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시장 진단] 관세전쟁 확전 우려…롤러코스터 환율 이어질까
SBS Biz 신현상
입력2025.02.11 07:49
수정2025.02.11 09:52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외환시장 진단' - 최진호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조치를 언급하고 나섰고, 미국의 고용 호조와 인플레이션 우려에 달러 원 환율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습니다. 오늘(11일)은 글로벌 환율 흐름과 함께 챙겨야 할 중요한 경제 일정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Q. 중국의 대미 보복 관세가 시작됐고,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를 예고했는데요. 또 철강 등 원자재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도 있었죠.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는데, 환율 흐름은 어땠습니까?
- 트럼프, 보편관세이어 '상호관세'…환율 흐름 진단은?
- 달러·원 레벨 소폭 상승…미국 1월 CPI 대기
- 파월 입에 촉각…"환율 변동성 확대 주의"
-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 트럼프 '상호관세' 꺼내…한국도 관세전쟁 사정권
Q. 미국의 1월 고용보고서가 견고하게 나온 가운데, 인플레이션 우려가 더 커지고 있죠. 여기에 트럼프 관세 우려까지 더해진 상황인데, 1월 CPI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 1월 고용보고서 견고한 흐름…CPI 전망은?
- "1월 CPI 상승률 전년 동월비 2.9% 상승 전망"
- 강달러 지속…미 수입물가 상승률 작년 하반기 이후 안정적
- "美 인플레이션 보합권 흐름 이어질 것"
Q. 오늘부터 상원과 하원에서 파월 연준 의장을 비롯해 연준위원들의 발언이 이어지는데요. 이번 의회 증언에서는 어떤 발언이 나올 거라고 보십니까?
- 파월 청문회 출석…관세 관련 발언 나올까
- 파월의 입 '주목'…"물가·고용 발언 예상"
-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민간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세
-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금리인하 늦추는 요인
- 연준, 트럼프 행정부에 대해 말 아까는 모습 보여
Q. 영란은행은 3개월 만에 추가 금리인하를 하고 일본은행은 지속적인 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통화 정책 이슈와 관세 우려가 겹친 상황인데, 지금 주요국들 환율 상황은 어떤가요?
- 통화 정책 이슈·관세 영향…주요국 환율 흐름은?
- 글로벌 외환시장의 전반적인 기조는 강달러
- ECB·영국,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달러대비 약세 흐름
- BOJ 심의위원 "내년 3월까지 기준금리 1%까지 올려야"
- 중국·한국 통화, 트럼프의 발언에 연동되는 흐름
- 국내 정치 불안정 지속…"1450원 내외 흐름 예상"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조치를 언급하고 나섰고, 미국의 고용 호조와 인플레이션 우려에 달러 원 환율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습니다. 오늘(11일)은 글로벌 환율 흐름과 함께 챙겨야 할 중요한 경제 일정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Q. 중국의 대미 보복 관세가 시작됐고,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를 예고했는데요. 또 철강 등 원자재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도 있었죠.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는데, 환율 흐름은 어땠습니까?
- 트럼프, 보편관세이어 '상호관세'…환율 흐름 진단은?
- 달러·원 레벨 소폭 상승…미국 1월 CPI 대기
- 파월 입에 촉각…"환율 변동성 확대 주의"
-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 트럼프 '상호관세' 꺼내…한국도 관세전쟁 사정권
Q. 미국의 1월 고용보고서가 견고하게 나온 가운데, 인플레이션 우려가 더 커지고 있죠. 여기에 트럼프 관세 우려까지 더해진 상황인데, 1월 CPI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 1월 고용보고서 견고한 흐름…CPI 전망은?
- "1월 CPI 상승률 전년 동월비 2.9% 상승 전망"
- 강달러 지속…미 수입물가 상승률 작년 하반기 이후 안정적
- "美 인플레이션 보합권 흐름 이어질 것"
Q. 오늘부터 상원과 하원에서 파월 연준 의장을 비롯해 연준위원들의 발언이 이어지는데요. 이번 의회 증언에서는 어떤 발언이 나올 거라고 보십니까?
- 파월 청문회 출석…관세 관련 발언 나올까
- 파월의 입 '주목'…"물가·고용 발언 예상"
-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민간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세
-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금리인하 늦추는 요인
- 연준, 트럼프 행정부에 대해 말 아까는 모습 보여
Q. 영란은행은 3개월 만에 추가 금리인하를 하고 일본은행은 지속적인 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통화 정책 이슈와 관세 우려가 겹친 상황인데, 지금 주요국들 환율 상황은 어떤가요?
- 통화 정책 이슈·관세 영향…주요국 환율 흐름은?
- 글로벌 외환시장의 전반적인 기조는 강달러
- ECB·영국,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달러대비 약세 흐름
- BOJ 심의위원 "내년 3월까지 기준금리 1%까지 올려야"
- 중국·한국 통화, 트럼프의 발언에 연동되는 흐름
- 국내 정치 불안정 지속…"1450원 내외 흐름 예상"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내 계좌가 보이스피싱에?..."사전 차단 하세요" [2025 금감원]
- 2.추석 땐 최장 10일 쉰다?…비행기표 끊으려다 '화들짝'
- 3.'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4.'국민연금 30% 깎여도 어쩔 수 없다'…조기수급자 100만명 시대
- 5.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6."너를 위해 에버랜드 전세냈어"...8천 쌍 중 한 쌍 누구?
- 7.성과급 1500% 전국민 부러워한 이 회사, 자사주 30주 더 준다
- 8.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9.中 전기차, 한국 입성 일주일 만에 1천 대 계약 돌파…직접 타보니
- 10.설연휴 433만명 비행기 이용…최다 왕래는 이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