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미국-멕시코, 25% 관세 부과 한달 유예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2.04 06:46
수정2025.02.04 07:55
■ 모닝벨 '이슈분석' - 진행 : 김기호 / 출연 : 곽노성 동국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
미국 관세 조치에 언론에서는 '총성 없는 전쟁'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이 총성 없는 전쟁에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으로 휴전의 제스처를 취했는데요. 자세한 이야기 동국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곽노성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
Q.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의 총구를 살짝 내리는 모습입니다. 멕시코에 대한 입장 변화를 X에 올렸죠?
- 총성 없는 관세 전쟁…트럼프 대통령, 입장 변화 있나?
- 트럼프 대통령, 멕시코에 관세 부과 유예 전격 발표
- 멕시코 대통령 "트럼프와 관세 부과 한 달 보류 합의"
- 멕시코, 국경에 펜타닐 밀매 차단 위한 군 투입 계획
- 캐나다 총리 "국경 강화…13억달러 투입·1만명 배치"
- 트럼프, 트뤼도 캐나다 총리 통화 "잘 진행됐다"
- 캐나다 총리 "미국의 對캐나다 관세 부과 30일 유예"
- "中과 24시간 내 대화할것…합의 못 하면 관세 올라"
- 국부펀드 설립 행정명령 서명…"틱톡 매입할 수도"
- 트럼프의 관세 '협상 도구' 활용 추측, 사실로 입증
Q.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반응도 궁금한데요. 오늘(4일) 변화에도 반응이 있었나요?
- 트럼프 관세 정책…주변국 및 언론 등 반응은?
- 우회 수출·현지 직접투자 등…복잡한 공급망
- 北 트럼프 첫 공식 비난…"가장 불량한 국가는 美"
- 北, 美 국무장관에 반발…"이란 北 같은 불량국가"
- 美 언론 "트럼프 관세는 협상 전략…시장 일시적 안도"
- 연준 보스틱 "불확실성 커…금리인하 당분간 기다릴 것"
- OPEC+, 트럼프 압박에도 '감산' 기존정책 고수
Q. 어제(3일)는 관세전쟁 우려감에 뉴욕증시에 이어 국내증시도 급락을 면치 못했죠. 물론 외환시장도 마찬가지 흐름이었습니다. 그럼 오늘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시장도 안도하는 모습 보일까요?
- 비트코인 10만 달러 회복…자본·외환시장 등 반응은?
- 멕시코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뉴욕증시 낙폭 축소
- 중국 관세 부과 관련 기업, 약세 면치 못해
- 멕시코 관세 부과 한 달 유예…페소화 강세 전환
- 비트코인 10만 달러 회복·유럽증시 낙폭 완화
- 치솟는 금값…"연내 3,000달러 돌파할 것" 분석도
- 인플레이션·경제성장 둔화 우려 등…금융시장 패닉
Q. 사실 이런 관세 전쟁에 직격탄을 맞는 건 기업들 아니겠습니까? 물론 멕시코나 캐나다의 반응은 불 보듯 뻔하고요. 미국 현지의 반응도 궁금한데요. 주가도 반응이 있었나요?
- 트럼프 관세 정책에 '벌벌' 업계·노조 반응은?
- 현지 수입업체의 단가 상승 요인…현지 업계 '반발'
- 멕시코 의존도 높은 제너럴 모터스·스텔란티스, 안도
- 중국 의존도 높은 테슬라·애플 등 여전히 조정
- 미국 철강, 석유 분야에서도 철회 촉구 '목소리'
- 美 철강노조 "동맹국 공격, 앞으로 나아가는 길 아냐"
- 美 석유화학업계 단체 "관세 조치 오래가지 않길 희망"
Q. 캐나다와 멕시코를 수출지기로 활용했던 국내 기업도 많이 있는만큼 이번 관세 전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 변화로 한시름 놔도 될까요?
- 관세 정책에 복잡해진 '셈법' 한국기업들의 대응책은?
- 단기, 생산량 조절·비관세 국가로 공장 이전 등
- 장기, 관세 정책에 대한 국가 차원의 합의 필요
- 美 관세 부과 대비 미리 했지만…효율성 측면 제약 커
- 삼성전자, 기아 등…캐나다·멕시코 생산공장 보유
- 현대제철 등 소재·부품 업체, 美 현지 생산 검토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미국 관세 조치에 언론에서는 '총성 없는 전쟁'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이 총성 없는 전쟁에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으로 휴전의 제스처를 취했는데요. 자세한 이야기 동국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곽노성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
Q.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의 총구를 살짝 내리는 모습입니다. 멕시코에 대한 입장 변화를 X에 올렸죠?
