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트럼프 '관세 전쟁'…시장 반응, 의연해진 이유는?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2.14 06:46
수정2025.02.14 07:57
■ 모닝벨 '이슈분석' - 진행 : 최주연 / 출연 : 이동근 퍼스트프라임리서치 대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예고한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시장은 생각보다 무덤덤한데요. 왜 이런 반응을 보이는지 이동근 퍼스트프라임리서치 대표와 알아보겠습니다.
Q. 트럼프가 관세에 대해 오늘(14일) 또 입을 열었습니다. 관련 내용과 함께 뉴욕증시 어떻게 반응했는지 알려주시죠.
-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하기로 결정"…공식 발표
- 백악관 "국가별 상호관세, 비관세장벽도 고려"
- 美 상무, 상호관세 "국가별 검토 4월 1일까지 완료"
- 트럼프 "자동차 인증 같은 세금 외 무역장벽도 대응"
- "다른 나라 관세 인하하면 기꺼이 응할 의사 있다"
- "대만, 미국서 반도체 산업 빼앗아…되찾고 싶다"
- 로이터 "백악관,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 추진"
- 시장, 트럼프 관세정책 '효용성'에 의구심 확대
- 급진적·대규모 관세, 오히려 美 경제에 악영향 평가
- 내년 말 중간선거 예정…고율 관세 '밀어붙이기' 어려워
- 교역 비중↓·현지생산 비중↑…업종별 차별화 예상
- 韓, FTA 통해 대부분 무관세…'대미 무역흑자' 변수
- 日, 대미 투자·가스 수입 등 통해…관세 압박 최소화
Q. 말씀해 주신 것과 같이 비관세장벽과 함께, 부과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했던 반도체와 자동차 분야의 관세 부과 추진까지한다면, 타격이 있을 것 같은데요?
- 비관세장벽 및 자동차·반도체 '사정권'…韓 영향은?
- 자동차, 유럽시장 '타깃'…美 현지생산 비중 확대
- 의약품, 美 빅파마의 강한 시장 지배력…관세 효과 적어
Q. 뉴욕 증시의 무덤덤한 반응 속 눈길을 끄는건 유럽시장의 상승 랠리 등 글로벌 시장의 전반적인 상승입니다. 뉴욕증시 중심의 자금쏠림이 완화된걸까요? 아니면 단순 저가 매력에 따른 반등이라 보시나요?
- 글로벌 증시 반등세…美 중심의 자금 쏠림 완화될까?
- 국내·유럽 증시, 이례적 높은 수익률…관세 '내성'
- 월스트리트저널 "밸류에이션 낮은 유럽…투자 증가"
Q. 그렇다면 최근 경제지표는 어떻게 발표됐습니까?
- CPI부터 PPI까지…최근 경제지표 어떻게 나왔나?
- 美 1월 PPI, 전월 대비 0.4%↑…예상치 상회
- 美 1월 근원 PPI, 전월 대비 0.3↑…예상치 부합
- 신규 실업수당 청구 21만3천건…직전주 대비 7천건↓
Q. 우리 시간으로 12일 밤이었죠. CPI가 발표됐을때 채권부터 달러인덱스까지 변동성을 보였는데요. 전일 저녁 PPI 발표 당시에는 반응이 어땠습니까? 경제 지표가 다시 시장의 주요 변수로 등극하는걸까요?
- 채권부터 달러인덱스까지…경제지표, 다시 주요 변수로?
- 예상보다 강한 인플레이션 지표…美 국채 상승세
- 연초, 높은 물가 상승률 특징…상승 지속 가능성 낮아
- 향후 생산자물가·소비지표 등…지표 확인 필요
- 연준, 기준금리 유지 전망…"관세 등 시장 영향 확인"
Q. 경제지표가 발표되자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인플레이션"이라며 전 정부를 비난하고 나섰죠.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을 핑계로 연준의 입지 약화에 나설 가능성도 있을까요?
- 트럼프 "바이든 인플레이션"…연준 '힘 빼기' 속내는?
- 트럼프 대통령, 연준에 기준금리 인하 '압박'
- 트럼프, 대규모 관세 부과 전 인플레이션 완화 목적
- 연준 "당분간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 발언
Q. 파월 의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결정 부문의 힘겨루기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시장에선 금리동결을 점치고 있던데요?
- 美 금리, 파월 "신중론"-트럼프 "낮춰야"…향방은?
- 트럼프 압박에도…파월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
- '관세 전쟁'으로 지표 부진 시, 금리인하 단행 가능
Q. 코스피가 최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건 장기 이동평균선 중 하나인 120일선을 돌파했다는 것인데요. 상승 쪽으로 방향이 자리매김 했다고 봐도 될까요?
- 코스피, 120일 이평선 돌파…상방 턴어라운드 했나?
- 코스피 선물 저점 우상향·외국인 수급…지수 상승 가능성
- 코스피, 단기 강한 상승…조정 동반한 안정적 흐름 기대
- 업종·종목별, 순환매 동반 '키 맞추기' 장세 예상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예고한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시장은 생각보다 무덤덤한데요. 왜 이런 반응을 보이는지 이동근 퍼스트프라임리서치 대표와 알아보겠습니다.
