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정보 유출될라…정부도 기업도 잇따라 딥시크 제한

SBS Biz 김동필
입력2025.02.06 00:41
수정2025.02.06 00:42


정부 부처와 국내 기업들이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내놓은 AI 모델의 업무용 사용을 제한하고 나섰습니다. 딥시크가 지나치게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 유출 위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 데 따른 조처로 풀이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업무망에서 딥시크를 이용할 수 없도록 임시 차단 조치했다고 어제(5일) 밝혔습니다. 

앞서 행정안전부와 국정원은 지난 3일 모든 중앙부처와 광역 지방자치단체 등에 생성형 AI 사용과 관련한 보안 가이드라인을 보냈는데, 이에 따라 국방부와 외교부 등도 자체 판단에 따라 정보 유출 우려가 있는 시스템 및 업무 조직별로 딥시크 서비스 이용에 제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가이드라인에는 딥시크 등을 특정하진 않았지만,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집니다.

앞서 국내외에선 딥시크가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 등을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호주와 일본, 대만 등 여러 나라에서는 딥시크 사용 규제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정부부처 뿐 아니라 딥시크 차단에 나서는 민간 기업들도 속속 늘고 있습니다.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사내 공지를 통해 딥시크 모델의 안전성이 검증될 떄까지 해당 기업의 모델을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이동통신3사 중 처음으로 전날 사내 공지를 통해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습니다. 보안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원전 관련 보안을 위해 챗GPT를 업무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막았던 한국수력원자력도 지난 1일 사내 업무망에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 사용 금지'라는 제목의 공문을 게시했습니다.

이같은 우려가 커지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했습니다. 다만 딥시크 본사는 아직 개인정보위에 회신하지 않았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동필다른기사
정보 유출될라…정부도 기업도 잇따라 딥시크 제한
과기정통부·고용부, '쉬었음' 청년에 AI·SW 교육…구직 기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