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생존 위한 빅딜…독일까 약일까

SBS Biz 이민후
입력2024.12.24 17:49
수정2024.12.24 18:33

[앵커] 

기술적 차별성이 크지 않고 세계적인 공급과잉에 타격을 받는 석유화학 산업에 정부가 기업의 합작법인 설립, M&A 등 '빅딜'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빅딜'을 기업의 자율에 맡기면서 실익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이민후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석유화학 산업분야에서 시장 자율적인 구조조정이라는 원칙은 지키되 '빅딜'의 모양새가 나오도록 후방에서 제도적 뒷받침에 나서겠다는 구상을 내놨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석유화학의 쌀'인 에틸렌 생산을 통해 성장해 왔으나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가격 경쟁력을 잃었습니다. 

지난해 기준 중국의 에틸렌 생산 능력은 약 5천274만 톤으로, 한국의 4배 수준입니다. 

정부는 정책금융 3조 원과 지분 매입 규제 유예기간을 5년으로 늘리면서 기업 간의 '빅딜'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유승훈 / 서울과기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 : 대폭적인 산업 구조 개편과 관련된 빅딜이 필요한 상황이고 필요한 거는 사실 자금 지원이거든요. 정부의 일관된 정책 방향 하에서 금융기관까지 참여해서 빅딜을 이루어내면서 좀 덩치를 키우고 일부는 좀 문을 닫고 이런 식의 조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일본은 한국과 대만의 공세에 30년 전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단행했는데 기업 간 통폐합을 통해 내수를 위한 최소한의 설비만 남겨둔 채 교통정리에 성공한 바 있습니다. 

다만, 과거 반도체 빅딜이나 삼성-대우 자동차 빅딜등 정부 주도의 '빅딜'이 실패한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황용식 /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 금융사들 인수합병으로 부실 은행들이 좀 많이 양산됐던 것도 있었고 그래서 정부의 최소한의 개입이라는 거는 자본시장의 전체적인 원칙일 수 있기 때문에요.] 

석유화학 업계가 자발적인 '빅딜'에 나서더라도 금호아시아나그룹의 대우건설 인수 사례처럼 그룹 유동성의 악화를 부채질할 수 있다는 평가도 제기됩니다. 

SBS Biz 이민후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민후다른기사
생존 위한 빅딜…독일까 약일까
카카오 정신아, 안산 데이터센터 찾아 연말 서비스 안정성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