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만에 반등했지만…美·中 관세 폭탄 '살얼음판'
SBS Biz 이민후
입력2025.02.04 17:43
수정2025.02.04 18:36
[앵커]
멕시코 캐나다 관세 유예 소식에 장 초반 급등했던 코스피는 미중 관세 갈등이 전해지며 상승폭을 줄였습니다.
이민후 기자, 먼저 국내 증시 마감 상황, 어땠죠?
[기자]
코스피가 오늘(4일) 1.13% 오른 2,481.69에 장을 마치면서 하루 만에 반등했습니다.
개인이 2천932억 원을 던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94억 원, 1천235억 원 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를 향한 관세 부과 시기를 한 달 뒤로 미루면서 장 초반 크게 상승했는데요.
오후 2시 들어 미국과 중국의 충돌 소식이 전해지며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코스닥 역시 같은 흐름을 보였고 2.29% 오른 719.92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앵커]
아시아 증시는 상황이 어땠나요?
[기자]
아시아 증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일본 닛케이지수 역시 어제(3일)보다 0.72% 오른 38,798.37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홍콩항셍지수는 2.55% 오른 20,7330.20에 장을 마쳤습니다.
관세 전쟁이 현실화되면서 국내외 증시의 출렁임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이재원 / 신한투자증권 리서처 : 시장에서 지금 우려하고 있는 건 관세가 중국이랑 멕시코 캐나다 넘어서서 우리나라 포함해서 대만이나 보편적으로 확대될까 그거에 좀 우려를 하는 건데요. 이런 노이즈가 생기면 변동성은 유지가 될 수밖에 없죠.]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4원 30전 내린 1462원 90전에 주간거래를 마치고 오후 5시 40분 기준 1460원 40전에 거래 중인데요. 관세 리스크에 따른 불안감에 변동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SBS Biz 이민후입니다.
멕시코 캐나다 관세 유예 소식에 장 초반 급등했던 코스피는 미중 관세 갈등이 전해지며 상승폭을 줄였습니다.
이민후 기자, 먼저 국내 증시 마감 상황, 어땠죠?
[기자]
코스피가 오늘(4일) 1.13% 오른 2,481.69에 장을 마치면서 하루 만에 반등했습니다.
개인이 2천932억 원을 던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94억 원, 1천235억 원 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를 향한 관세 부과 시기를 한 달 뒤로 미루면서 장 초반 크게 상승했는데요.
오후 2시 들어 미국과 중국의 충돌 소식이 전해지며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코스닥 역시 같은 흐름을 보였고 2.29% 오른 719.92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앵커]
아시아 증시는 상황이 어땠나요?
[기자]
아시아 증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일본 닛케이지수 역시 어제(3일)보다 0.72% 오른 38,798.37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홍콩항셍지수는 2.55% 오른 20,7330.20에 장을 마쳤습니다.
관세 전쟁이 현실화되면서 국내외 증시의 출렁임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이재원 / 신한투자증권 리서처 : 시장에서 지금 우려하고 있는 건 관세가 중국이랑 멕시코 캐나다 넘어서서 우리나라 포함해서 대만이나 보편적으로 확대될까 그거에 좀 우려를 하는 건데요. 이런 노이즈가 생기면 변동성은 유지가 될 수밖에 없죠.]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4원 30전 내린 1462원 90전에 주간거래를 마치고 오후 5시 40분 기준 1460원 40전에 거래 중인데요. 관세 리스크에 따른 불안감에 변동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SBS Biz 이민후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출금 막은 범죄계좌로 16억 송금"…은행 대응 도마 위
- 2.'집이 효자네'…실버타운 가도 연금 받고, 월세도 받는다?
- 3.명절 기차표 매진이라더니…148만석 빈자리 황당
- 4.'2900원 짜장면에 삼각김밥 덤'…한끼 식사 거뜬, 어디야?
- 5.병원비 급한데, 돈 없을 때 국민연금 급전 아시나요
- 6.'이번엔 놓치지마'…월 70만원 넣고 5천만원 타는 '이 통장'
- 7.실적 부진…머스크 '이 한마디'에 테슬라 날았다
- 8.월급 300만원 직장인, 국민연금 1440만원 더 받는 비결은?
- 9.'애들 키우고, 빚 갚다보니'…빈곤 내몰린 노인들
- 10.'작년 137만명, 어쩔 수 없이 짐 쌌다'…남일 아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