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광의 투자 시선] ‘트럼프 관세 부과’ 재확인…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SBS Biz 윤진섭
입력2025.02.03 07:51
수정2025.02.03 09:51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이춘광의 투자 시선' - 이춘광 레그넘투자자문 대표
[이번 주 증시 이벤트]
▲3일 (월)
휴장 : 중국
[산업] 현대차·기아 1월 도매판매 데이터
- 한국 1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 미국 12월 건설지출
1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ISM 고용, 제조업, 구매물가
- 유럽 1월 HCOB 제조업 PMI
CPI, 근원 CPI
- 일본 1월 지분 은행 제조업 PMI
한국 실적 : LG화학,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퓨처엠, 포스코 DX, 효성중공업, 효성티앤씨, SBS
▲4일 (화)
휴장 : 중국
[산업] 미국 1월 판매 데이터, 현대차·기아 1월 지역별 판매 데이터
- 한국 1월 금통위 의사록 공개
- 미국 12월 구인이직보고서 구인건수
제조업 수주, 내구재 주문
신규 상장 : 아이지넷, 피아이이
한국 실적 : 하나금융지주, LG생활건강, 카카오페이
미국 실적 : 머크, 에스티로더, 화이자, 암젠, 페이팔
▲5일 (수)
[산업] 2025 F/W 서울패션위크(~9)
- 한국 1월 CPI, 근원 CPI
- 미국 1월 ADP취업자 변동
S&P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ISM 서비스, 고용, 신규주문
- 중국 1월 차이신 종합, 서비스업 PMI
- 유럽 12월 PPI
1월 HCOB 서비스, 종합 PMI
- 일본 1월 지분 은행 종합, 서비스 PMI
신규 상장 : LG CNS
한국 실적 : KB금융, 카카오뱅크, GS건설, KCC
미국 실적 : 포드, 월트 디즈니, 캐터필러, 팔란티어, 온 세미컨덕터, AMD
▲6일 (목)
- BOE 통화정책회의
- 미국 1월 Challenger Job Cuts
- 유럽 12월 소매판매
한국 실적 : 한화솔루션, SK이노베이션, KT&G, LG유플러스
미국 실적 : 일라이 일리, 퀄컴
▲7일 (금)
- 미국 고용보고서
[산업] FAO 세계 식량가격지수,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출시
- 미국 12월 소비자신용지수
1월 비농업부문고용자수 변동, 실업률, 시간당 평균 임금
2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 일본 12월 선행지수, 동행지수
한국 실적 : 우리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NAVER, 롯데케미칼, 한화시스템
미국 실적 : 우버, 폭스, 익스피디아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지난주 금요일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 부과 방침을 강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하락 마감했는데요. 금요일 장을 비롯해서 지난주 뉴욕증시 흐름 어떻게 보셨나요?
- ‘트럼프 관세 부과’ 재확인…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강행'에 일제히 하락
- 트럼프 관세 임박·끈적한 美근원 PCE…달러화 강세
- 달러 인덱스 0.53% 상승…108.37 기록
- 엔비디아, 딥시크발 충격에 변동성↑…5.9% 하락
- 엑손모빌·셰브런 실적 ‘실망’…2.5%·4.6% 하락
- '트럼프 관세 부과' 재확인에 하락…S&P 0.5%↓
- 10년 만기 美 국채수익률 4.55%…0.03%↑
- 트럼프, 원유 관세 부과 계획 언급…WTI 1.5%↑
- 환율 1,450원대 복귀…한은 "경계감 갖고 주시"
◇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4일부터 미국에 들어오는 제품들에 관세인상 조치가 적용된다고 하죠. 캐나다도 즉각 보복관세로 맞불을 놨어요?
- '관세 무기화' 현실로…시작된 총성 없는 관세전쟁?
- 美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강행…中 추가 관세 10%
- 캐나다·멕시코·중국서 美로 들어오는 제품 적용
- 트럼프, 캐나다산 원유만 예외…10% 관세 적용
- 멕시코 대통령 "펜타닐 지목은 중상모략" 발끈
- 중국 "WTO 제소·반격" 예고…"막판 타협 미지수"
- 美 관세부과 대상 7년 전의 4배 육박
- 美 내부서도 불만…"자동차·정유·전자상거래 타격"
- WSJ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 전쟁“
◇ 예고했던 관세 부가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다시 들썩일 위험, 그리고 이를 선반영해 미국의 시장금리와 달러 가치가 치솟을 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자산시장이 한바탕 휘청일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할까요?
