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尹·金 불응에 국조특위 구치소 현장조사 무산

SBS Biz 우형준
입력2025.02.05 16:48
수정2025.02.05 16:52

[5일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구치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서 안규백 위원장과 야당 의원들이 불출석한 김용현 전 장관이 있는 보안구역으로 향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국회 내란 혐의 국정조사특별위원회가 오늘(5일) 윤석열 대통령이 수감된 서울구치소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수감된 서울 동부구치소를 찾아 현장 조사를 시도했지만 무산됐습니다.

김 전 장관은 재판 준비 등으로 바쁘다는 이유로 국조특위 조사에 응하지 않았고 이에 안규백 국조특위 위원장은 구치소 내부로 들어가 김 전 장관을 직접 면담하는 방식의 비공개 조사를 시도했지만 김 전 장관은 결국 응하지 않습니다.

윤 대통령 역시 국조특위 소속 야당 의원들이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현장 조사를 시도했지만 청문회 참석을 거부했습니다. 

국조특위 야당 의원들은 "국정조사 비협조 윤석열·김용현은 역사의 죄인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구치소에 대기하며 오랜 시간 기다렸고, 교도관을 통해 의사를 타진하면서 증인들에 현장 조사 협조를 요구했다. 소수 인원의 장소 변경 조사를 제안했지만 이들은 끝까지 거부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윤석열, 김용현은 공직자로서 내란 주동자로서 국민 앞에 증언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며 "국정조사에 불출석하고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것은 명백한 진상 규명 방해 행위"라고 비판했습니다.

야당 국조특위 간사인 한병도 민주당 의원은 "국정조사에 임하는 태도가 불량해도 너무 불량한 사람들"이라며 "고발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국정조사를 통해 파헤칠 내용이 많이 있어 헌재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진행하는 동안 이것을(국조특위 시한을) 연장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며 "국정조사 기간 연장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이날 구치소 현장 조사는 국민의힘이 불참한 가운데 진행됐습니다.

국조특위 활동 기한은 오는 13일까지로 추가 조사가 필요한 경우 본회의 의결을 거쳐 조사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우형준다른기사
대통령실, 굿판' 허위사실 유포"…신용한 전 교수 고발
尹·金 불응에 국조특위 구치소 현장조사 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