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드러눕는 청년 많다

SBS Biz 서주연
입력2025.02.16 14:42
수정2025.02.16 16:14


지난달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이 약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p) 오른 16.4%를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의 전년대비 증가폭은 2021년 2월(26.8%)의 3.7%p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컸습니다. 고용보조지표3은 노동시장에서 채워지지 못하는 실질적 일자리 수요를 포괄해 나타내는 지표로, 피부로 느끼는 고용 상황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체감실업률'이라고도 불립니다.
    
통계청 조사는 지난 1주일 동안 일을 하지 않았고, 일이 주어지면 일을 할 수 있으며, 지난 4주간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한 사람만을 '실업자'로 보기 때문에 일반인이 인식하는 '실업자'와 의미가 다소 다릅니다.
    
고용보조지표3은 '경제활동인구와 '잠재취업가능자'(구직활동을 했지만 사정이 생겨 일을 할 수 없는 이)·'잠재구직자'(일을 할 수 있으나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이)를 말하는 '잠재경제활동인구' 대비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와 실업자, 잠재경제활동인구를 더한 수치의 비율로 산출합니다.
    
고용보조지표3은 2021년 1월 27.2%를 정점으로 하락 추세를 보였다. 전년대비로 보면 2021년 3월부터 45개월 동안 단 한 번도 상승하지 않았지만, 지난해 12월 전년대비 0.5%p 상승한 16.0%를 기록하고 지난달에는 상승 폭을 더 키웠습니다.
    
청년층 실업률은 6.0%로 1년 전과 같았고, 실업자 수는 23만명으로 1만6천명 줄었지만 체감상 어려움이 갑작스레 커졌다는 뜻입니다. 청년 체감실업률이 크게 악화한 것은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들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지난달 경제 활동을 하고는 있지만 더 많이 일하길 원하는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의 수는 13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4만1천명 늘었다. 역시 2021년 2월(4만6천명)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입니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들로,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현재 하는 일의 시간을 늘리고 싶다", "현재 하는 일 이외의 다른 일도 하고 싶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할 수 있는 일(직장)로 바꾸고 싶다"고 답한 이들입니다. 결국 이들은 일단 취업자로 통계에 잡히지만, 정규직 등 안정된 일자리가 한정된 상황에서 취업에 실패하거나 구직 기간이 길어지는 청년들이 생계 등을 위해 임시·단기 일자리에 뛰어들고 있다는 뜻입니다.
    
반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취업자가 큰 폭(-21만8천명)으로 줄면서 1.5%p 하락한 44.8%를 기록했습니다. 2021년 1월(-2.9%p) 이후 4년 만에 최대 낙폭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력직 채용 비중이 커진 점이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일자리 시장이 이렇다 보니 지난달 뚜렷한 이유 없이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통계도 청년층에서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증가해 43만4천명을 기록했습니다.
    
이런 통계로 볼 때 경기 악화가 후행지표인 고용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며 고령층이 고용시장을 견인하고 청년층에서는 감소하는 추세가 본격적으로 굳어지기 시작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서주연다른기사
재건축 빨라진다…안전진단 없애고 온라인 투표
소진공 "소상공인 택배 ·배달비 내일부터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