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미허용 '초고위험 ETF' 해외 매수 증가세…"제도 공백 탓"
SBS Biz 오정인
입력2024.11.07 06:54
수정2024.11.07 07:01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에선 출시가 금지된 초고위험 상장지수펀드(ETF)를 미국 등 해외시장에서 사 모으는 국내 투자자들이 계속 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이같은 ETF는 개인이 감당하기 버거울 정도로 변동성이 큰 상품이지만, 해외 상장 종목이라는 제도적 맹점 때문에 지금껏 투자에 아무런 제약이 없었습니다.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7일 김한수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의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가 많이 보유한 50개 해외 종목의 총 보관액 중 미국산 초고위험 ETF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4분기에 0%였지만 이후 증가를 거듭, 2022년 3분기에 49.7%로 정점을 찍었고 올해 상반기에도 10%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초고위험 ETF의 보관액 비중은 올해 2분기 기준 17.2%고, 액수로는 8억4천200만달러(약 1조1천751억원)에 달합니다.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요 해외 주식의 잔고 중 2할에 가까운 물량이 국내에서는 애초 시판조차 안 되는 초고위험 ETF라는 이야기입니다.
김 연구위원이 집계한 초고위험 ETF는 '3배 레버리지' '단일종목 2배 레버리지' '비트코인 관련 ETF' 등 3개 유형의 상품입니다.
레버리지는 파생상품 등 기법을 활용해 펀드의 변동폭을 기초자산의 2~3배로 만들었다는 뜻입니다.
국내 현행 법규에서는 레버리지 배율이 지나치게 높은 ETF나, 원래 변동성이 큰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기초로 한 ETF의 출시가 금지돼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등 해외 증시에 상장된 초고위험 ETF는 해당 국가 법에 따라 허용된 상품으로 우리나라 당국의 규제 바깥에 있어 국내 투자자도 얼마든지 매수할 수 있습니다.
김 연구위원은 특히 국내에서 레버리지 펀드에 대한 소비자 보호 규제가 강화된 2020년 하반기 이후 미국산 초고위험 ETF의 비중이 부쩍 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해 7월 우리 금융당국은 레버리지 ETF 등에 투자하려면 예탁금 1천만원을 내고 사전 온라인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게 했습니다.
이 때문에 이런 제약이 없고 레버리지 강도는 훨씬 큰 미국산 ETF로 투자자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입니다.
실제 미국 초고위험 ETF의 보관액 비중은 2020년 4분기에는 0%였지만 이후 분기마다 '8%→2%→11%→12%→30%' 식으로 가파른 우상향 추세를 보였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