- 총성 없는 관세 전쟁…트럼프 대통령, 입장 변화 있나?
- 트럼프 대통령, 멕시코에 관세 부과 유예 전격 발표
- 멕시코 대통령 "트럼프와 관세 부과 한 달 보류 합의"
- 멕시코, 국경에 펜타닐 밀매 차단 위한 군 투입 계획
- 캐나다 총리 "국경 강화…13억달러 투입·1만명 배치"
- 트럼프, 트뤼도 캐나다 총리 통화 "잘 진행됐다"
- 캐나다 총리 "미국의 對캐나다 관세 부과 30일 유예"
- "中과 24시간 내 대화할것…합의 못 하면 관세 올라"
- 국부펀드 설립 행정명령 서명…"틱톡 매입할 수도"
- 트럼프의 관세 '협상 도구' 활용 추측, 사실로 입증
Q.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반응도 궁금한데요. 오늘(4일) 변화에도 반응이 있었나요?
- 트럼프 관세 정책…주변국 및 언론 등 반응은?
- 우회 수출·현지 직접투자 등…복잡한 공급망
- 北 트럼프 첫 공식 비난…"가장 불량한 국가는 美"
- 北, 美 국무장관에 반발…"이란 北 같은 불량국가"
- 美 언론 "트럼프 관세는 협상 전략…시장 일시적 안도"
- 연준 보스틱 "불확실성 커…금리인하 당분간 기다릴 것"
- OPEC+, 트럼프 압박에도 '감산' 기존정책 고수
Q. 어제(3일)는 관세전쟁 우려감에 뉴욕증시에 이어 국내증시도 급락을 면치 못했죠. 물론 외환시장도 마찬가지 흐름이었습니다. 그럼 오늘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시장도 안도하는 모습 보일까요?
- 비트코인 10만 달러 회복…자본·외환시장 등 반응은?
- 멕시코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뉴욕증시 낙폭 축소
- 중국 관세 부과 관련 기업, 약세 면치 못해
- 멕시코 관세 부과 한 달 유예…페소화 강세 전환
- 비트코인 10만 달러 회복·유럽증시 낙폭 완화
- 치솟는 금값…"연내 3,000달러 돌파할 것" 분석도
- 인플레이션·경제성장 둔화 우려 등…금융시장 패닉
Q. 사실 이런 관세 전쟁에 직격탄을 맞는 건 기업들 아니겠습니까? 물론 멕시코나 캐나다의 반응은 불 보듯 뻔하고요. 미국 현지의 반응도 궁금한데요. 주가도 반응이 있었나요?
- 트럼프 관세 정책에 '벌벌' 업계·노조 반응은?
- 현지 수입업체의 단가 상승 요인…현지 업계 '반발'
- 멕시코 의존도 높은 제너럴 모터스·스텔란티스, 안도
- 중국 의존도 높은 테슬라·애플 등 여전히 조정
- 미국 철강, 석유 분야에서도 철회 촉구 '목소리'
- 美 철강노조 "동맹국 공격, 앞으로 나아가는 길 아냐"
- 美 석유화학업계 단체 "관세 조치 오래가지 않길 희망"
Q. 캐나다와 멕시코를 수출지기로 활용했던 국내 기업도 많이 있는만큼 이번 관세 전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 변화로 한시름 놔도 될까요?
- 관세 정책에 복잡해진 '셈법' 한국기업들의 대응책은?
- 단기, 생산량 조절·비관세 국가로 공장 이전 등
- 장기, 관세 정책에 대한 국가 차원의 합의 필요
- 美 관세 부과 대비 미리 했지만…효율성 측면 제약 커
- 삼성전자, 기아 등…캐나다·멕시코 생산공장 보유
- 현대제철 등 소재·부품 업체, 美 현지 생산 검토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출금 막은 범죄계좌로 16억 송금"…은행 대응 도마 위
- 2.'집이 효자네'…실버타운 가도 연금 받고, 월세도 받는다?
- 3.명절 기차표 매진이라더니…148만석 빈자리 황당
- 4.'2900원 짜장면에 삼각김밥 덤'…한끼 식사 거뜬, 어디야?
- 5.병원비 급한데, 돈 없을 때 국민연금 급전 아시나요
- 6.'이번엔 놓치지마'…월 70만원 넣고 5천만원 타는 '이 통장'
- 7.실적 부진…머스크 '이 한마디'에 테슬라 날았다
- 8.월급 300만원 직장인, 국민연금 1440만원 더 받는 비결은?
- 9.'애들 키우고, 빚 갚다보니'…빈곤 내몰린 노인들
- 10.'작년 137만명, 어쩔 수 없이 짐 쌌다'…남일 아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