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애플 실적에 쏠린 눈…반등 기회인가, 하락세 부추길까?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1.31 06:48
수정2025.01.31 07:16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는 딥시크 후폭풍에 FOMC 결과, 빅테크 실적까지 여러 이벤트를 소화하면서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장 막판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도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요. 오늘(31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트럼프, 2월부터 캐나다·멕시코 25% 관세부과 재확인
- 뉴욕증시, 금리동결·빅테크 실적 소화하며 일제히 상승
- 美 국채금리 하락…10년물 4.53%·2년물 4.21%
- 국제유가,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우려 속 상승세
- 美 달러화 상승 반전…장 막판 급등 뒤 107.85
- 금 가격, 온스당 2800달러 돌파…사상 최고치 경신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2% 이상 급등 5천선 웃돌아
- 엔비디아, 딥시크 여파·美 추가제재 검토에 한때 3%↓
- 저비용 '딥시크'의 역습…챗GPT급 AI 모델 개발
- "中 기술 수준 예상보다 美에 앞서"…테크시장 대격변
- 구형칩 활용 '파괴적 혁신'…미중 AI패권 전쟁 가속화
- 딥시크 쇼크…AI 대장주 엔비디아, 사흘간 15% 폭락
- 메타·마이크로소프트·테슬라, 실적 희비에 주가도 엇갈려
- 메타, 4분기 호실적…AI 이용자 10억명 돌파 전망
- MS, 호실적에도 클라우드 성장 둔화에 주가 6% 급락
- 테슬라, 예상 밑돈 실적에도 '로보택시' 기대감에 강세
- 머스크 "6월 美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
- 사이버캡 양산, 예고대로 2026년 목표로 진행 중
- 애플 오늘 실적발표…알파벳 내달 4일·아마존 6일 예정
- 아마존, 28일 역대 최고가 경신 이후 이틀째 약보합
- 아메리칸항공, 군용 헬기와 충돌 사고로 1% 이상 하락
- UPS, 최대 고객 아마존과 거래량 대폭 축소에 급락
- 캐터필러, 기대 이하 매출 가이던스에 주가 3% 하락
- 美 작년 4분기 성장률 2.3%…둔화했지만 여전히 강해
- 3분기 성장률 3.1% 대비 하락…시장 예상치도 하회
- 2024년 연간 성장률 2.8%…전년비 0.1%p 하락
- 4분기 개인소비지출 4.2% 증가로 견조한 회복세 지속
- 4분기 근원 PCE 물가지수 2.5%…전분기대비 높아
- 고용도 안정적…지난주 실업수당 청구건수 20만7천건
- 美 경제 견조한 회복세, 연준 신중한 기조 이어갈 것
- "서두를 필요 없어"…트럼프 압박에도 금리동결한 연준
- 트럼프 관세·이민자 추방, 성장둔화·물가상승 이어질수도
- ECB, 올해 첫 통화정책회의서 금리 0.25%p 인하
- 예금금리 2.75%로…"디스인플레이션 순조로워"
Q. 애플이 오늘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합니다. 최근 중국 시장에서 아이폰 부진으로 애플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오늘 실적 발표가 반등의 기회가 될지, 아니면 하락세를 더 부추길지 궁금한데 어떻게 보십니까?
- 애플, 최근 중국 시장서 아이폰 판매 부진에 주가 약세
- 애플 향후 주가, 중국 시장 부진 탈출 여부가 관건
- 지난해 4분기 중국 시장 아이폰 판매량 18.2% 감소
- TD코웬, AI 교체 수요 덕에 애플 목표가 상향 조정
- 월가, 애플 투자의견 잇단 하향 조정…이달 들어 5번째
- 제프리스·모펫 네이선슨·루프캐피탈·DBS은행·오펜하이머
- 애플 긍정론 여전…애널리스트 51명 중 32명 '매수'
- 댄 아이브스 "애플 우려 과도하다"…목표주가 325달러
Q. 오늘 국내 증시는 설 연휴를 마치고 문을 엽니다. 연휴동안 중국 AI 딥시크부터 엔비디아 급락, 연준 금리동결까지 다양한 이벤트들이 쏟아졌는데요. 연휴 이후 국내 증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中 '딥시크'부터 '금리동결'까지…연휴 이후 코스피는?
