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리인하 지연…대출 가산금리 추이 등 면밀 점검"
SBS Biz 오수영
입력2025.01.16 10:56
수정2025.01.16 12:11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리 인하 기대와 요구가 높은 상황에도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 기준금리 인하가 지연된 만큼 취약 부문에 면밀히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복현 원장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직후인 오늘(16일) 오전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현재 우리 경제가 정치적 불안정성 속에 미국 새 정부의 통상 정책 변화에 적극 대응하면서 소비심리 회복과 내수 진작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원장은 "가계와 기업이 종전 두 차례의 기준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대출금리의 전달 경로와 가산금리 추이 등을 면밀 점검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덧붙여 "연초 수립된 금융사 대출 운용 계획을 종합 점검해 금융권 자금이 중소기업 등 생산적 분야로 지원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도 했습니다.
가계대출이 안정적 수준에서 유지되도록 관리하면서 실수요자에게 필요한 자금이 원활히 공급되고 지방 경기 활성화에도 자금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세심히 챙겨서 민생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이 원장은 강조했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과 동시에 5조원 증액할 금융중개지원대출이 저신용 자영업자와 지방 중소기업 등에 적시 공급되도록 점검하자고 이 원장은 덧붙였습니다.
이복현 "급격한 환율 변동 대비…PF에 고착된 자금을 생산적 분야로"
이 원장은 또 "급격한 환율 변동도 감내할 수 있도록 외화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자본비율을 관리해 금융회사의 자금 공급 기능에 차질이 없도록 유의하라"고 관련 부서에 당부했습니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단기외화차입비중은 19.7%로, 1997년 외환위기(87%),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73%) 대비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이에 이 원장이 불필요한 불안감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하라고 지시한 겁니다.
마지막으로 이 원장은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고착된 자금이 생산적 분야로 흐를 수 있도록 부실 정리 실적이 미진한 금융회사에는 추가 충당금 적립과 현장점검을 하라고 말했습니다.
또 부실채권 경·공매가 더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매각자와 수요자간 정보 비대칭을 해소해 신속히 정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당부했습니다.

이복현 원장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직후인 오늘(16일) 오전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현재 우리 경제가 정치적 불안정성 속에 미국 새 정부의 통상 정책 변화에 적극 대응하면서 소비심리 회복과 내수 진작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원장은 "가계와 기업이 종전 두 차례의 기준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대출금리의 전달 경로와 가산금리 추이 등을 면밀 점검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덧붙여 "연초 수립된 금융사 대출 운용 계획을 종합 점검해 금융권 자금이 중소기업 등 생산적 분야로 지원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도 했습니다.
가계대출이 안정적 수준에서 유지되도록 관리하면서 실수요자에게 필요한 자금이 원활히 공급되고 지방 경기 활성화에도 자금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세심히 챙겨서 민생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이 원장은 강조했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과 동시에 5조원 증액할 금융중개지원대출이 저신용 자영업자와 지방 중소기업 등에 적시 공급되도록 점검하자고 이 원장은 덧붙였습니다.
이복현 "급격한 환율 변동 대비…PF에 고착된 자금을 생산적 분야로"
이 원장은 또 "급격한 환율 변동도 감내할 수 있도록 외화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자본비율을 관리해 금융회사의 자금 공급 기능에 차질이 없도록 유의하라"고 관련 부서에 당부했습니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단기외화차입비중은 19.7%로, 1997년 외환위기(87%),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73%) 대비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이에 이 원장이 불필요한 불안감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하라고 지시한 겁니다.
마지막으로 이 원장은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고착된 자금이 생산적 분야로 흐를 수 있도록 부실 정리 실적이 미진한 금융회사에는 추가 충당금 적립과 현장점검을 하라고 말했습니다.
또 부실채권 경·공매가 더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매각자와 수요자간 정보 비대칭을 해소해 신속히 정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당부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재용 보다 주식 재산 많다는 '이 사람'…재산 얼마?
- 2.집 있어도 은행서 돈 빌릴 수 있다…이 은행만 '아직'
- 3.퇴직금은 무조건 일시불?…세금 폭탄 이렇게 피한다고?
- 4.'76·86·96년생은 깎아준다 왜?'...국민연금 보험료 차등인상 시끌
- 5.월 300만원...필리핀 이모님 결국 강남 이모님 됐네
- 6.FIU, 두나무에 "업비트 영업 일부정지 3개월"
- 7.'남아도는 철판, 한국에 싸게 팔아먹자'…결국 결단
- 8.月 70만원씩 모으면 5천만원 준다고?…나도 가입할 수 있나?
- 9.'더 이상 못 버틴다'…뚜레쥬르도 결국
- 10.1조 투자한다던 BMW도 돌아섰다…전기차 급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