맥을 못 추는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포르쉐는 지난해 중국 내 판매량이 전년 대비 28%가량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중국 이외 시장에선 판매량이 늘었지만 이 여파로 글로벌 판매량도 3% 하락한 것으로 회사 측은 분석했습니다.
포르쉐 전체 회사 차원에서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인 단일 시장이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의 배경에는 중국 제조업체들의 소프트웨어 및 AI 기술 탑재 전기차 제조 기술에 대한 글로벌 업체들의 과소평가가 한몫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포르쉐의 첫 순수 전기 스포츠카인 타이칸의 경우 샤오미 SU7에 경쟁력 면에서 뒤처져 있다는 평가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타이칸을 모방했다는 지적을 받을 정도로 비슷한 외양을 가진 SU7은 타이칸과 비슷한 수준의 출력과 제동력을 갖췄으나, 중국 현지에서 타이칸 절반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고 NYT는 보도했습니다.
또 주차 어시스트 기능이나 운전자의 선곡 취향을 탐색하는 등의 통합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포함해 차별성을 확보하기도 했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전기 자동차 기술 발전은, 브랜드 가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데 익숙한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중국 소비자들이 중국 업체의 고성능 차량 생산 능력을 차츰 인정하면서 '프리미엄 자동차'를 구성하는 요건을 '전기, 스마트, 저렴'이라는 개념으로 바꾸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와 함께 포르쉐는 유럽연합(EU) 등 미국의 교역 파트너를 상대로 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역시 실적 악화 압박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포르쉐는 특히 메르세데스 벤츠나 BMW 등과는 달리 독일에서 제조한 차량만 미국에 공급하고 있어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는 분석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3.'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4.'월화수목일일일'…주 4일 출근제 시행 어디?
- 5.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6.'짝퉁 포르쉐?' 조롱했는데…포르쉐 中서 속수무책
- 7.500만원 런던행 비즈니스석 '150만원'?…아시아나 결국
- 8.롯데, 호텔도 판다…'L7 홍대' 2500억원에 매각
- 9.[단독] 정부, 온누리 상품권으로 금 매입 과열 전수조사한다
- 10.'남아도는 철판, 한국에 싸게 팔아먹자'…결국 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