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아픈손가락 현대제철…3년째 노사갈등에 관세장벽까지
SBS Biz 류정현
입력2025.02.11 17:47
수정2025.02.11 18:39
[앵커]
철강업계가 대외적으로 여러 악재가 겹친 가운데 현대제철 노조는 오늘(11일) 총파업에 나섰습니다.
최근 실적마저 곤두박질치고 있어 그야말로 내우외환입니다.
류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제철 노동조합이 오늘 제철소 가동을 멈추고 총파업에 돌입했습니다.
[박상만 / 전국금속노동조합 부위원장 : 중앙노동위에 조정신청을 넣고 쟁의권을 확보하니 그때부터 부랴부랴 교섭에 참석했습니다. 교섭에 참석하고 난 뒤도 사측의 답변은 똑같았습니다. 철강경기가 어렵다 그래서 조합원들이 납득할만한 안을 제시할 수 없다.]
문제는 지난해 현대제철 실적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당장 수익성 개선을 강구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겁니다.
현대제철의 지난해 누적 영업이익은 3천144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0% 넘게 줄었습니다.
매출도 지난 2023년 25조 원에서 지난해 2조 원가량 줄어든 23조 2천억 원에 그쳤습니다.
앞으로는 더 문제입니다.
미국의 25% 관세로 수출 상황은 더 악화됐습니다.
현대제철 강판을 수입해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현대차와 기아차 미국 법인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미국의 관세 장벽에 중국 물량이 이미 국내로 흘러들어와 내수시장 자체도 이미 힘들어진 상황입니다.
[송영관 / 한국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중국이 (관세로) 미국에 팔지 못하는 물건들을 처분해야 될 거잖아요. 더 낮은 가격으로 밀어내지 않을까 그러면 한국도 영향을 받지 않을까.]
현대제철이 미국에 검토하고 있는 제철소 건립도 준공과 가동까지 적잖은 시간이 필요한 만큼 당분간 위기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SBS Biz 류정현입니다.
철강업계가 대외적으로 여러 악재가 겹친 가운데 현대제철 노조는 오늘(11일) 총파업에 나섰습니다.
최근 실적마저 곤두박질치고 있어 그야말로 내우외환입니다.
류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제철 노동조합이 오늘 제철소 가동을 멈추고 총파업에 돌입했습니다.
[박상만 / 전국금속노동조합 부위원장 : 중앙노동위에 조정신청을 넣고 쟁의권을 확보하니 그때부터 부랴부랴 교섭에 참석했습니다. 교섭에 참석하고 난 뒤도 사측의 답변은 똑같았습니다. 철강경기가 어렵다 그래서 조합원들이 납득할만한 안을 제시할 수 없다.]
문제는 지난해 현대제철 실적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당장 수익성 개선을 강구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겁니다.
현대제철의 지난해 누적 영업이익은 3천144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0% 넘게 줄었습니다.
매출도 지난 2023년 25조 원에서 지난해 2조 원가량 줄어든 23조 2천억 원에 그쳤습니다.
앞으로는 더 문제입니다.
미국의 25% 관세로 수출 상황은 더 악화됐습니다.
현대제철 강판을 수입해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현대차와 기아차 미국 법인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미국의 관세 장벽에 중국 물량이 이미 국내로 흘러들어와 내수시장 자체도 이미 힘들어진 상황입니다.
[송영관 / 한국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중국이 (관세로) 미국에 팔지 못하는 물건들을 처분해야 될 거잖아요. 더 낮은 가격으로 밀어내지 않을까 그러면 한국도 영향을 받지 않을까.]
현대제철이 미국에 검토하고 있는 제철소 건립도 준공과 가동까지 적잖은 시간이 필요한 만큼 당분간 위기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SBS Biz 류정현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내 계좌가 보이스피싱에?..."사전 차단 하세요" [2025 금감원]
- 2.추석 땐 최장 10일 쉰다?…비행기표 끊으려다 '화들짝'
- 3.'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4.'국민연금 30% 깎여도 어쩔 수 없다'…조기수급자 100만명 시대
- 5.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6."너를 위해 에버랜드 전세냈어"...8천 쌍 중 한 쌍 누구?
- 7.성과급 1500% 전국민 부러워한 이 회사, 자사주 30주 더 준다
- 8.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9.中 전기차, 한국 입성 일주일 만에 1천 대 계약 돌파…직접 타보니
- 10.설연휴 433만명 비행기 이용…최다 왕래는 이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