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예상 부합한 美 물가…트럼프 관세, 인플레로 이어질까
SBS Biz 김종윤
입력2024.11.28 06:56
수정2024.11.28 07:16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는 추수감사절 휴장을 하루 앞두고 거래량이 대폭 줄어든 가운데 주요 지표들을 소화하면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오늘(28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일제히 하락…추수감사절 휴장 앞두고 거래 한산
- 휴장으로 경제지표 줄줄이 발표…12월 금리 결정에 촉각
- 다우, 장중 사상 첫 4만5천선 돌파…이후 하락 전환
- 美 국채금리·달러화 하락세…"트럼프 거래 되돌림 지속"
- 달러인덱스 106선 초반…달러/엔 환율 1% 이상 급락
- 러 루블화 추락…美 달러 대비 가치 32개월만 최저치
- 美, 러시아 가스프롬은행 제재 명단에 추가…루블화 약세
- 유가 강보합…천연가스 7.9% 급락 올해 '최악의 날'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1만3천명…직전주보다 2천명↓
- 美 3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 2.8%…속보치와 동일
- 美 10월 PCE 전월비 0.2%·전년비 2.3% 상승
- 예상 부합한 PCE 물가, 둔화세는 주춤…9월 2.1%
- 근원 PCE 물가 전년대비 2.8%↑…6개월 만에 최고
- PCE 물가, 美 거주자들 상품·서비스 지불 가격 측정
- 근원 PCE 상승률 7~9월 2.7% 머물다 다시 상승
- 물가 관련 파월 "때론 울퉁불퉁한 길…지속 둔화할 것"
- 델·휴렛 팩커드 3분기 실적 부진…PC 시장 둔화 시사
- 델, 4분기 실적 '기대 이하' 전망…주가 12% 급락
- 휴렛 팩커드, 예상 밑돈 실적 여파로 장중 13% 급락
-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 밀렸던 코인베이스 등 관련주 반등
- "트럼프 관세 정책, 엔비디아·테슬라에 불리할 것"
- '관세 전쟁' 이끌 美 무역대표부 대표에 그리어 지명
- USTR, 美 무역정책 수립·불공정 행위 대응 등 총괄
- 그리어, 트럼프 집권 1기 USTR 대표 비서실장 역임
- 국제통상법 전문 변호사로 한미 FTA 재개정 등 관여
- "관세가 트럼프 2기 핵심 경제 의제가 될 것" 분석
- 외교 소식통 "그리어의 자녀가 K-팝의 열혈 팬"
- 백악관 '경제 사령탑' 국가경제위원장에 케빈 해셋 임명
Q.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예상 범위 안에서 움직이면서 안도하는 모습인데요. 앞으로 최대 변수는 트럼프가 계획한 관세 폭탄입니다. 인플레를 자극할 것이다, 우려가 큰데 어떻게 보십니까?
- 관세 인상은 수입물가 상승→비용 상승→가격 인상 야기
- 관건은 물가 '변화율'…인플레 압력 맞으나 일시적 영향
- 상대국 보복관세 대응 시 성장 둔화→디플레 압력 반전
- 트럼프 관세 공약 실현 가능성에 주목…"협상의 도구"
- 대중 수입품목 아이폰 등 제조품…소비자에 직접적인 영향
- 민주당이 정권 빼앗긴 가장 큰 이유는 '인플레이션'때문
- 관세는 무역적자 줄이기 위한 협상의 도구로 활용 가능성
- 트럼프 공약 중 인플레 최대 위험은 이민자 대량 추방
- 2021년 이후 美 노동력 증가의 대부분은 이민자 영향
- 이민자, 美 노동력 부족 해결에 기인·인플레 안정 도와
- 美 불법이민자 약 1300만명 추정…750만명이 노동자
- 이민자 100만명 추방 시 구인율 0.4~0.5%p↑
- 2~300만명 노동자만 추방해도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Q. 코스피는 트럼프 우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장중 크게 흔들렸는데요. 가까스로 2500선은 지켜냈습니다. 트럼프에 흔들리는 코스피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코스피, 트럼프 우려에 2500선 '위태'…대응 전략은
- 코스피 2500~2520선 등락…한때 2500선 붕괴
- 유가증권시장 전체 거래대금 약 8조4천억원으로 저조
- "반도체 보조금 재검토"…삼성·하이닉스 3~4% 하락
- 라마스와미 "낭비적 보조금 빠르게 사용…재검토 권고"
- 삼성·SK 아직 못 받았는데…최종 계약 앞두고 협상 중
-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우려에 현대차·기아도 '불똥'
- 트럼프-김정은 만남 기대…남북경제협력 관련주 강세
- 12월 밸류업 리밸런싱+연말 배당 기대감에 금융주 강세
- 코스피 부진 속 투자 대안 통신·금융 등 배당주 관심
- 매크로 불확실성 고조, 미리 배당주 준비하는 수요 늘어
- 코스피200 올해 현금 배당 컨센서스보다 3.7% 증가
- 통신·금융·고배당 예상 업종 주목…정책 모멘텀도 남아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Q. 뉴욕증시는 추수감사절 휴장을 하루 앞두고 거래량이 대폭 줄어든 가운데 주요 지표들을 소화하면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오늘(28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일제히 하락…추수감사절 휴장 앞두고 거래 한산
