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정치인 통화 음성까지 해킹…트럼프 캠프도 피해
SBS Biz 김종윤
입력2024.10.28 09:34
수정2024.10.28 09:34
중국 해커들이 일부 미국 정치권 인사들의 전화 통화를 녹음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중국 정부와 연계된 해커그룹인 '솔트 타이푼' 이 미국을 상대로 대규모 해킹 공작을 벌였습니다.
수개월간에 걸친 중국 해커들의 공격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캠프에 소속된 한 고위급 인사를 포함해 정계 인사들의 전화통화내용과 문자가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해커들을 버라이즌과 AT&T 등 미국 통신사를 비롯해 루멘 테크놀로지 등 통신 네트워크사의 자체 시스템을 이용해 미국 정계 인사들의 통화 내용을 녹음한 것으로 보입니다.
미연방수사국(FBI) 등 각 수사기관이 영장을 제시할 경우 수사 대상을 감청할 수 있도록 하는 미국 통신사의 내부 시스템이 해커들에게 뚫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 중국 해커들은 척 슈머 민주 당 상원 원내대표의 보좌진과 바이든 행정부 고위인사의 전화 통화에 대한 감청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당국은 정계 인사와 미국 회사 등 중국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수십 개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정확한 피해 상황을 파악 중이기 때문에 피해 규모가 대폭 확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앞서 당국은 중국 해커들이 트럼프 전 대통령과 러닝메이트인 J.D. 밴스 상원의원을 비롯해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후보 측근의 휴대전화에 대한 해킹을 시도했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도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전해졌는데, 국토안보부 산하 민관조직인 사이버안전점검위원회(CSRB)의 조사와는 별개로 이번 달 초 정부 내 유관 조직이 참여하는 긴급조사팀을 발족했습니다.
국토안보부도 조만간 이번 사태에 대한 CSRB 차원의 조사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는데, CSRB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2022년 출범시킨 조직으로, 정부나 기업, 중요 인프라의 기능에 영 향을 미치는 사이버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원인을 조사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내 계좌가 보이스피싱에?..."사전 차단 하세요" [2025 금감원]
- 2.추석 땐 최장 10일 쉰다?…비행기표 끊으려다 '화들짝'
- 3.'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4.보면 무조건 사…편의점에서 사라진 '불닭'
- 5."'어르신 운전중' 표지 붙였더니, 어떤 변화가?
- 6.성과급 1500% 전국민 부러워한 이 회사, 자사주 30주 더 준다
- 7.美 배당주로 노후준비 미당족 '날벼락'…분노 커지자 결국
- 8.입주 앞두고 이런 날벼락…GS건설 '열쇠 못 준다 왜?'
- 9.'월세가 만원 한장 실화냐?'...여기선 실화야
- 10.국민연금 얼마내고 얼마 받나…모수개혁 뭐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