- 트럼프발 관세전쟁 첫 포문…자산시장 충격파 예고?
- 시장 뒤흔든 트럼프 '관세 폭탄'…"반도체·석유도"
- 본격 '관세 전쟁'…무한 보복전·인플레이션 우려
- 멕시코·캐나다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우려
- 美 수입하는 물품 중 원자재 10%·중간재 17%
- 로이터 "소비자, 어려움 직면할 것"
- 캐피탈이코노믹스 "인플레 3.2% 뛸 수도"
◇ 지난해 12월 PCE 물가 상승률은 2.6%로 3개월 연속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치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모습이었는데,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 美 인플레 둔화세 정체…연내 금리인하 가능성은?
- 미국 12월 PCE물가 2.6%↑…석 달 연속 상승세
- 美 12월 근원 PCE물가 2.8%↑…금리유지 지속 전망
- 12월 명목 소비지출 증가율 0.7%…시장 예상치 상회
- 美 연준 굴스비 “PCE 물가 양호…금리 인하 적절"
◇ 미국의 지난해 4분기 GDP 증가율은 2.3%로 나오면서 시장 전망치를 하회했는데요. 연간 GDP 성장률 역시 2.8%에 그쳤죠. 지난해 3분기부터 성장률이 둔화되는 흐름이 보이는 거 같아요?
- 美 작년 4분기 성장률 2.3%…앞날은 불투명?
- 美 작년 4분기 성장률 2.3%…"소비지출이 주도"
- 미국 경제의 주요 동력 '개인 소비' 4.2% 증가
- 작년 美 12월 실업률 4.1%…전월비 0.1%p 하락
- 美 경제 활발한 소비·낮은 실업률…작년 2.8%↑
- "美, 올해 '트럼프 리스크'에도 2%대 성장률 전망"
◇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FOMC에서 연준은 금리 유지를 결정했는데요. 무엇보다 올해 금리가 몇 차례 정도 낮아질 것인지에 관심이 쏠렸는데, 연준 발표 등을 기준으로 보면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 금리 인하 멈춘 美…인하 기대감은 유효?
- 트럼프 압박에도 연준 미국 기준금리 유지
- 연준, 1월 FOMC서 기준금리 4.25~4.5%로 유지
- 3번 연속 인하 뒤 유지…한미 금리차 1.5% 유지
- 트럼프의 금리인하 압박에도 인플레 우려 여전
- 파월 의장 "트럼프 대통령과 접촉한 적 없어"
- 파월 의장 "정책 입장 조정에 서두를 필요 없어"
- FOMC 성명서에서 '인플레 목표 2% 전진' 삭제
- 연준, 미 고용시장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평가
- 멈춰 선 미 금리 인하… 한은 "속도조절 불가피"
- ECB, 5 연속 금리 인하…예금금리 3%→2.75%
◇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가 만든 AI 서비스의 파장이 국내 증시까지 덮쳤는데요. SK하이닉스는 10% 가까이 빠졌고, 엔비디아 주가 회복도 쉽지 않아 보이죠. 이번 사태가 향후 AI 판도를 어떻게 변화시킬 거라고 보시나요?
- 글로벌 증시 덮친 '딥시크 쇼크'…AI 판도 바뀌나
- 27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 AI 모델 R1 공개
- 저비용 내세운 딥시크…AI 본격 대중화 도화선
- 딥시크 R1, 챗GPT 개발비 5.6% 사용해 개발
- '딥시크' 쇼크에도…MS·메타, 수백억 달러 투자
- MS, AI에 800억 달러 투자…"더 많은 수요 발생"
- 메타 CEO "향후 이득"…650억 달러 투자 계획
- 미국, 엔비디아 저사양 칩 중국 수출통제 검토
- 다양한 AI 모델 출연…"시장 전반 성장 유도"
◇ 딥시크 쇼크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 젠슨황 CEO가 비공개 면담을 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요. 관계자들의 말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저사양 칩 수출 제한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해요?
- 트럼프·젠슨 황 비공개 면담…中 규제 논의?
