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관세폭격기'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예고…파장은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2.11 06:45
수정2025.02.11 07:14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예고에 철강/알루미늄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오늘(11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철강 관세 위협에도 강세…제조업 보호 기대
- 인플레 우려+관세 정책 영향 엇갈려…불확실성 여전
-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방침…상호관세도 구체화
- 클리블랜드-클리프스 18% 가까이 급등…알코아도 2%↑
- 열연 코일 철강 선물 5.56%↑…10개월 만에 최고치
- 트럼프의 관세 향방 주시, 美 기업에 미칠 영향 확인
- 백악관 수석 고문 "트럼프의 최우선 과제 철강 관세"
- "트럼프, 해외 뇌물 수수 금지하는 법안 완화할 계획"
- 美 국채금리 보합권 혼조…철강·알루미늄 관세에도 무덤덤
- 국제유가, 러시아 원유생산 목표치 미달에 1.9% 상승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46% 오른 5080선 마감
- 딥시크 쇼크로 촉발된 기술주 매도세 이후 투심 개선
- 엔비디아 2.9% 강세…브로드컴·마이크론 3~4% 상승
- WSJ "머스크 컨소, 오픈AI 비영리재단 인수 제안"
- 맥도날드, 4분기 매출 예상 하회·EPS 부합…"선방"
- 지난해 10월 식중독 사태로 1명 사망·100명 치료
- BP, 행동주의 헤지펀드 엘리엇의 지분 매입에 6%↑
- '생사기로' 슈퍼마이크로, 실적 발표 앞두고 17% 급등
- 엔비디아, 5거래일 연속 상승…'딥시크 충격' 지우기
- 대만 TSMC "1분기 마진율 57~59% 범위 예상"
- 1월 매출 전년비 35.9% 증가·전월비 5.4% 늘어
- 지난달 21일 규모 6.4 지진으로 피해 예상보다 심각
- 뉴욕 연은 5년 기대 인플레이션 2.7%→3.0%
- 향후 1·3년 기대 인플레이션 각각 3.0% '제자리'
Q.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그에 따른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미국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어떨지.. 또 국가별 여파도 짚어 주시죠?
- 철강·알루미늄 관세 예고, 美 경제 득실은 모두 제한적
- 美 전체 수입 중 철강·알루미늄 비중은 1.8% 불과
- 美 철강 수입 상위국 캐나다·브라질·EU·멕시코·韓 순
- 알루미늄 수입 상위국 캐나다·中·멕시코·EU·UAE 순
- EU·브라질·캐나다·멕시코, 이번 관세 부과 핵심 타깃
- 뉴욕타임스 "철강·알루미늄 관세, 실질 타깃은 중국"
- 과잉생산 중국산 철강 저가 공략…"전 세계 대상 관세"
- 저가 중국산 철강 덕에 자국 생산 제품들은 비싸게 수출
- 문제는 상대국들의 보복대응인데…美 미치는 영향 미미
- 유럽, 금속제품 관세 부과보다 자동차 대상 관세가 중요
- 한국 철강 기업 수익성 하락 불가피…주가는 이미 선반영
- 열연 기준 美 톤당 800달러, 韓 수출가격 500달러
- 철강 25% 관세 부과시에도 수출 가능…수익성은 하락
Q. 코스피는 트럼프의 관세 우려에도 2520선을 지켜내며 약보합으로 마감했습니다. 생각보다 선방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오늘 장 관전 포인트 짚어 주시죠?
- 트럼프 관세 충격 버텨낸 코스피, 오늘 장 포인트는?
- 장 초반 2500 붕괴…반발 매수세 유입·한때 상승전환
- 보편관세 아닌 상호관세, FTA 체결한 韓 영향 제한적
- '매드맨' 전략에 불확실성 커지나 익숙해진 관세 리스크
- 외인 지분 비율 32.13%로 최저…매도세 제한 가능성
- '관세 이슈' 선반영…증시 충격 적었지만 철강주 약세
- 철강 제품 25% 관세 부과…동국제강·현대제철 등 하락
- "관세 전쟁에서 자유로운 업종 중심 차별화 전략 필요"
- 트럼프, 사실상 모든 국가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예고
- 美와 무역 불균형 심한 품목 상호관세 부과 시행될 수도
- AI 소프트웨어·플랫폼·엔터·로봇·우주·방산·조선 주목
- 우원식 의장 방중, '한한령 해제' 기대에 엔터주 급등
- 폐암신약 기대감에 보로노이 13.75% 급등…제약주↑
- 레인보우로보틱스 급락 속 유진로봇 등 로봇주 동반 급등
- 코스닥 5일 연속 상승…거래대금 8개월만에 10조원대로
- "코스피 지수 당분간 박스권 장세 지속할 것으로 예상"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Q. 뉴욕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예고에 철강/알루미늄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오늘(11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철강 관세 위협에도 강세…제조업 보호 기대
