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딥시크 '정부 대응 필요' 여론에…개보위 "곧 발표"

SBS Biz 최지수
입력2025.02.07 11:28
수정2025.02.07 11:46

[앵커]

중국 딥시크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 부처들도 연이어 딥시크 접속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 차원에서 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개인정보보호 위원회가 오후에 대응방향을 발표합니다.

최지수 기자, 개인정보보호 위원회도 딥시크 문제에 대해 검토 중이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우려 여론이 커지면서 개보위도 서둘러 입장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오후에 개보위는 딥시크 문제와 관련해 정부가 어떤 내용을 검토 중인지와 앞으로의 대응방향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딥시크는 출시 이후부터 이용자 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챗GPT와 달리 추후 데이터 활용을 이용자가 거부할 수 있는 '옵트아웃' 기능이 없습니다.

앞서 개보위는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질의서를 발송했는데요.

일주일째 딥시크 측은 묵묵부답인 상황입니다.

[앵커]

정부 대응이 더 빨랐어야 된다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죠?

[기자]

일부 시민단체와 전문가들 사이에선 딥시크로부터 답이 오기 전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시민단체인 서울 YMCA 측은 정부가 딥시크에 대해 '국외 이전 중지 명령'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는데요.

이에 개보위는 딥시크의 경우 "대상 요건이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 제도는 해외로 수집된 정보의 추가 이전으로 사용자의 피해가 예상될 때 정보의 해외 이전을 막는 제도인데요.

사용자 동의하에 중국으로 수집된 것 자체로는 중지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요건이 안된다는 겁니다.

정부 대응이 늦었다는 비판에 대해서도 "현재도 대응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SBS Biz 최지수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최지수다른기사
두산스코다파워, 체코 증시 상장…1천500억 조달
딥시크 '정부 대응 필요' 여론에…개보위 "곧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