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도 못 가는데…동네병원 최장 9일 휴진에 '비상'
SBS Biz 이정민
입력2025.01.17 17:51
수정2025.01.17 19:15

[앵커]
의정갈등이 시작된 지 1년이 되면서, 응급실 문턱이 상당히 높아졌죠. 위급한 증상이 아니면 동네의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인데요.
이런 가운데 설 명절을 전후로 최장 9일의 연휴 동안 문 닫는 의원들이 늘어날 것으로 우려됩니다.
이정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명절 병원 찾는 데 애를 먹었던 최 씨는, 다가오는 황금연휴에 걱정이 앞섭니다.
[최석원 / 서울 서대문구 : 제가 2년 전 추석쯤에 되게 아팠었는데 그때 (문 연) 병원이 없어서 큰 병원 찾아서 힘들게 다녔던 기억이 (있어요). 안 그래도 요즘 병원 그냥도 가기 어려운데…]
[이미경 / 경기 파주시 : 급체를 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 하는데, 365(일 문 여는) 병원이 바로 동네에 있어서… 아프면 거기로 가려고 해요.]
설 연휴가 최장 9일로 길어지면서 당초 쉴 계획이 없었던 동네의원들까지 병원 문을 닫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7일 임시공휴일이 지정되기 이전엔 설 연휴 문을 열겠다고 했던 의원들 가운데 일부가 연휴가 길어지면서 운영 계획을 변경하고 있다"며 "병의원들의 연휴 중 운영여부를 다시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형선 /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부 교수 : 우리나라는 민간 소유 의료기관이 90%를 넘는, 절대적으로 민간에 의존하는 거의 드문 나라 중에 하나예요. 가장 강한 인센티브가 수가 보상이기 때문에, 그걸(공휴일 근무를) 유도하려면 아무래도 금전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필요합니다).]
정부는 공휴일 진료에 대해 건강보험을 지원해 주는 수가 가산율을 현행 30%에서 연휴기간 50%로 높이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50% 수가를 적용했던 지난 추석에도 문을 연 병의원은 4%에 그쳐 설상가상 독감 대유행 속에 시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SBS Biz 이정민입니다.
의정갈등이 시작된 지 1년이 되면서, 응급실 문턱이 상당히 높아졌죠. 위급한 증상이 아니면 동네의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인데요.
이런 가운데 설 명절을 전후로 최장 9일의 연휴 동안 문 닫는 의원들이 늘어날 것으로 우려됩니다.
이정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명절 병원 찾는 데 애를 먹었던 최 씨는, 다가오는 황금연휴에 걱정이 앞섭니다.
[최석원 / 서울 서대문구 : 제가 2년 전 추석쯤에 되게 아팠었는데 그때 (문 연) 병원이 없어서 큰 병원 찾아서 힘들게 다녔던 기억이 (있어요). 안 그래도 요즘 병원 그냥도 가기 어려운데…]
[이미경 / 경기 파주시 : 급체를 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 하는데, 365(일 문 여는) 병원이 바로 동네에 있어서… 아프면 거기로 가려고 해요.]
설 연휴가 최장 9일로 길어지면서 당초 쉴 계획이 없었던 동네의원들까지 병원 문을 닫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7일 임시공휴일이 지정되기 이전엔 설 연휴 문을 열겠다고 했던 의원들 가운데 일부가 연휴가 길어지면서 운영 계획을 변경하고 있다"며 "병의원들의 연휴 중 운영여부를 다시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형선 /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부 교수 : 우리나라는 민간 소유 의료기관이 90%를 넘는, 절대적으로 민간에 의존하는 거의 드문 나라 중에 하나예요. 가장 강한 인센티브가 수가 보상이기 때문에, 그걸(공휴일 근무를) 유도하려면 아무래도 금전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필요합니다).]
정부는 공휴일 진료에 대해 건강보험을 지원해 주는 수가 가산율을 현행 30%에서 연휴기간 50%로 높이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50% 수가를 적용했던 지난 추석에도 문을 연 병의원은 4%에 그쳐 설상가상 독감 대유행 속에 시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SBS Biz 이정민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동네 금고 사라진다…새마을금고 줄폐점, 왜?
- 2.건보료 327억원 돌려 받으세요…3년 지나면 소멸
- 3.은행권, 18일부터 '벼랑끝' 소상공인 이자 깎아준다
- 4.[단독] '가격 인상' 지코바, 브라질산 닭고기 국내산으로 '적발'
- 5.[단독] 연 2.4%로 집 산다…청년주택드림대출 18일부터
- 6."한국에 쌀 사러 왔습니다"…'日 쌀값 얼마나 비싸길래'
- 7.암 보험금 설명 의무 없다던 생보사 '발칵'…왜?
- 8.1주택자 세금 부담 덜었다…올해도 세부담 완화
- 9.사고 났는데 나 몰라라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수주 빨간불
- 10.[단독] LG전자, 휴대폰 AS 서비스 접는다…모바일 사업 철수 마침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