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힘겨운 반등 2580선 후퇴…亞 증시 혼조
SBS Biz 조슬기
입력2024.10.25 14:52
수정2024.10.25 15:12

[앵커]
2600선 안착을 시도하던 코스피가 반등에 애를 먹으며 오후 들어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조슬기 기자, 마감 앞둔 오후장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2600선 안착을 시도하던 코스피가 오후 들어 오름폭이 점차 줄어들더니 결국 하락세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조금 전 2시 50분 기준으로 어제(24일)보다 0.1% 내린 2570선 후반에 거래 중인데요.
개인이 3천600억 원 넘게 나 홀로 순매수하며 지수를 떠받쳤지만 힘에 부치는 모습이었습니다.
반면 외국인은 3천800억 넘게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고 기관은 소폭 순매수하며 종일 숨고르기 중입니다.
종목별 흐름을 보면 삼성전자 신저가를 또 한 번 경신하며 5만 6천 원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SK하이닉스는 분기 사상 최대 실적 소식에 1% 넘게 오르며 2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KB금융도 창사 이래 최대 순이익 달성 소식과 밸류업 기대감 속에 8%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코스닥 지수도 730선을 내주며 1% 넘게 하락하며 720선으로 밀렸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고점 경계감에도 불구하고 증시가 재차 약세로 돌아서자 1380원대 후반까지 올라선 상황입니다.
[앵커]
아시아 증시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아시아 증시 흐름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0.6% 반등하며 3300선에 거래 중입니다.
홍콩 항셍과 H지수도 1% 가까이 오르고 있습니다.
간밤 테슬라 실적 호조 소식 영향이 아시아 증시에 두루 반영된 모습입니다.
반면 일본 닛케이 지수는 중의권 선거를 이틀 앞두고 시장 경계감이 고조된 여파로 1% 가까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SBS Biz 조슬기입니다.
2600선 안착을 시도하던 코스피가 반등에 애를 먹으며 오후 들어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조슬기 기자, 마감 앞둔 오후장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2600선 안착을 시도하던 코스피가 오후 들어 오름폭이 점차 줄어들더니 결국 하락세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조금 전 2시 50분 기준으로 어제(24일)보다 0.1% 내린 2570선 후반에 거래 중인데요.
개인이 3천600억 원 넘게 나 홀로 순매수하며 지수를 떠받쳤지만 힘에 부치는 모습이었습니다.
반면 외국인은 3천800억 넘게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고 기관은 소폭 순매수하며 종일 숨고르기 중입니다.
종목별 흐름을 보면 삼성전자 신저가를 또 한 번 경신하며 5만 6천 원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SK하이닉스는 분기 사상 최대 실적 소식에 1% 넘게 오르며 2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KB금융도 창사 이래 최대 순이익 달성 소식과 밸류업 기대감 속에 8%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코스닥 지수도 730선을 내주며 1% 넘게 하락하며 720선으로 밀렸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고점 경계감에도 불구하고 증시가 재차 약세로 돌아서자 1380원대 후반까지 올라선 상황입니다.
[앵커]
아시아 증시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아시아 증시 흐름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0.6% 반등하며 3300선에 거래 중입니다.
홍콩 항셍과 H지수도 1% 가까이 오르고 있습니다.
간밤 테슬라 실적 호조 소식 영향이 아시아 증시에 두루 반영된 모습입니다.
반면 일본 닛케이 지수는 중의권 선거를 이틀 앞두고 시장 경계감이 고조된 여파로 1% 가까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SBS Biz 조슬기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2.한 때 국민고시였던 '이 자격증'…'개업은 커녕 폐업 걱정'
- 3.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4.[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5.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6."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7.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8.'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9.[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
- 10.국민연금 때문에 후회?…건보료에 억울한 31만명