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산모들, 산후조리원 목돈 부담에 '정부 경비 지원' 요구"

SBS Biz 김종윤
입력2025.02.05 13:43
수정2025.02.05 14:03

[산후조리원 (연합뉴스TV 제공=연합뉴스)]

지난해 산모 10명 중 8∼9명꼴로 산후조리원을 이용했고, 평균 12.6일간 287만원의 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9월 30일∼10월 12일 실시한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5일 공개했는데, 2023년 출산한 산모 중 지역·연령 등을 고려해 모두 3천221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조사했습니다.

산후조리원 지출 비용은 3년 사이 18% 늘었다.

지난해 산모들은 조리 기간 중 산후조리원에서 평균 286만5천원을 지출했습니다.

산후조리원에서의 지출액은 2018년(220만7천원)보다 2021년(243만1천원)에 10% 늘어난 데 이어 이번 조사에서는 3년 새 17.9% 증가했습니다.



반면 가정에서의 산후조리 비용은 2018년 95만8천원에서 2021년 81만5천원으로 14.9% 감소했다가 지난해 125만5천원으로 50%가량 급증했습니다.

한꺼번에 많은 돈이 들어가는 만큼 매번 실태조사에서 대다수의 산모가 정부의 경비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복수 응답)으로 산모 60.1%가 경비 지원을 꼽았습니다.

산모들은 만족스러운 조리를 위해 정부가 산후조리 경비를 지원해줄 것을 희망했으며, 출산휴가 기간 확대,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 등 쉴 수 있는 권리를 원하는 의견도 매년 늘고 있습니다.

조사 결과, 산모들이 산후조리를 위해 선택한 장소(중복 응답)는 조리원이 85.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본인 집(84.2%), 친정(11.2%), 시가(1.0%) 순이었습니다.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2018년 75.1%, 2021년 81.2% 등 조사 때마다 늘고 있습니다.

평균 산후조리 기간은 30.7일이었다. 본인 집(22.3일), 친정(20.3일), 시가(19.8일), 산후조리원(12.6일) 순으로 길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종윤다른기사
영풍 소수주주 펀드 "주총서 독립성 있는 사외이사 선임하라"
엘앤에프 "LFP 양극재, 미국에서 직접 사업화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