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달러 앞둔 비트코인 "일본은 최대 55% 세금 떼가는데" 우리는 과세 논란
SBS Biz 황인표
입력2024.11.22 17:51
수정2024.11.23 15:04

[앵커]
가상자산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우리 돈 1억 4천만 원을 앞두고 있습니다.
열기만큼 가상자산 과세도 논란이 되는데요.
황인표 기자가 논란에 대해 짚어봤습니다.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연이틀 "가상자산 과세를 2년 유예해야 한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4년 전 입법 후 두 번이나 유예됐으니 이제 과세를 할 때가 됐다"라고 맞섰습니다.
시민들 의견도 엇갈립니다.
[이승창 / 서울 동작구 : 다른 사람들이 똑같이 일해도 (세금) 걷는 건 똑같으니까 비트코인도 똑같이 (세금) 걷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김송찬 / 서울 관악구 : 좀 더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차원에서 적은 금액에 대해선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것이, 젊은 사람들한테는 조금 더 좋을 것 같아요.]
그렇다면 다른 나라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일본의 경우 최대 55%를 과세하고 있고 가상자산 거래가 제일 활발한 미국도 최대 37%의 세금을 매깁니다.
주요국 중 아직 과세하지 않는 나라는 싱가포르와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과세 대상자 규모도 논란거리입니다.
국내 투자자 약 800만 명 중 1억 원 이상 가상자산 보유자는 10만 명으로 1.3%에 불과합니다.
어차피 대다수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데 과세를 미루면 이들 1%의 자산가만 이득을 본다는 겁니다.
반면 소액 투자자라도 가격이 크게 올라 나중에 세금을 낼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이번에 과세를 2년 미루면 대선 때문에 계속 과세를 못할 거란 전망도 있습니다.
[황석진 / 동국대 국제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대선이 오면 선거 쪽으로 많이 관심이 쏠리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유예든 이런 부분이 다시 또 정립이 될지 미지수인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한 비공개회의에서 "과세가 가능하겠냐?"며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이 대표가 금투세 폐지에 전격 합의한 전례처럼 가상자산 과세도 미룰 거란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
SBS Biz 황인표입니다.
가상자산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우리 돈 1억 4천만 원을 앞두고 있습니다.
열기만큼 가상자산 과세도 논란이 되는데요.
황인표 기자가 논란에 대해 짚어봤습니다.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연이틀 "가상자산 과세를 2년 유예해야 한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4년 전 입법 후 두 번이나 유예됐으니 이제 과세를 할 때가 됐다"라고 맞섰습니다.
시민들 의견도 엇갈립니다.
[이승창 / 서울 동작구 : 다른 사람들이 똑같이 일해도 (세금) 걷는 건 똑같으니까 비트코인도 똑같이 (세금) 걷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김송찬 / 서울 관악구 : 좀 더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차원에서 적은 금액에 대해선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것이, 젊은 사람들한테는 조금 더 좋을 것 같아요.]
그렇다면 다른 나라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일본의 경우 최대 55%를 과세하고 있고 가상자산 거래가 제일 활발한 미국도 최대 37%의 세금을 매깁니다.
주요국 중 아직 과세하지 않는 나라는 싱가포르와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과세 대상자 규모도 논란거리입니다.
국내 투자자 약 800만 명 중 1억 원 이상 가상자산 보유자는 10만 명으로 1.3%에 불과합니다.
어차피 대다수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데 과세를 미루면 이들 1%의 자산가만 이득을 본다는 겁니다.
반면 소액 투자자라도 가격이 크게 올라 나중에 세금을 낼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이번에 과세를 2년 미루면 대선 때문에 계속 과세를 못할 거란 전망도 있습니다.
[황석진 / 동국대 국제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대선이 오면 선거 쪽으로 많이 관심이 쏠리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유예든 이런 부분이 다시 또 정립이 될지 미지수인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한 비공개회의에서 "과세가 가능하겠냐?"며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이 대표가 금투세 폐지에 전격 합의한 전례처럼 가상자산 과세도 미룰 거란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
SBS Biz 황인표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롯데리아 새우버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 2.알리·테무·쉬인 '싸다고 청바지 사줬는데, 애 잡겠네'
- 3.복권 1200억짜리 당첨됐는데, 한 푼도 못 받는다?
- 4.[단독] 근로장려금 대수술 시동…'돈'보다 '일하게' 한다
- 5.맥주·라면·우유 미리 사두세요…내일부터 가격 오릅니다
- 6.'오늘 정산' 물 건너갔다…발란, 또 시간 끌기?
- 7.'가랑비가 도왔다'…경북 산불 진화
- 8.하루 앞둔 공매도 재개…타깃 가능성 종목은?
- 9.퇴직연금 수익률 처참, 수수료 분통…차라리 국민연금에 맡겨라?
- 10.'이 회사도 억대 연봉?'…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