- 명절 이후 변동성 확대 전망, 코스피 반등세 제동 우려
- 딥시크 쇼크 점차 완화…美, 대중 수출 추가 제한 검토
- 전 세계 딥시크 '쇼크'…저비용으로 비슷한 성능 구현
- 엔비디아, 27일 144달러에서 한때 120달러 무너져
- 美 AI 주도권 우려 VS 딥시크발 주가 변동 과도
- 씨티 "가성비 AI 환경 엔비디아 칩 판매 감소 야기"
- 바이든 행정부 추진한 각종 산업정책 뒤엎을 발언 쏟아져
- 러트닉, 청문회서 반도체보조금 질문에 "말할 수 없다"
- 재무장관 임명 확정된 스콧 베센트의 성향에도 관심 집중
- 코스피, 실적 발표 돌입한 빅테크들 성적표도 소화 필요
- 메타·MS, 예상치 상회하는 성적…테슬라는 전망치 하회
- 금리동결한 연준, 트럼프 대통령·파월 신경전 본격화
- 트럼프 "파월, 인플레로 만든 문제 중단 하는데 실패"
- "연준 은행규제 형편無…재무부가 규제 감축 주도할 것"
- 증권가, 2월 코스피 예상 밴드 2400~2700포인트
- "2월엔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조정의 끝 무렵일 것"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Q. 뉴욕증시는 딥시크 후폭풍에 FOMC 결과, 빅테크 실적까지 여러 이벤트를 소화하면서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장 막판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도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요. 오늘(31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트럼프, 2월부터 캐나다·멕시코 25% 관세부과 재확인
- 뉴욕증시, 금리동결·빅테크 실적 소화하며 일제히 상승
- 美 국채금리 하락…10년물 4.53%·2년물 4.21%
- 국제유가,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우려 속 상승세
- 美 달러화 상승 반전…장 막판 급등 뒤 107.85
- 금 가격, 온스당 2800달러 돌파…사상 최고치 경신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2% 이상 급등 5천선 웃돌아
- 엔비디아, 딥시크 여파·美 추가제재 검토에 한때 3%↓
- 저비용 '딥시크'의 역습…챗GPT급 AI 모델 개발
- "中 기술 수준 예상보다 美에 앞서"…테크시장 대격변
- 구형칩 활용 '파괴적 혁신'…미중 AI패권 전쟁 가속화
- 딥시크 쇼크…AI 대장주 엔비디아, 사흘간 15% 폭락
- 메타·마이크로소프트·테슬라, 실적 희비에 주가도 엇갈려
- 메타, 4분기 호실적…AI 이용자 10억명 돌파 전망
- MS, 호실적에도 클라우드 성장 둔화에 주가 6% 급락
- 테슬라, 예상 밑돈 실적에도 '로보택시' 기대감에 강세
- 머스크 "6월 美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
- 사이버캡 양산, 예고대로 2026년 목표로 진행 중
- 애플 오늘 실적발표…알파벳 내달 4일·아마존 6일 예정
- 아마존, 28일 역대 최고가 경신 이후 이틀째 약보합
- 아메리칸항공, 군용 헬기와 충돌 사고로 1% 이상 하락
- UPS, 최대 고객 아마존과 거래량 대폭 축소에 급락
- 캐터필러, 기대 이하 매출 가이던스에 주가 3% 하락
- 美 작년 4분기 성장률 2.3%…둔화했지만 여전히 강해
- 3분기 성장률 3.1% 대비 하락…시장 예상치도 하회
- 2024년 연간 성장률 2.8%…전년비 0.1%p 하락
- 4분기 개인소비지출 4.2% 증가로 견조한 회복세 지속
- 4분기 근원 PCE 물가지수 2.5%…전분기대비 높아
- 고용도 안정적…지난주 실업수당 청구건수 20만7천건
- 美 경제 견조한 회복세, 연준 신중한 기조 이어갈 것
- "서두를 필요 없어"…트럼프 압박에도 금리동결한 연준
- 트럼프 관세·이민자 추방, 성장둔화·물가상승 이어질수도
- ECB, 올해 첫 통화정책회의서 금리 0.25%p 인하
- 예금금리 2.75%로…"디스인플레이션 순조로워"
Q. 애플이 오늘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합니다. 최근 중국 시장에서 아이폰 부진으로 애플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오늘 실적 발표가 반등의 기회가 될지, 아니면 하락세를 더 부추길지 궁금한데 어떻게 보십니까?
