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경기'보다 '환율' 택한 한은…왜?

SBS Biz 이한나
입력2025.01.16 11:06
수정2025.01.16 11:35

[앵커] 

이창용 한은 총재의 기자 간담회와 질의응답은 여기까지 보겠습니다. 

오늘(16일) 결정 관련해서 이한나 기자와 조금 더 살펴보겠습니다. 

[앵커] 

한은이 금리를 유지했는데요. 

브리핑 주요 내용부터 정리해 보죠. 

[기자] 

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3%로 유지한 배경에 대해 밝혔는데요. 

예상치 못한 정치적 리스크 확대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커지고 환율 변동성이 증대됐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향후 국내 정치 상황과 주요국 경제정책의 변화에 따라 경제전망 및 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대내외 여건 변화를 좀 더 점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입니다. 

여기에 미국 신정부의 경제정책 향방 및 연준의 금리인하 속도, 주요국의 정치 상황 등에 따른 성장 및 물가 전망의 불확실성이 증대된 점도 유지 배경으로 꼽혔습니다. 

[앵커] 

앞서 시장의 유지 예상에도 물가가 큰 영향을 미쳤죠? 

[기자] 

그렇습니다. 

앞서 금융투자협회 조사에 따르면 채권전문가 60%는 기준금리가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전히 높은 원·달러 환율 때문인데요. 

원·달러 환율은 계엄 선포 이후 급등해 여전히 1460원대 안팎에서 머물고 있는 상황입니다. 

환율 상승으로 수입품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물가가 오를 텐데, 한은의 정책 목표 1순위가 물가 안정인 만큼 성장보다는 우선 물가와 금융 안정 측면에서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본 겁니다. 

또 1.5% p로 벌어져있는 한미 양국 금리차도 고려사항인데요. 

만약 금리인하로 양국 금리차가 더 벌어지면 자금 유출과 환율 상승 우려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인하할 것이란 전망도 만만치 않았잖아요? 

[기자] 

앞서 금투협 조사에서 응답자의 40%는 금통위가 0.25% p를 인하하는 '베이비스텝'에 나설 것이라고 봤습니다.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자 수가 더 앞서긴 했지만, 이렇게 인하에 대한 예상은 직전 조사 대비 증가한 수치입니다. 

내수 경기 부양을 중시한 의견인데요. 

작년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12.3포인트 하락하면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고요. 

11월 수출 증가율은 1.4%로 4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이렇게 계엄과 탄핵 사태를 거치면서 위축된 소비와 투자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본 겁니다. 

[앵커] 

또 여기에 추경이 물가 자극을 하지 않을 거란 이야기가 있었는데, 인하 전망에 힘을 실어줬겠어요? 

[기자] 

한은은 경기 부양용 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따른 물가 상승 우려에 선을 긋기도 했습니다. 

한은은 "경기 둔화에 대응하는 정도의 추경 편성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은 적다고 평가한다"고 말했는데요. 

또 "최근 물가가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이 잠재 수준을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은은 특히 "정부가 농산물 수급 안정, 공공요금 인상 요인 최소화 등 물가 안정 대책을 추진 중인 점도 추경의 인플레이션 자극 효과를 제한하는 요인"이라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앵커] 

이번 유지 결정이 곧 있을 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에 앞섰는데, 영향을 받았겠어요? 

[기자] 

오는 28∼29일 미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가 열리는데요,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연내 인하 횟수를 줄였고, 이에 따라 최종 기준금리 전망도 일부 변경된 상황입니다. 

미 연준의 이런 금리 인하 속도 조절 분위기가 이번 금통위 결정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연준 결정에 영향을 미칠 지표, 어제 나왔잖아요? 

[기자] 

어제(15일) 밤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발표됐습니다. 

CPI는 미 연준이 생산자물가지수, PPI보다 더 중요시 여기는 인플레이션 지표인데요. 

12월 CPI는 예상치와 비슷하게 발표돼 인플레이션 재발 우려를 일시적으로나마 해소했고요. 때문에 일단 미 연준의 매파적 기조에 힘이 빠질 것으로 보입니다. 

연준의 선택에 영향을 줄 남은 변수는 또 있는데요.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인상 정책이 있습니다. 

[앵커] 

이한나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한나다른기사
'경기'보다 '환율' 택한 한은…왜?
국고채 금리, 금통위 하루 앞두고 일제 상승…3년물 2.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