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딥시크 유출 우려에…개보위 "자체분석 등 통해 대응할 것"
SBS Biz 김동필
입력2025.02.07 14:47
수정2025.02.07 15:15
[앵커]
중국에서 개발된 인공지능(AI) 딥시크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정부와 기업이 연일 차단에 나서고 있죠.
관련해 주무부처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대응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일자 위원회가 부랴부랴 대응책 발표에 나섰습니다.
김동필 기자, 조금 전에 브리핑이 이뤄졌는데, 어떤 대응을 하고 있답니까?
[기자]
우선 공식적으로 딥시크 본사에 답변 기한을 2주로 정해 질의서를 보냈는데요.
지난달 31일부터는 자체 분석에도 착수했습니다.
개인정보 처리방침과 이용약관 같은 공개된 문서를 분석하고, 실제 이용환경을 구성해 어떤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살펴보고 있는 건데요.
답변이 오지 않을 경우도 가정해 해외 규제당국과도 협조를 시작하는 한편, 중국 공식 외교채널을 통해서도 문의한 상태입니다.
개보위 관계자는 "사실관계를 규명한 뒤 추가 대책을 강구하겠다"라면서 "이용자들의 신중한 이용도 당부드린다"라고 전했습니다.
[앵커]
딥시크 논란은 현재 진행형이에요?
[기자]
그렇습니다.
우선 딥시크가 수집한 개인정보는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되는데, 중국 정부가 이를 필요시 쓸 수 있다는 우려가 가장 크고요.
여기에 이용자가 정보 수집을 거부해도 해당 프로그램을 쓸 수 있는 '옵트아웃'이 없어 선택을 강요한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최경진 / 가천대 법학과 교수(한국인공지능법학회 회장) : (챗GPT는) 문제가 제기돼서 지금 이제 옵트아웃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요. 근데 지금 딥시크는 옵트아웃할 수 있는 기능이 없죠. 나는 그걸 원하지 않는다, 그러면 빠질 수 있어야 되는데 (그러지 못하는 거죠.)]
우려가 커지자 정치권에서도 '딥시크방지법'을 발의하면서 대책을 강구하고 나섰습니다.
SBS Biz 김동필입니다.
중국에서 개발된 인공지능(AI) 딥시크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정부와 기업이 연일 차단에 나서고 있죠.
관련해 주무부처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대응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일자 위원회가 부랴부랴 대응책 발표에 나섰습니다.
김동필 기자, 조금 전에 브리핑이 이뤄졌는데, 어떤 대응을 하고 있답니까?
[기자]
우선 공식적으로 딥시크 본사에 답변 기한을 2주로 정해 질의서를 보냈는데요.
지난달 31일부터는 자체 분석에도 착수했습니다.
개인정보 처리방침과 이용약관 같은 공개된 문서를 분석하고, 실제 이용환경을 구성해 어떤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살펴보고 있는 건데요.
답변이 오지 않을 경우도 가정해 해외 규제당국과도 협조를 시작하는 한편, 중국 공식 외교채널을 통해서도 문의한 상태입니다.
개보위 관계자는 "사실관계를 규명한 뒤 추가 대책을 강구하겠다"라면서 "이용자들의 신중한 이용도 당부드린다"라고 전했습니다.
[앵커]
딥시크 논란은 현재 진행형이에요?
[기자]
그렇습니다.
우선 딥시크가 수집한 개인정보는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되는데, 중국 정부가 이를 필요시 쓸 수 있다는 우려가 가장 크고요.
여기에 이용자가 정보 수집을 거부해도 해당 프로그램을 쓸 수 있는 '옵트아웃'이 없어 선택을 강요한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최경진 / 가천대 법학과 교수(한국인공지능법학회 회장) : (챗GPT는) 문제가 제기돼서 지금 이제 옵트아웃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요. 근데 지금 딥시크는 옵트아웃할 수 있는 기능이 없죠. 나는 그걸 원하지 않는다, 그러면 빠질 수 있어야 되는데 (그러지 못하는 거죠.)]
우려가 커지자 정치권에서도 '딥시크방지법'을 발의하면서 대책을 강구하고 나섰습니다.
SBS Biz 김동필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금값 끝없이 오르는데…쳐다도 안보는 한국은행, 왜?
- 2.[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3.[단독] '짝퉁 패딩' 또 나왔다…네이버·지그재그·에이블리·W컨셉 등 판매
- 4.삼양 '불닭 천하' 흔들리나…트럼프 '매운맛' 예고
- 5.'애들 키우고, 빚 갚다보니'…빈곤 내몰린 노인들
- 6.돌반지 지금 팔까요? 말까요?…금값 최고라는데
- 7.'밥 짓는 대신 급하면 햇반 돌립니다'…결국은
- 8.1만원대 5G 20기가 요금제 곧 나온다
- 9.연휴 때 먹은 삼겹살·김치, 원산지 조사하니 '헉'
- 10.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