- 애플, 최근 중국 시장서 아이폰 판매 부진에 주가 약세
- 애플 향후 주가, 중국 시장 부진 탈출 여부가 관건
- 지난해 4분기 중국 시장 아이폰 판매량 18.2% 감소
- TD코웬, AI 교체 수요 덕에 애플 목표가 상향 조정
- 월가, 애플 투자의견 잇단 하향 조정…이달 들어 5번째
- 제프리스·모펫 네이선슨·루프캐피탈·DBS은행·오펜하이머
- 애플 긍정론 여전…애널리스트 51명 중 32명 '매수'
- 댄 아이브스 "애플 우려 과도하다"…목표주가 325달러
Q. 오늘 국내 증시는 설 연휴를 마치고 문을 엽니다. 연휴동안 중국 AI 딥시크부터 엔비디아 급락, 연준 금리동결까지 다양한 이벤트들이 쏟아졌는데요. 연휴 이후 국내 증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中 '딥시크'부터 '금리동결'까지…연휴 이후 코스피는?
- 명절 이후 변동성 확대 전망, 코스피 반등세 제동 우려
- 딥시크 쇼크 점차 완화…美, 대중 수출 추가 제한 검토
- 전 세계 딥시크 '쇼크'…저비용으로 비슷한 성능 구현
- 엔비디아, 27일 144달러에서 한때 120달러 무너져
- 美 AI 주도권 우려 VS 딥시크발 주가 변동 과도
- 씨티 "가성비 AI 환경 엔비디아 칩 판매 감소 야기"
- 바이든 행정부 추진한 각종 산업정책 뒤엎을 발언 쏟아져
- 러트닉, 청문회서 반도체보조금 질문에 "말할 수 없다"
- 재무장관 임명 확정된 스콧 베센트의 성향에도 관심 집중
- 코스피, 실적 발표 돌입한 빅테크들 성적표도 소화 필요
- 메타·MS, 예상치 상회하는 성적…테슬라는 전망치 하회
- 금리동결한 연준, 트럼프 대통령·파월 신경전 본격화
- 트럼프 "파월, 인플레로 만든 문제 중단 하는데 실패"
- "연준 은행규제 형편無…재무부가 규제 감축 주도할 것"
- 증권가, 2월 코스피 예상 밴드 2400~2700포인트
- "2월엔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조정의 끝 무렵일 것"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이재용 보다 주식 재산 많다는 '이 사람'…재산 얼마?
- 3.집 있어도 은행서 돈 빌릴 수 있다…이 은행만 '아직'
- 4."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5.'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6.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7.'76·86·96년생은 깎아준다 왜?'...국민연금 보험료 차등인상 시끌
- 8.'남아도는 철판, 한국에 싸게 팔아먹자'…결국 결단
- 9.국민연금 '내는 돈' 13%로 올린다…'소득대체율' 진통
- 10.상품권 미끼로 이자 준다더니…억대 먹튀 피해 일파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