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요새가 된 관저…3박4일 작전부터 특공대 헬기투입까지 거론

SBS Biz 김종윤
입력2025.01.07 16:56
수정2025.01.07 17:20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유효기간 만료를 하루 앞둔 5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 출입문에 철조망이 설치되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기간 연장에 나서는 등 2차 체포 시도를 추진하는 가운데 한남동 대통령 관저는 '체포 저지'를 위해 요새화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3일 첫 체포 시도가 무산된 뒤 관저 입구에는 철조망이 새롭게 설치됐는데, 당시 관저로 진입한 공수처 검사와 경찰 등이 대통령경호처가 주축이 된 '저지선'을 우회해 옆쪽 산길로 올라갔는데 이를 막기 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관저 앞에는 '차벽'도 추가로 늘어섰다. 관저 정문에 1대를 배치하고, 문 안쪽으로도 버스 3대 이상을 가로·세로로 주차해 강제 진입을 가로 막고 있습니다.

이처럼 두터운 방어벽이 세워지는 상황에서 윤 대통령 체포에 한차례 실패한 공조본이 어떻게 2차 영장 집행에 나설지 주목됩니다.

경찰 안팎에서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민관기 전 전국경찰직장협의회 위원장은 7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3박 4일간의 체포 작전을 제안했습니다.

민 전 위원장은 "시간을 가져가며 10명, 20명씩 현행범으로 체포하고 (경호처의 저지선을) 무너지게 만드는 방법도 있을 것"이라며 "경호처 직원이 300명 정도 동원된다니, 900명 정도라면 24시간 정도 지나 대열이 흩어질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했습니다
.
그는 "1차 저지선 쪽에 형사들이 대치하는 상황이 되면 경찰특공대가 아예 헬기 등으로 3차 저지선 위쪽으로 들어가는 방법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총경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이지은 마포갑 지역위원장은 전날 SNS에서 관저 내 33군사경찰경호대, 55경비단 등 군과 경찰을 모두 복귀시킨 뒤 경찰특공대와 기동대를 투입하는 작전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특수 차량으로 내부 차벽을 제거한 뒤 특공대 장갑차 2∼3대로 나머지 차벽과 철조망을 밀고 기동대 버스가 줄줄이 들어가면 된다"며 "스크럼을 짠 경호관을 뜯어 무전기·무기를 제거하고 기동대 버스에 탑승시켜 각 경찰서 유치장으로 분리 호송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경찰 내부에선 단순한 체포 성공보다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한 현직 경찰은 "기동대 대신 형사 위주로 테이저건과 수갑, 삼단봉을 지참하고 방탄조끼 차림으로 투입해야 한다. 차벽은 특수차량 대신 사다리를 갖고 가 넘어야 한다"며 "경호원 1명을 끌어내는데 4∼6명이 필요하다. 최소 경호처 인력의 2배를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동국대 이윤호 경찰행정학부 교수는 체포영장 집행 시도를 뒤로 미루는 방법을 제안했다. 충돌을 감수하면 체포 자체에는 성공할 수 있겠지만, 자칫 여론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교수는 "어차피 핵심은 탄핵 인용"이라며 "헌법재판소에서 결정을 내린 뒤 체포해 수사한다면 경호처는 지금처럼 강력히 저항할 명분까지는 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종윤다른기사
'빈살만 승부수' 네옴시티에 AI 데이터센터...현지 기업과 7조원대 계약
MSCI 한국지수서 롯데케미칼 등 11개사 무더기 편출…편입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