- 인플레 우려+관세 정책 영향 엇갈려…불확실성 여전
-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방침…상호관세도 구체화
- 클리블랜드-클리프스 18% 가까이 급등…알코아도 2%↑
- 열연 코일 철강 선물 5.56%↑…10개월 만에 최고치
- 트럼프의 관세 향방 주시, 美 기업에 미칠 영향 확인
- 백악관 수석 고문 "트럼프의 최우선 과제 철강 관세"
- "트럼프, 해외 뇌물 수수 금지하는 법안 완화할 계획"
- 美 국채금리 보합권 혼조…철강·알루미늄 관세에도 무덤덤
- 국제유가, 러시아 원유생산 목표치 미달에 1.9% 상승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46% 오른 5080선 마감
- 딥시크 쇼크로 촉발된 기술주 매도세 이후 투심 개선
- 엔비디아 2.9% 강세…브로드컴·마이크론 3~4% 상승
- WSJ "머스크 컨소, 오픈AI 비영리재단 인수 제안"
- 맥도날드, 4분기 매출 예상 하회·EPS 부합…"선방"
- 지난해 10월 식중독 사태로 1명 사망·100명 치료
- BP, 행동주의 헤지펀드 엘리엇의 지분 매입에 6%↑
- '생사기로' 슈퍼마이크로, 실적 발표 앞두고 17% 급등
- 엔비디아, 5거래일 연속 상승…'딥시크 충격' 지우기
- 대만 TSMC "1분기 마진율 57~59% 범위 예상"
- 1월 매출 전년비 35.9% 증가·전월비 5.4% 늘어
- 지난달 21일 규모 6.4 지진으로 피해 예상보다 심각
- 뉴욕 연은 5년 기대 인플레이션 2.7%→3.0%
- 향후 1·3년 기대 인플레이션 각각 3.0% '제자리'
Q.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그에 따른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미국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어떨지.. 또 국가별 여파도 짚어 주시죠?
- 철강·알루미늄 관세 예고, 美 경제 득실은 모두 제한적
- 美 전체 수입 중 철강·알루미늄 비중은 1.8% 불과
- 美 철강 수입 상위국 캐나다·브라질·EU·멕시코·韓 순
- 알루미늄 수입 상위국 캐나다·中·멕시코·EU·UAE 순
- EU·브라질·캐나다·멕시코, 이번 관세 부과 핵심 타깃
- 뉴욕타임스 "철강·알루미늄 관세, 실질 타깃은 중국"
- 과잉생산 중국산 철강 저가 공략…"전 세계 대상 관세"
- 저가 중국산 철강 덕에 자국 생산 제품들은 비싸게 수출
- 문제는 상대국들의 보복대응인데…美 미치는 영향 미미
- 유럽, 금속제품 관세 부과보다 자동차 대상 관세가 중요
- 한국 철강 기업 수익성 하락 불가피…주가는 이미 선반영
- 열연 기준 美 톤당 800달러, 韓 수출가격 500달러
- 철강 25% 관세 부과시에도 수출 가능…수익성은 하락
Q. 코스피는 트럼프의 관세 우려에도 2520선을 지켜내며 약보합으로 마감했습니다. 생각보다 선방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오늘 장 관전 포인트 짚어 주시죠?
- 트럼프 관세 충격 버텨낸 코스피, 오늘 장 포인트는?
- 장 초반 2500 붕괴…반발 매수세 유입·한때 상승전환
- 보편관세 아닌 상호관세, FTA 체결한 韓 영향 제한적
- '매드맨' 전략에 불확실성 커지나 익숙해진 관세 리스크
- 외인 지분 비율 32.13%로 최저…매도세 제한 가능성
- '관세 이슈' 선반영…증시 충격 적었지만 철강주 약세
- 철강 제품 25% 관세 부과…동국제강·현대제철 등 하락
- "관세 전쟁에서 자유로운 업종 중심 차별화 전략 필요"
- 트럼프, 사실상 모든 국가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예고
- 美와 무역 불균형 심한 품목 상호관세 부과 시행될 수도
- AI 소프트웨어·플랫폼·엔터·로봇·우주·방산·조선 주목
- 우원식 의장 방중, '한한령 해제' 기대에 엔터주 급등
- 폐암신약 기대감에 보로노이 13.75% 급등…제약주↑
- 레인보우로보틱스 급락 속 유진로봇 등 로봇주 동반 급등
- 코스닥 5일 연속 상승…거래대금 8개월만에 10조원대로
- "코스피 지수 당분간 박스권 장세 지속할 것으로 예상"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내 계좌가 보이스피싱에?..."사전 차단 하세요" [2025 금감원]
- 2.추석 땐 최장 10일 쉰다?…비행기표 끊으려다 '화들짝'
- 3.'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4.'국민연금 30% 깎여도 어쩔 수 없다'…조기수급자 100만명 시대
- 5.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6."너를 위해 에버랜드 전세냈어"...8천 쌍 중 한 쌍 누구?
- 7.성과급 1500% 전국민 부러워한 이 회사, 자사주 30주 더 준다
- 8.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9.中 전기차, 한국 입성 일주일 만에 1천 대 계약 돌파…직접 타보니
- 10.설연휴 433만명 비행기 이용…최다 왕래는 이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