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高물가·환율·금리에 기업들 비상대책 분주

SBS Biz 정광윤
입력2025.02.13 17:50
수정2025.02.13 18:34

[앵커] 

높은 물가와 환율, 금리 영향은 기업들도 피해 갈 수 없습니다. 



원자재 수입가격 인상에 이자부담도 큰데요. 

저마다 비상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광윤 기자, 허리띠 졸라매는 기업들, 어디가 있습니까? 



[기자] 

안 그래도 글로벌 시장에서 부진을 겪고 있던 석유화학과 철강 쪽이 특히 비상입니다. 

둘 다 원자재를 수입해서 가공한 뒤 내다 팔기 때문에 환율이 널뛰기를 하면 리스크가 커지고, 외화차입 등에 대한 상환부담도 있습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영업손실이 9천억 원에 육박해 3년 연속 적자를 냈는데요. 

적자폭이 1년 전보다 더 커지면서 올해 자산매각 등 사업 재편에 더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포스코홀딩스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2조 1700억 원대로 1년 전보다 38% 줄었습니다. 

비용절감을 위해 저수익 사업과 비핵심자산을 정리하고 있는데 경북 포항에 짓기로 했던 니켈 공장 건설 계획도 최근 철회했습니다. 

[앵커] 

미국 관세 우려가 현실화되면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약한 10% 보편관세가 시행되면 미국 소비자물가도 올라갈 가능성이 높은데, 물가를 잡기 위한 고금리, 이에 따른 달러강세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나마 대기업들은 관련 대응책 마련에 나섰지만 수출 중소기업들은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는데요. 

산업연구원은 우리나라에 보편관세가 적용될 경우, 중소기업 수출이 지금보다 최대 11.3% 1조 2천억 원가량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SBS Biz 정광윤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정광윤다른기사
高물가·환율·금리에 기업들 비상대책 분주
복지부-심평원 '으르렁'…대체 조제가 뭐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