- 미- 중 'AI 패권전쟁'…삼전·하이닉스 운명은?
- 'AI칩 가격↓·대중 수출 제재 확대' 우려…K반도체 초긴장
- '딥시크 쇼크'…하이닉스 주가 10% 가까이 급락
- 트럼프,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백악관 초청
- 로이터 "美 대중국 AI칩 수출 제한 강도 높일 것"
- 블룸버그 "中 수출 허용했던 'H20' 규제 검토"
- NYT "실리콘밸리의 어두운 시간"…위기 강조
- 제2의 딥시크 줄줄이…中 AI '5대 천왕' 美 위협
- 문샷 AI·즈푸AI·바이촨·미니맥스, AI 생태계 진입
◇ 딥시크 충격에 4분기 실적을 발표한 빅테크들의 주가 희비도 엇갈리는 모습인데요. 이번 주 알파벳과 아마존의 분기 실적도 공개되는데, 지금 상황에서 AI 선두주자들이 어떤 실적과 전망을 내놓을지도 관건이 될 거 같거든요?
- 성적표 내놓는 미국 증시 M7…승자와 패자는?
- 메타 MS, 실적 엇갈렸지만 "AI 투자 지속" 강조
- S&P500 편입 기업 가운데 120개 업체 실적 발표
- 알파벳 4일·아마존 6일, 장 마감 뒤 분기 실적 공개
- 테슬라, 지난 29일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
- 테슬라 4분기 매출 257억·EPS 0.73달러 기록
- 테슬라 4분기 매출·EPS, 시장 예상치 밑돌아
- 테슬라 4분기 영업이익 15억 8300만 달러 기록
- 테슬라 4분기 자동차 매출 197억 9800만 달러
- 테슬라 "가격 정책·금융 옵션 때문 판매 단가↓"
- 테슬라 2024년 자동차 판매량 178만 9226대
- 테슬라 역사상 처음 자동차 판매 성장세 꺾여
- 테슬라 "2025년, 역사상 매우 중요한 해 될 것“
- 머스크 "6월, 감독 없는 FSD 유료 출시 예정"
- 머스크 "올해 미국 내 자율주행 택시 출시 계획"
- 로보택시 전용 사이버캡 개발…2026년 양산 목표
- 애플,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中 매출은 감소
- 애플, 4분기 중국 매출 급감에도 월가 호평
- 애플, 중국서 딥시크 탑재 아이폰 출시 전망 제기
- 애플, 서비스 매출 13%↑…아이폰 판매 부진 상쇄
- 메타 4분기 매출 483억·EPS 8.02달러
- 메타의 AI 전략, 소스를 공유하는 '오픈소스'
- 인스타그램·페이스북 등 사용자 꾸준한 증가세
- 도이체방크 "메타 목표주가 705→800달러"
◇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예고한 주요 정책들을 보면 물가를 자극하는 인플레 요인과 물가 압력을 낮추는 디스인플레 요인이 섞여 있습니다. 관세, 에너지, 반이민 정책 등 주요 정책들을 물가 압력과 관련해서 평가해 주신다면요?
- 트럼프 주요 정책 본격화…물가에 미칠 영향은?
