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증시전략] 딥시크·관세전쟁에 연일 출렁이는 뉴욕증시, 조정 오나?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2.06 06:45
수정2025.02.06 07:14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는 실적과 미중 관세전쟁을 주시하면서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이 장중 등락을 반복했지만 막판 상승폭을 키우면서 상승 마감했는데요. 오늘(6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실적 실망·관세 우려 속 일제히 상승 마감
- 다우 300p 상승…나스닥, 등락 반복 끝에 상승 마감
- 빅테크 실적 부진·中 관세 보복 우려에 기술주 약세
- 美 10년물 국채금리 한때 4.40%…12월 이후 최저


- 달러인덱스, 무역전쟁 우려 완화에 하락…107.48
- 알파벳, 4분기 클라우드 매출 30% 증가…기대 이하
- 데이터센터 매출 부진 여파…AMD, 투매에 주가 급락
- AI 반도체 경쟁 속 엔비디아·브로드컴 주가 급등
- 엔비디아, 딥시크 충격 딛고 이틀째 강세…5%대 상승
- "AI 테마가 성숙해짐에 따라 곧 분기점 보게 될 것"
- 중국, '트럼프 관세조치'에 맞서 WTO 분쟁절차 개시
- 중국, 구글·엔비디아 이어 애플도 '반독점 조사' 검토
- 앱스토어 결제 수수료·외부 결제 서비스 차단 등 거론
- 작년 12월·올해 1월 엔비디아·구글 반독점 조사 시작
- 테슬라, 프랑스 이어 독일 판매 급감에 3.58% 하락
- 치폴레, 올해 동일점포 매출 증가율 부진 전망에 하락
- 슈퍼마이크로컴퓨터, 11일 사업 방침 공개 계획에 급등
- 디즈니, 예상넘는 이익과 올해 전망 제시…주가 약세
- 매출 4.8% 증가…엔터테인먼트 사업은 8.9% 성장
- 美 1월 ADP 민간고용 18.3만명 증가…예상치 상회
- 美 1월 서비스업 PMI 52.8…예상치·전월치 밑돌아
- 美 12월 무역적자 25% 증가…관세폭탄 전 수입 급증

Q. 최근 시장 흐름을 보면 딥시크 출현과 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격하게 반응하는 모습인데요. 불확실성이 워낙 크다 보니 시장에 비관론이 커지고 있는데, 조정에 대비해야 할까요?

- 모건스탠리 비관론…"올해 상반기 시장 어려움 겪을 듯"
- S&P500, 향후 석달간 5500~6100 등락 예상
- S&P500 지수 최대 8% 하락 또는 1% 소폭 상승
-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및 이민 정책, 경제에 부담"
- 관세 리스크…인플레 상승·금리인상·성장둔화 우려 부각
- 골드만, 트럼프 관세 부과 계획에 "증시 5% 하락"
- 관세정책 시행되면 S&P500 기업 EPS 23% 감소
- "관세 문제 장기화할수록 기존 전망 시험대에 오를 것"
- 연준도 금리인하 신중론 확산…"서두를 필요 없어"
- 굴스비 "관세의 인플레 영향, 2018년보다 클 수도"

Q. 어제(5일) 코스피는 이틀 연속 상승하며 2500선을 회복했습니다. 미중 대화나 협상은 없었으나, 관세 불안감이 누그러진 모습인데요. 특히 네이버, 카카오 등 소프트웨어 관력 기업이 주목받았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

- 코스피, 이틀 연속 상승해 2500선 회복…오늘 장은?
- 미중 갈등 우려 속 '협상' 여지 기대감에 시장 반등
- 트럼프 "시진핑과의 통화 서두르지 않을 것" 기싸움
- 네이버·카카오 등 소프트웨어 강세…IT 서비스 4%대↑
- 미중 무역분쟁 여파, 반사이익 기대 수혜주로 관심 집중
- 미국 정책 수혜주 집중…조선 업종 올해 7% 이상 급등
- 관건은 외국인 수급…지난해 8월~올해 1월까지 순매도
- 코스피 시총대비 외국인 보유 비중 32%대…연저점 부근
- 외국인 2월에도 팔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록
- "첫 IPO 대어였는데"…LG CNS 상장 첫 날 급락
- LG CNS, 공모가보다 9.85% 낮은 5만5800원
- 기관 투자자 대규모 매도세 여파…"구주매출 비중 높아"
- 성장성 의구심도…지난해 3분기 내부거래 비중 62%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완진다른기사
트럼프 '가자 구상' 거센 후폭풍…美 정치권 "탄핵추진"
대우건설 지난해 영업익 '40% 급감' 4천31억원…신규수주 목표치 86% 그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