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국토부, 4X4 고속철도망 구축…전국 고속도로 자율車 시범운행

SBS Biz 류정현
입력2025.01.10 15:37
수정2025.01.13 16:01

[4X4 고속철도망. (자료=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가 지역 간 교통망 확충과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대책을 내놨습니다.

국토부는 오늘(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민의 편안한 일상과 보다 나은 내일'을 주제로 한 2025년 업무계획에서 교통과 모빌리티 산업에 관한 주요 추진 과제를 발표했습니다.

고속철도망으로 전국 2시간 생활권…K-패스 혜택 강화
우선 국토부는 전국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4X4 고속철도망' 구축에 속도를 냅니다.

경전선축 보성∼임성리 개통, 중부내륙선축 수서∼광주 및 김천~거제 착공 등을 모두 하반기 안에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렇게 되면 전국 2시간 생활권이 실현되고 전 국민의 90%에게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국토부는 보고 있습니다.

간선 도로망도 확충합니다.

포항∼영덕 및 새만금∼전주 등 고속도로 2개(86.0㎞)와 충청내륙 및 태백-미로 등 국도 18개(145.6㎞)를 연내 개통합니다. 부산신항∼김해 및 계양∼강화 등 고속도로 2개(42.7㎞)와 남양주∼춘천 및 고창 흥덕-부안 행안 등 국도 16개(145.2㎞) 착공도 시작합니다.

또 하반기 가덕도신공항 착공, 상반기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설계 착수 등 기존 신공항 사업도 차질없이 해나가겠다는 방침입니다.

취약계층을 위한 교통 서비스 대책도 나왔습니다.

KTX와 일반열차에 임산부 지정 좌석을 올해 하반기까지 도입할 예정입니다. 해당 좌석은 임산부가 좌석을 예매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 이용자가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 산간 지역 등 물류사각지대에는 한 명의 택배 기사가 여러 택배회사의 물품을 동시에 배송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도서지역의 택배이용 편의를 위해 드론 택배도 지속 확대합니다.

K-패스는 다자녀 할인을 신규 도입해 2자녀는 30%, 3자녀 이상은 50% 환급하기로 했습니다. 적용 지역도 기존 189개에서 210개 지자체로 늘립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막기 위해 항공교통 서비스 평가를 연 2회 실시하고, 항공소비자 보호 방안 2.0도 상반기 중 마련할 방침입니다.

또 앞으로 공항에서도 안면인식, 손정맥 등 생체인식 기반의 스마트 출국 서비스를 기존 22개소에서 188개소로 획기적으로 늘립니다. 집에서 해외 숙소로 수하물 배송을 지원하는 '수하물 홈투홈 서비스'도 올해 10월부터 시행됩니다.

또 포항-영덕 고속도로의 청하터널(5.4㎞)에 터널 내 GPS를 최초로 설치합니다. 이 구간에서는 터널 안이더라도 내비게이션을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전국 고속도로 자율주행차 시범운행…UAM 수도권 날아다닌다

미래 모빌리티 기술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우선 최고 100㎞/h의 고속 자율주행과 장거리 자율주행 실증 지원하기 위해 전국의 고속도로를 자율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합니다.

고속도로 시범운행지구는 자율주행이 용이하지 않은 IC 구간 등 일부를 제외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지정하고 주요 물류 거점을 오가는 화물차들을 통해 자율주행 실증을 본격화합니다.

또 하반기에 서울시 상암동 일대에서 국내 최초로 완전 무인 자율주행 시범운행을 개시합니다. 탑승자 없이 50㎞/h 이내의 속도로 상암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순환구간(3.2㎞)을 달리게 됩니다.

농어촌이나 새벽·심야시간 등 대중교통이 부족해 이동에 불편을 겪는 교통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운행지구를 확대할 방침입니다.

드론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해 기체의 핵심부품인 모터·배터리 등을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도록 ‘드론 제조 생태계 조성방안’을 마련합니다.

또 도심항공교통(UAM)은 글로벌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해 연내 아라뱃길 등 수도권 도심 실증을 본격화할 방침입니다. 민간의 사업 참여 유인을 높이기 위해 교통·관광·응급의료 등 상용화 모델을 다각화하고 2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준비를 지원합니다.
 
이외에도 인천국제공항의 허브 기능 강화, 국내 건설사 해외 수주 전략 개발 등 주요 산업 체질 개선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류정현다른기사
'넘사벽 집값에 서울 대탈출'...어디로 많이 갔을까?
갭투자 허용에 강남 아파트 순식간에 40억…오세훈 책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