- 석유 생산 확대…추가 생산 가격 하락 가능성↑
- 관세·불법이민자·법인세 인하…'인플레' 요소
- 트럼프, 국경 비상사태 선포…반이민정책 본격화
- 지난해 美 이민자 330만 명…상당수 불법체류자
- 이민자 유입, 노동력 부족 완화·경제 생산성 기여
- 미국 내 불법체류자, 약 1100만 명으로 추산
- 불법체류자 중 약 830만 명 노동 시장 참여
- "농업·의료 서비스 등 노동력 부족 초래할 수도"
- 농업 부문, 불법 이민자 노동력에 의존
- "바이든 시절 증가한 이민자 수 감소 예상"
- “반이민정책, 임금 상승·물가 상승 압력 작용"
- 멕시코 국경 봉쇄…불법체류자 자녀 시민권 불허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주 증시 이벤트]
▲3일 (월)
휴장 : 중국
[산업] 현대차·기아 1월 도매판매 데이터
- 한국 1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 미국 12월 건설지출
1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ISM 고용, 제조업, 구매물가
- 유럽 1월 HCOB 제조업 PMI
CPI, 근원 CPI
- 일본 1월 지분 은행 제조업 PMI
한국 실적 : LG화학,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퓨처엠, 포스코 DX, 효성중공업, 효성티앤씨, SBS
▲4일 (화)
휴장 : 중국
[산업] 미국 1월 판매 데이터, 현대차·기아 1월 지역별 판매 데이터
- 한국 1월 금통위 의사록 공개
- 미국 12월 구인이직보고서 구인건수
제조업 수주, 내구재 주문
신규 상장 : 아이지넷, 피아이이
한국 실적 : 하나금융지주, LG생활건강, 카카오페이
미국 실적 : 머크, 에스티로더, 화이자, 암젠, 페이팔
▲5일 (수)
[산업] 2025 F/W 서울패션위크(~9)
- 한국 1월 CPI, 근원 CPI
- 미국 1월 ADP취업자 변동
S&P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ISM 서비스, 고용, 신규주문
- 중국 1월 차이신 종합, 서비스업 PMI
- 유럽 12월 PPI
1월 HCOB 서비스, 종합 PMI
- 일본 1월 지분 은행 종합, 서비스 PMI
신규 상장 : LG CNS
한국 실적 : KB금융, 카카오뱅크, GS건설, KCC
미국 실적 : 포드, 월트 디즈니, 캐터필러, 팔란티어, 온 세미컨덕터, AMD
▲6일 (목)
- BOE 통화정책회의
- 미국 1월 Challenger Job Cuts
- 유럽 12월 소매판매
한국 실적 : 한화솔루션, SK이노베이션, KT&G, LG유플러스
미국 실적 : 일라이 일리, 퀄컴
▲7일 (금)
- 미국 고용보고서
[산업] FAO 세계 식량가격지수,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출시
- 미국 12월 소비자신용지수
1월 비농업부문고용자수 변동, 실업률, 시간당 평균 임금
2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 일본 12월 선행지수, 동행지수
한국 실적 : 우리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NAVER, 롯데케미칼, 한화시스템
미국 실적 : 우버, 폭스, 익스피디아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지난주 금요일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 부과 방침을 강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하락 마감했는데요. 금요일 장을 비롯해서 지난주 뉴욕증시 흐름 어떻게 보셨나요?
- ‘트럼프 관세 부과’ 재확인…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강행'에 일제히 하락
- 트럼프 관세 임박·끈적한 美근원 PCE…달러화 강세
- 달러 인덱스 0.53% 상승…108.37 기록
- 엔비디아, 딥시크발 충격에 변동성↑…5.9% 하락
- 엑손모빌·셰브런 실적 ‘실망’…2.5%·4.6% 하락
- '트럼프 관세 부과' 재확인에 하락…S&P 0.5%↓
- 10년 만기 美 국채수익률 4.55%…0.03%↑
- 트럼프, 원유 관세 부과 계획 언급…WTI 1.5%↑
- 환율 1,450원대 복귀…한은 "경계감 갖고 주시"
◇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4일부터 미국에 들어오는 제품들에 관세인상 조치가 적용된다고 하죠. 캐나다도 즉각 보복관세로 맞불을 놨어요?
- '관세 무기화' 현실로…시작된 총성 없는 관세전쟁?
- 美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강행…中 추가 관세 10%
- 캐나다·멕시코·중국서 美로 들어오는 제품 적용
- 트럼프, 캐나다산 원유만 예외…10% 관세 적용
- 멕시코 대통령 "펜타닐 지목은 중상모략" 발끈
- 중국 "WTO 제소·반격" 예고…"막판 타협 미지수"
- 美 관세부과 대상 7년 전의 4배 육박
- 美 내부서도 불만…"자동차·정유·전자상거래 타격"
- WSJ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 전쟁“
◇ 예고했던 관세 부가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다시 들썩일 위험, 그리고 이를 선반영해 미국의 시장금리와 달러 가치가 치솟을 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자산시장이 한바탕 휘청일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할까요?
- 트럼프발 관세전쟁 첫 포문…자산시장 충격파 예고?
