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정부, 국내 항공사에 '로컬라이저 둔덕' 설치된 공항 특별 교육

SBS Biz 류정현
입력2025.01.09 09:49
수정2025.01.09 10:06

[행정안전부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0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오늘(9일) 제주항공 참사와 관련해 "모든 항공사를 대상으로 둔덕 형태의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가 설치된 공항에 대해 특별 교육을 실시하고, 사고 기종을 보유한 6개 항공사에 대한 특별 안전 점검도 10일까지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언급하고 "국토부는 지금까지 수집한 잔해 등을 토대로 잔해분포도를 작성 중이며, 비행기록장치(FDR)에 대한 수리 방법 및 분석 과정을 협의하는 등 사고원인 조사를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대본에 따르면 복지부는 유가족과 피해자의 보험료 경감을 위한 기준인 '건강보험료 경감 대상자 고시'를 개정해 이달부터 6개월간 보험료를 경감하고, 10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한 긴급 생계비를 지급합니다.

경찰은 현재까지 소유자가 확인되지 않은 유류품 825점에 대해 10일까지 유가족 확인 후 반환할 예정입니다.

참사 현장에서는 전날 기준 1천219점의 유류품이 수거됐고, 이중 소유자가 확인된 394점 중 354점은 유가족에게 전달됐습니다.



경찰은 희생자나 유가족에 대한 유언비어, 모욕성 게시글 등 163건에 대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8일 기준 피의자 2명을 검거했고, 8명의 신원을 특정했습니다. 압수영장 집행 48건, 신청 81건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정부 통합지원센터를 통해 971건의 현장 민원이 처리됐습니다.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379건의 심리 지원도 이뤄졌습니다.

희생자 장례 후 무안공항으로 복귀하는 유가족을 위해 공항 내 쉼터를 재정비했고, 한파 등에 대비해 목포대 기숙사 등 숙박시설도 확보했습니다.

이 본부장은 "어제 13개 공항의 항행안전시설 특별점검을 완료했다"며 "점검 결과를 면밀히 분석한 후 필요한 부분을 즉시 개선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정부는 국민께서 안심하고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철저한 원인조사와 함께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류정현다른기사
대명소노, 티웨이항공 경영권 확보 본격화…안건상정·주주명부 가처분 제기
고려아연, 지난해 당기순익 4천562억원…1년 전보다 22%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