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C 경영권 지각변동 예고
SBS Biz 윤지혜
입력2024.10.25 14:52
수정2024.10.25 18:47

[앵커]
티웨이항공이 대한항공의 유럽 노선을 넘겨받으면서 몸집이 커지고 있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합병으로 저비용항공사(LCC)도 영향을 받고 있는데, 경영권 분쟁 조짐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윤지혜 기자입니다.
[기자]
호텔·리조트 사업을 하는 대명소노그룹은 최근 티웨이항공 2대 주주로 올라서며 최대주주 예림당과의 지분 격차를 2% 포인트대로 좁혔습니다.
적대적 인수합병(M&A)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주가가 출렁였습니다.
대명소노는 또 다른 저비용 항공사 에어프레미아에게도 눈독을 들였습니다.
470억 원을 들여 2대 주주 지분 절반을 매입했는데, 내년 6월 이후 나머지 지분을 매입하면 대명소노가 에어프레미아의 단일 2대 주주로 올라설 수 있습니다.
티웨이와 에어프레미아 둘 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으로 해외 노선 확보가 가능합니다.
대한항공은 유럽당국(EC) 승인을 얻기 위해 독점 우려가 있는 유럽 노선을 티웨이에 이관했고, 에어프레미아는 향후 미주 노선을 넘겨받을 수 있습니다.
대명소노는 경영권 인수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향후 최대주주 변경이나 경영 개입에 대한 불씨는 남아있습니다.
현재 티웨이항공 등기임원 7명 중 4명이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데 대명소노가 이사회 진입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자회사인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의 '통합 LCC' 출범 여부에 따라 연쇄적인 재편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황용식 /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 군소 LCC들이 그 안에서 어떻게 지분 매각을 할지, 아니면 합종연횡을 할지…. 여러 가지 그러한 변수들이 남아있거든요. (다만) 자본력이 있으면서 항공산업을 운영했던 업력이 있는 병행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긴) 쉽진 않습니다.]
제주항공은 지난 7월 "항공사에 투자한 사모 펀드들은 언젠가 투자금 회수에 나설 것인 만큼, 기회가 왔을 때 대응해야 한다"며 LCC 인수 의사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SBS Biz 윤지혜입니다.
티웨이항공이 대한항공의 유럽 노선을 넘겨받으면서 몸집이 커지고 있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합병으로 저비용항공사(LCC)도 영향을 받고 있는데, 경영권 분쟁 조짐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윤지혜 기자입니다.
[기자]
호텔·리조트 사업을 하는 대명소노그룹은 최근 티웨이항공 2대 주주로 올라서며 최대주주 예림당과의 지분 격차를 2% 포인트대로 좁혔습니다.
적대적 인수합병(M&A)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주가가 출렁였습니다.
대명소노는 또 다른 저비용 항공사 에어프레미아에게도 눈독을 들였습니다.
470억 원을 들여 2대 주주 지분 절반을 매입했는데, 내년 6월 이후 나머지 지분을 매입하면 대명소노가 에어프레미아의 단일 2대 주주로 올라설 수 있습니다.
티웨이와 에어프레미아 둘 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으로 해외 노선 확보가 가능합니다.
대한항공은 유럽당국(EC) 승인을 얻기 위해 독점 우려가 있는 유럽 노선을 티웨이에 이관했고, 에어프레미아는 향후 미주 노선을 넘겨받을 수 있습니다.
대명소노는 경영권 인수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향후 최대주주 변경이나 경영 개입에 대한 불씨는 남아있습니다.
현재 티웨이항공 등기임원 7명 중 4명이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데 대명소노가 이사회 진입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자회사인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의 '통합 LCC' 출범 여부에 따라 연쇄적인 재편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황용식 /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 군소 LCC들이 그 안에서 어떻게 지분 매각을 할지, 아니면 합종연횡을 할지…. 여러 가지 그러한 변수들이 남아있거든요. (다만) 자본력이 있으면서 항공산업을 운영했던 업력이 있는 병행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긴) 쉽진 않습니다.]
제주항공은 지난 7월 "항공사에 투자한 사모 펀드들은 언젠가 투자금 회수에 나설 것인 만큼, 기회가 왔을 때 대응해야 한다"며 LCC 인수 의사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SBS Biz 윤지혜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한 때 국민고시였던 '이 자격증'…'개업은 커녕 폐업 걱정'
- 2.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3.'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4.[단독] 삼성전기, 주 52시간 관리 논란…고용부 조사 검토
- 5.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6.[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7.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8."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9.'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10.[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