- 시장 뒤흔든 트럼프 '관세 폭탄'…"반도체·석유도"
- 본격 '관세 전쟁'…무한 보복전·인플레이션 우려
- 멕시코·캐나다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우려
- 美 수입하는 물품 중 원자재 10%·중간재 17%
- 로이터 "소비자, 어려움 직면할 것"
- 캐피탈이코노믹스 "인플레 3.2% 뛸 수도"
◇ 지난해 12월 PCE 물가 상승률은 2.6%로 3개월 연속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치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모습이었는데,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 美 인플레 둔화세 정체…연내 금리인하 가능성은?
- 미국 12월 PCE물가 2.6%↑…석 달 연속 상승세
- 美 12월 근원 PCE물가 2.8%↑…금리유지 지속 전망
- 12월 명목 소비지출 증가율 0.7%…시장 예상치 상회
- 美 연준 굴스비 “PCE 물가 양호…금리 인하 적절"
◇ 미국의 지난해 4분기 GDP 증가율은 2.3%로 나오면서 시장 전망치를 하회했는데요. 연간 GDP 성장률 역시 2.8%에 그쳤죠. 지난해 3분기부터 성장률이 둔화되는 흐름이 보이는 거 같아요?
- 美 작년 4분기 성장률 2.3%…앞날은 불투명?
- 美 작년 4분기 성장률 2.3%…"소비지출이 주도"
- 미국 경제의 주요 동력 '개인 소비' 4.2% 증가
- 작년 美 12월 실업률 4.1%…전월비 0.1%p 하락
- 美 경제 활발한 소비·낮은 실업률…작년 2.8%↑
- "美, 올해 '트럼프 리스크'에도 2%대 성장률 전망"
◇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FOMC에서 연준은 금리 유지를 결정했는데요. 무엇보다 올해 금리가 몇 차례 정도 낮아질 것인지에 관심이 쏠렸는데, 연준 발표 등을 기준으로 보면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 금리 인하 멈춘 美…인하 기대감은 유효?
- 트럼프 압박에도 연준 미국 기준금리 유지
- 연준, 1월 FOMC서 기준금리 4.25~4.5%로 유지
- 3번 연속 인하 뒤 유지…한미 금리차 1.5% 유지
- 트럼프의 금리인하 압박에도 인플레 우려 여전
- 파월 의장 "트럼프 대통령과 접촉한 적 없어"
- 파월 의장 "정책 입장 조정에 서두를 필요 없어"
- FOMC 성명서에서 '인플레 목표 2% 전진' 삭제
- 연준, 미 고용시장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평가
- 멈춰 선 미 금리 인하… 한은 "속도조절 불가피"
- ECB, 5 연속 금리 인하…예금금리 3%→2.75%
◇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가 만든 AI 서비스의 파장이 국내 증시까지 덮쳤는데요. SK하이닉스는 10% 가까이 빠졌고, 엔비디아 주가 회복도 쉽지 않아 보이죠. 이번 사태가 향후 AI 판도를 어떻게 변화시킬 거라고 보시나요?
- 글로벌 증시 덮친 '딥시크 쇼크'…AI 판도 바뀌나
- 27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 AI 모델 R1 공개
- 저비용 내세운 딥시크…AI 본격 대중화 도화선
- 딥시크 R1, 챗GPT 개발비 5.6% 사용해 개발
- '딥시크' 쇼크에도…MS·메타, 수백억 달러 투자
- MS, AI에 800억 달러 투자…"더 많은 수요 발생"
- 메타 CEO "향후 이득"…650억 달러 투자 계획
- 미국, 엔비디아 저사양 칩 중국 수출통제 검토
- 다양한 AI 모델 출연…"시장 전반 성장 유도"
◇ 딥시크 쇼크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 젠슨황 CEO가 비공개 면담을 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요. 관계자들의 말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저사양 칩 수출 제한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해요?
- 트럼프·젠슨 황 비공개 면담…中 규제 논의?
- 미- 중 'AI 패권전쟁'…삼전·하이닉스 운명은?
- 'AI칩 가격↓·대중 수출 제재 확대' 우려…K반도체 초긴장
- '딥시크 쇼크'…하이닉스 주가 10% 가까이 급락
- 트럼프,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백악관 초청
- 로이터 "美 대중국 AI칩 수출 제한 강도 높일 것"
- 블룸버그 "中 수출 허용했던 'H20' 규제 검토"
- NYT "실리콘밸리의 어두운 시간"…위기 강조
- 제2의 딥시크 줄줄이…中 AI '5대 천왕' 美 위협
- 문샷 AI·즈푸AI·바이촨·미니맥스, AI 생태계 진입
◇ 딥시크 충격에 4분기 실적을 발표한 빅테크들의 주가 희비도 엇갈리는 모습인데요. 이번 주 알파벳과 아마존의 분기 실적도 공개되는데, 지금 상황에서 AI 선두주자들이 어떤 실적과 전망을 내놓을지도 관건이 될 거 같거든요?