Q. 트럼프가 관세에 대해 오늘(14일) 또 입을 열었습니다. 관련 내용과 함께 뉴욕증시 어떻게 반응했는지 알려주시죠.
-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하기로 결정"…공식 발표
- 백악관 "국가별 상호관세, 비관세장벽도 고려"
- 美 상무, 상호관세 "국가별 검토 4월 1일까지 완료"
- 트럼프 "자동차 인증 같은 세금 외 무역장벽도 대응"
- "다른 나라 관세 인하하면 기꺼이 응할 의사 있다"
- "대만, 미국서 반도체 산업 빼앗아…되찾고 싶다"
- 로이터 "백악관,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 추진"
- 시장, 트럼프 관세정책 '효용성'에 의구심 확대
- 급진적·대규모 관세, 오히려 美 경제에 악영향 평가
- 내년 말 중간선거 예정…고율 관세 '밀어붙이기' 어려워
- 교역 비중↓·현지생산 비중↑…업종별 차별화 예상
- 韓, FTA 통해 대부분 무관세…'대미 무역흑자' 변수
- 日, 대미 투자·가스 수입 등 통해…관세 압박 최소화
Q. 말씀해 주신 것과 같이 비관세장벽과 함께, 부과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했던 반도체와 자동차 분야의 관세 부과 추진까지한다면, 타격이 있을 것 같은데요?
- 비관세장벽 및 자동차·반도체 '사정권'…韓 영향은?
- 자동차, 유럽시장 '타깃'…美 현지생산 비중 확대
- 의약품, 美 빅파마의 강한 시장 지배력…관세 효과 적어
Q. 뉴욕 증시의 무덤덤한 반응 속 눈길을 끄는건 유럽시장의 상승 랠리 등 글로벌 시장의 전반적인 상승입니다. 뉴욕증시 중심의 자금쏠림이 완화된걸까요? 아니면 단순 저가 매력에 따른 반등이라 보시나요?
- 글로벌 증시 반등세…美 중심의 자금 쏠림 완화될까?
- 국내·유럽 증시, 이례적 높은 수익률…관세 '내성'
- 월스트리트저널 "밸류에이션 낮은 유럽…투자 증가"
Q. 그렇다면 최근 경제지표는 어떻게 발표됐습니까?
- CPI부터 PPI까지…최근 경제지표 어떻게 나왔나?
- 美 1월 PPI, 전월 대비 0.4%↑…예상치 상회
- 美 1월 근원 PPI, 전월 대비 0.3↑…예상치 부합
- 신규 실업수당 청구 21만3천건…직전주 대비 7천건↓
Q. 우리 시간으로 12일 밤이었죠. CPI가 발표됐을때 채권부터 달러인덱스까지 변동성을 보였는데요. 전일 저녁 PPI 발표 당시에는 반응이 어땠습니까? 경제 지표가 다시 시장의 주요 변수로 등극하는걸까요?
- 채권부터 달러인덱스까지…경제지표, 다시 주요 변수로?
- 예상보다 강한 인플레이션 지표…美 국채 상승세
- 연초, 높은 물가 상승률 특징…상승 지속 가능성 낮아
- 향후 생산자물가·소비지표 등…지표 확인 필요
- 연준, 기준금리 유지 전망…"관세 등 시장 영향 확인"
Q. 경제지표가 발표되자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인플레이션"이라며 전 정부를 비난하고 나섰죠.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을 핑계로 연준의 입지 약화에 나설 가능성도 있을까요?
- 트럼프 "바이든 인플레이션"…연준 '힘 빼기' 속내는?
- 트럼프 대통령, 연준에 기준금리 인하 '압박'
- 트럼프, 대규모 관세 부과 전 인플레이션 완화 목적
- 연준 "당분간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 발언
Q. 파월 의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결정 부문의 힘겨루기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시장에선 금리동결을 점치고 있던데요?
- 美 금리, 파월 "신중론"-트럼프 "낮춰야"…향방은?
- 트럼프 압박에도…파월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
- '관세 전쟁'으로 지표 부진 시, 금리인하 단행 가능
Q. 코스피가 최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건 장기 이동평균선 중 하나인 120일선을 돌파했다는 것인데요. 상승 쪽으로 방향이 자리매김 했다고 봐도 될까요?
- 코스피, 120일 이평선 돌파…상방 턴어라운드 했나?
- 코스피 선물 저점 우상향·외국인 수급…지수 상승 가능성
- 코스피, 단기 강한 상승…조정 동반한 안정적 흐름 기대
- 업종·종목별, 순환매 동반 '키 맞추기' 장세 예상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금 대신 '이거'라도 사자…순식간에 '싹쓸이'
- 2.무소유의 나라?…부탄, 비트코인으로 '돈방석'
- 3.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드러눕는 청년 많다
- 4.바가지 싫어 '이곳' 안 간다…결국 특단의 대책 내놨지만
- 5.로또 1등 5장 ‘한 곳’서 나왔다…동일인이면 64억 대박
- 6.'월화수목일일일'…주 4일 출근제 시행 어디?
- 7.'짝퉁 포르쉐?' 조롱했는데…포르쉐 中서 속수무책
- 8.500만원 런던행 비즈니스석 '150만원'?…아시아나 결국
- 9."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10.'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