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 한채면 강북 5채 산다…아파트 양극화 역대급
SBS Biz 이민후
입력2025.01.30 09:37
수정2025.01.31 05:48
[서울 서초구 반포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서울 서초·강남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가격 평균은 25억원, 도봉구는 5억원으로 격차가 5배 벌어졌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지난해 9월 이후 주택거래가 뜸해진 가운데서도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초고가 아파트 거래 건수는 최대치를 기록했고, 실거래가도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오늘(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에서 제출받은 '2024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매매된 서울 서초구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는 25억1천800만원으로 서울 25개구 중 가장 높았습니다.
서초구 다음으로는 강남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가 24억8천300만원으로 2위를 차지했고, 용산이 22억5천700만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12월 거래된 아파트 신고 기간이 끝나는 이달 말 신고분까지 더하면 최종 수치는 일부 달라질 수 있으나 비슷한 흐름일 것으로 보입니다.
평균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넘는 서초·강남은 지난해 아파트값이 8월 정점을 찍고 비슷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초구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은 지난해 1월 21억3천600만원에서 8월 27억2천500만원까지 올랐습니다. 9∼11월 25억원대가 됐으나 12월 평균 실거래가는 다시 27억5천900만원으로 상승했습니다.
강남구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 역시 지난해 8월 26억9천300만원에서 9월 25억2천200만원으로 하락했다가 10월에 26억원대로 돌아왔습니다.
용산의 경우 지난해 9월 29억1천만원으로 높아졌다가 10월 26억6천만원, 11월 20억3천9000만원, 12월 20억7천300만원으로 하락했으나 여전히 20억원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초·강남·용산 다음으로 지난해 평균 실거래가가 높은 곳은 송파(16억7천500만원), 성동(14억1천700만원), 마포(12억9천100만원)입니다.
서울에서 평균 실거래가가 가장 낮은 곳은 도봉구로 5억5천400만원으로 가장 높은 서초구와 4.6배 차이가 납니다.
강북구(6억700만원), 노원구(6천1천만원), 금천구(6억2천100만원), 중랑구(6억2천800만원), 구로구(6억7천300만원) 등 서울 25개구 중 12개구의 평균 실거래가가 10억원 이하였습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지난해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몰리고, 강남 불패 심리가 작동하면서 강남권과 용산 아파트 가격은 상대적으로 덜 빠졌다"며 "자산과 소득 양극화와 지역 양극화를 유발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박 위원은 "강남권 고가 아파트 가격이 뛴 것은 코인, 해외주식 등 글로벌 금융자산이 유입된 측면도 있을 것"이라며 "부동산을 투자 자산이 아니라 재산을 저장하는 '저장 자산'으로 여기는 수요가 늘어나는 등 주택시장 흐름이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출금 막은 범죄계좌로 16억 송금"…은행 대응 도마 위
- 2.명절 기차표 매진이라더니…148만석 빈자리 황당
- 3.계약금만 4억~5억...로또 라는데 현금부자만 신나겠네
- 4.'이번엔 놓치지마'…월 70만원 넣고 5천만원 타는 '이 통장'
- 5.'월급 통장에 50% 더 꽂혔네'…연봉 50% 성과급 쏜 ‘이 회사’
- 6.내일까지 전국 최대 30㎝ 폭설…영하 강추위 온다
- 7.'자식보다 낫네'…집 있는 독신여성 나이 먹어 가입하는 이것
- 8.실적 부진…머스크 '이 한마디'에 테슬라 날았다
- 9.'영끌 감당 못하겠다'…눈물의 경매신청 12만건 육박
- 10.작년에 사놨던 금·비트코인 '대박'…부동산·주식은 '쪽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