- 휴장으로 경제지표 줄줄이 발표…12월 금리 결정에 촉각
- 다우, 장중 사상 첫 4만5천선 돌파…이후 하락 전환
- 美 국채금리·달러화 하락세…"트럼프 거래 되돌림 지속"
- 달러인덱스 106선 초반…달러/엔 환율 1% 이상 급락
- 러 루블화 추락…美 달러 대비 가치 32개월만 최저치
- 美, 러시아 가스프롬은행 제재 명단에 추가…루블화 약세
- 유가 강보합…천연가스 7.9% 급락 올해 '최악의 날'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1만3천명…직전주보다 2천명↓
- 美 3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 2.8%…속보치와 동일
- 美 10월 PCE 전월비 0.2%·전년비 2.3% 상승
- 예상 부합한 PCE 물가, 둔화세는 주춤…9월 2.1%
- 근원 PCE 물가 전년대비 2.8%↑…6개월 만에 최고
- PCE 물가, 美 거주자들 상품·서비스 지불 가격 측정
- 근원 PCE 상승률 7~9월 2.7% 머물다 다시 상승
- 물가 관련 파월 "때론 울퉁불퉁한 길…지속 둔화할 것"
- 델·휴렛 팩커드 3분기 실적 부진…PC 시장 둔화 시사
- 델, 4분기 실적 '기대 이하' 전망…주가 12% 급락
- 휴렛 팩커드, 예상 밑돈 실적 여파로 장중 13% 급락
-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 밀렸던 코인베이스 등 관련주 반등
- "트럼프 관세 정책, 엔비디아·테슬라에 불리할 것"
- '관세 전쟁' 이끌 美 무역대표부 대표에 그리어 지명
- USTR, 美 무역정책 수립·불공정 행위 대응 등 총괄
- 그리어, 트럼프 집권 1기 USTR 대표 비서실장 역임
- 국제통상법 전문 변호사로 한미 FTA 재개정 등 관여
- "관세가 트럼프 2기 핵심 경제 의제가 될 것" 분석
- 외교 소식통 "그리어의 자녀가 K-팝의 열혈 팬"
- 백악관 '경제 사령탑' 국가경제위원장에 케빈 해셋 임명
Q.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예상 범위 안에서 움직이면서 안도하는 모습인데요. 앞으로 최대 변수는 트럼프가 계획한 관세 폭탄입니다. 인플레를 자극할 것이다, 우려가 큰데 어떻게 보십니까?
- 관세 인상은 수입물가 상승→비용 상승→가격 인상 야기
- 관건은 물가 '변화율'…인플레 압력 맞으나 일시적 영향
- 상대국 보복관세 대응 시 성장 둔화→디플레 압력 반전
- 트럼프 관세 공약 실현 가능성에 주목…"협상의 도구"
- 대중 수입품목 아이폰 등 제조품…소비자에 직접적인 영향
- 민주당이 정권 빼앗긴 가장 큰 이유는 '인플레이션'때문
- 관세는 무역적자 줄이기 위한 협상의 도구로 활용 가능성
- 트럼프 공약 중 인플레 최대 위험은 이민자 대량 추방
- 2021년 이후 美 노동력 증가의 대부분은 이민자 영향
- 이민자, 美 노동력 부족 해결에 기인·인플레 안정 도와
- 美 불법이민자 약 1300만명 추정…750만명이 노동자
- 이민자 100만명 추방 시 구인율 0.4~0.5%p↑
- 2~300만명 노동자만 추방해도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Q. 코스피는 트럼프 우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장중 크게 흔들렸는데요. 가까스로 2500선은 지켜냈습니다. 트럼프에 흔들리는 코스피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코스피, 트럼프 우려에 2500선 '위태'…대응 전략은
- 코스피 2500~2520선 등락…한때 2500선 붕괴
- 유가증권시장 전체 거래대금 약 8조4천억원으로 저조
- "반도체 보조금 재검토"…삼성·하이닉스 3~4% 하락
- 라마스와미 "낭비적 보조금 빠르게 사용…재검토 권고"
- 삼성·SK 아직 못 받았는데…최종 계약 앞두고 협상 중
-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우려에 현대차·기아도 '불똥'
- 트럼프-김정은 만남 기대…남북경제협력 관련주 강세
- 12월 밸류업 리밸런싱+연말 배당 기대감에 금융주 강세
- 코스피 부진 속 투자 대안 통신·금융 등 배당주 관심
- 매크로 불확실성 고조, 미리 배당주 준비하는 수요 늘어
- 코스피200 올해 현금 배당 컨센서스보다 3.7% 증가
- 통신·금융·고배당 예상 업종 주목…정책 모멘텀도 남아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러니 해외 가지'…강원 펜션 1박에 140만원 바가지
- 2.현금 12억 없으면 '그림의 떡'…"현금부자만 신났다"
- 3.'신의 커피'라더니 '1㎏에 4천200만원'…무슨 커피지?
- 4.'일 안하면 생활이 안되는데'…일하는 어르신 1000만명 시대
- 5.연봉이 아니라 월급이 4800만원?…SK하이닉스 월급 깜짝
- 6.쥐꼬리 국민연금 한숨...'이거' 일찍 가입하면 1500만원 더 번다?
- 7.[단독] 교통범칙금 30년 만에 인상?…도로공사 연구용역 착수
- 8.月 745만원 벌고도 기초연금 따박따박…'꼬박 꼬박 국민연금 낸 우린 뭔가?'
- 9.민생쿠폰 2차 지급 누가 받나…내달 10일께 윤곽
- 10."어머님 댁에 괜히 사드렸나봐?"…청소는 커녕 사고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