- 성적표 내놓는 미국 증시 M7…승자와 패자는?
- 메타 MS, 실적 엇갈렸지만 "AI 투자 지속" 강조
- S&P500 편입 기업 가운데 120개 업체 실적 발표
- 알파벳 4일·아마존 6일, 장 마감 뒤 분기 실적 공개
- 테슬라, 지난 29일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
- 테슬라 4분기 매출 257억·EPS 0.73달러 기록
- 테슬라 4분기 매출·EPS, 시장 예상치 밑돌아
- 테슬라 4분기 영업이익 15억 8300만 달러 기록
- 테슬라 4분기 자동차 매출 197억 9800만 달러
- 테슬라 "가격 정책·금융 옵션 때문 판매 단가↓"
- 테슬라 2024년 자동차 판매량 178만 9226대
- 테슬라 역사상 처음 자동차 판매 성장세 꺾여
- 테슬라 "2025년, 역사상 매우 중요한 해 될 것“
- 머스크 "6월, 감독 없는 FSD 유료 출시 예정"
- 머스크 "올해 미국 내 자율주행 택시 출시 계획"
- 로보택시 전용 사이버캡 개발…2026년 양산 목표
- 애플,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中 매출은 감소
- 애플, 4분기 중국 매출 급감에도 월가 호평
- 애플, 중국서 딥시크 탑재 아이폰 출시 전망 제기
- 애플, 서비스 매출 13%↑…아이폰 판매 부진 상쇄
- 메타 4분기 매출 483억·EPS 8.02달러
- 메타의 AI 전략, 소스를 공유하는 '오픈소스'
- 인스타그램·페이스북 등 사용자 꾸준한 증가세
- 도이체방크 "메타 목표주가 705→800달러"
◇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예고한 주요 정책들을 보면 물가를 자극하는 인플레 요인과 물가 압력을 낮추는 디스인플레 요인이 섞여 있습니다. 관세, 에너지, 반이민 정책 등 주요 정책들을 물가 압력과 관련해서 평가해 주신다면요?
- 트럼프 주요 정책 본격화…물가에 미칠 영향은?
- 석유 생산 확대…추가 생산 가격 하락 가능성↑
- 관세·불법이민자·법인세 인하…'인플레' 요소
- 트럼프, 국경 비상사태 선포…반이민정책 본격화
- 지난해 美 이민자 330만 명…상당수 불법체류자
- 이민자 유입, 노동력 부족 완화·경제 생산성 기여
- 미국 내 불법체류자, 약 1100만 명으로 추산
- 불법체류자 중 약 830만 명 노동 시장 참여
- "농업·의료 서비스 등 노동력 부족 초래할 수도"
- 농업 부문, 불법 이민자 노동력에 의존
- "바이든 시절 증가한 이민자 수 감소 예상"
- “반이민정책, 임금 상승·물가 상승 압력 작용"
- 멕시코 국경 봉쇄…불법체류자 자녀 시민권 불허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출금 막은 범죄계좌로 16억 송금"…은행 대응 도마 위
- 2.'집이 효자네'…실버타운 가도 연금 받고, 월세도 받는다?
- 3.명절 기차표 매진이라더니…148만석 빈자리 황당
- 4.'2900원 짜장면에 삼각김밥 덤'…한끼 식사 거뜬, 어디야?
- 5.병원비 급한데, 돈 없을 때 국민연금 급전 아시나요
- 6.'이번엔 놓치지마'…월 70만원 넣고 5천만원 타는 '이 통장'
- 7.실적 부진…머스크 '이 한마디'에 테슬라 날았다
- 8.월급 300만원 직장인, 국민연금 1440만원 더 받는 비결은?
- 9.'작년 137만명, 어쩔 수 없이 짐 쌌다'…남일 아니네
- 10.'1억? 우리는 1억에 4천 더'…저출산 영끌 대책 내놓은 이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